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라봉 명성 되찾자"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1-19 10:22:06      ·조회수 : 2,695     

<b><font size=5>
품질기준 준수 등 농가 자정운동</font></b><b><font size=4 color=blue>

한라봉 명성을 되찾기 위한 자정운동이 전개된다.</font></b>

2007.01.18 (한라일보)
<font size=3>
 제주농협본부와 제주도는 17일 농협경제상무, 행정시 담당공무원이 참석한 가운데 한라봉 등 만감류 출하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2006년산 한라봉은 재배면적이 전년대비 24㏊ 증가한 1천1백28㏊, 생산예상량은 2천9백80톤이 증가한 1만8천2백80톤, 재배농가도 1백96호 늘어난 2천7백33호로 전체 만감류 생산농가 4천1백2호의 67%를 차지하고 있다.

 한라봉은 그동안 고접(가지접)을 이용한 품종갱신 농가의 바이러스 감염 등으로 수세와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과수별 품질 차이가 심한 품종 특성과 일정수준의 비배관리 등 고도의 재배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나 재배농가가 급증하면서 농가별 품질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또 신맛이 강하고 맛이 없는 저급품 한라봉이 유통되면서 가격이 급락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협은 한라봉 주산지 조합별로 한라봉 출하대책협의회를 개최하여 품질기준 준수 자정결의와 홍보현수막 부착, 신문광고 등을 통해 재배농가의 품질준수 붐을 조성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농가가 출하신청시에는 사전 당·산 샘플검사를 실시하여 상품규격만을 출하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저급품 한라봉을 유통시키는 행위와 관광지 주변 차량판매상, 관광농원, 특산물판매점 등 취약지에 대해서는 감귤유통명령 이행점검원을 활용하여 단속을 강화하고 위반자에 대해서는 5백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기로 했다.</font>

고대용기자 dyko@hallailbo.co.kr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79 감귤생과,가공식품 수출 확대 "표류" 기획정보과 2015-06-12 4011
1578 제주감귤적극적 대응만이 살길이다. 기획정보과 2015-06-11 2998
1577 "감귤 구조혁신"공방..."시장대응"VS"일방적 정책" 기획정보과 2015-06-03 3397
1576 올 제주 노지감귤 생산량 감소할 듯 기획정보과 2015-06-03 4662
1575 창조농업.6차산업 부르짖어도 가치 원천은 "땅" 기획정보과 2015-06-02 3816
1574 실패한 감귤정책 결국 농가만 떠안나 기획정보과 2015-06-01 4202
1573 "감귤' 언제까지 "젖먹이 노릇"할 셈인가 기획정보과 2015-06-01 4601
1572 올해 노지감귤 50만-53만6천톤 생산 전망 기획정보과 2015-05-29 3704
1571 감귤구조혁신방침"한발빼는 원" 기획정보과 2015-05-28 3660
1570 제주 감귤.청도 홍시 재배 농가와 상생 앞장 기획정보과 2015-05-27 3513
1569 통영 앞바다 욕지도에 감귤 묘목 공급 기획정보과 2015-05-26 3874
1568 감귤산업의 현실과 당랑규선의 의미 기획정보과 2015-05-26 3938
1567 "감귤구조 혁신방안 여른수렵 더해야" 기획정보과 2015-05-22 3739
1566 제주,비상품감귤 가공용 수매 지속...농민반발 풀릴 듯 기획정보과 2015-05-21 3462
1565 대통령 공약 감귤명품화 말로만 기획정보과 2015-05-20 3797
1564 기고,, 감귤정책 혁신의 종착역은 결국 농가소득창출 기획정보과 2015-05-19 3685
1563 한농연,"감귤정책 추진계획 전면 재수정하라" 기획정보과 2015-05-18 3417
1562 "감귤구조혁신 추진 계획 전면 재수정하라" 기획정보과 2015-05-18 3653
1561 "제주도는 감귤구조혁신 정책 추진 계획을 전면 재수정하가" 기획정보과 2015-05-18 3263
1560 비상품감귤 원천 봉쇄"농가 의식 바꿔야" 기획정보과 2015-05-15 331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