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라봉 이미지 추락 대책없나]농가 자정노력·품질관리 절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02 09:45:42      ·조회수 : 3,007     

[한라봉 이미지 추락 대책없나]농가 자정노력·품질관리 절실
(제민일보 4/28 고미기자)

한라봉 추락에 끝이 보이지 않는다. 노지 감귤출하가 마무리되면서 가격 회복 기미를 보인 것도 잠시 이동식 노점을 이용, 관광객들에게 비상품 한라봉을 판매하는 행위가 잇따라 적발되는가 하면 아직도 ㎏당 1000원 수준의 저가 한라봉이 도매 시장에 유통되는 등 총체적 난국에 직면했다.


△농가 차원의 자정 노력 절실 = 27일 진행된 한라봉 가격 대책회의에서 참석자들은 현재 한라봉의 출하나 가격 체제 등 관리 전반에 있어 문제가 있음을 시인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시된 해결 방안은 농가 등을 대상으로 품질 관리와 출하 조절의 중요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단속 수위를 강화한다는 것이 전부다.

유통명령제 이후 순수하게 한라봉 단속을 위해 투입된 인원은 17개반 62명이다. 일부 민간인을 제외하고는 공무원과 농·감협 직원으로 구성됐다.

한라봉 단속은 감귤처럼 크기나 외관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당도 등을 측정해야 하는만큼 현실적으로 어렵다.

3㎏상자당 10개 미만의 한라봉이 들어있는 점을 감안할 때 이를 일일이 검사하는 것은 무리이며 섣불리 당도 측정을 감행하기도 쉽지 않다.

특히 최근 비상품 한라봉의 주요 유통 경로로 지적되고 있는 노점 판매의 경우 판매 장소가 일정치 않은데다 기동성이 단속반을 앞지르는 등 제대로 된 단속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대부분 한라봉 단속은 소비자 등의 제보에 의해 이뤄지는 것이 전부일 정도로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대형 선과장 구축 통한 관리 체계화 시급 = 한라봉은 또 선과장을 통한 선별 작업이 거의 이뤄지지 않는 등 품질관리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당도 기준에 따른 선별을 위해서는 비파괴 선과기가 필요하지만 도내에 비치된 비파괴 선과기는 난지농업연구소와 남군 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등 행정기관과 위미·남원·성산·고산·효돈·표선 농협과 감협 유통센터·제주지소, 클린영농조합법인이 보유하고 있는 12대(12개 라인)가 전부다.

1대가 하루 10시간 작업했을 때 처리할 수 있는 물량은 3t 수준으로 이들 선과기를 총 가동해도 최근 하루 출하 물량(40~50t)을 소화하기에는 태부족이다.

이웃 일본이 한라봉 비파괴 선과기를 많게는 22개 라인까지 확보, 품질관리를 하는 것과는 큰 대조를 이루고 있다.

농가들이 직접 선별할 물량을 가지고 선과기를 찾아다녀야 하는 번거로움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그렇다고 농가들이 1억5000만원(2004년 지원액 기준)이 넘는 설치비용을 감당할 수도 없어 ‘한라봉 품질 기준’은 말에만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 전문가들은 “감귤과 마찬가지로 한라봉 역시 대형 선과장을 구축해 이들 물량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행정기관에 의존하기 보다는 생산자 단체를 중심으로 이들 의견을 수합, 필요한 비파괴선과기 물량 등을 파악하는 등 역할 분담을 통한 문제해결을 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59 "감귤산업 '선 자구.후 지원'혁신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5 4647
1558 감귤데이 제정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2 3747
1557 가격하락에도 감귤운송비 상승...농가'부담' 기획정보과 2015-05-12 4065
1556 [농업관측]과일(2015년 5월) 기획정보과 2015-05-11 3022
1555 [농업관측]과채(2015년 5월) 기획정보과 2015-05-11 3526
1554 제주농협, 감귤통합브랜드 제정 난항 기획정보과 2015-05-07 3709
1553 제주국제감귤박람회 성공 기원 16일 "아트콘서트" 기획정보과 2015-05-07 4044
1552 올해 노지감귤 얼마나 열릴까 기획정보과 2015-05-06 3771
1551 노지감귤생산량 조사 본격화 기획정보과 2015-05-06 3586
1550 제주도 감귤과수원 간벌 400ha 달성 기획정보과 2015-05-04 3463
1549 한라봉·백향과·참송이 버섯… '농업환경 대응' 새소득 작목 육성 기획정보과 2015-04-10 3920
1548 제주 감귤, 지금부터가 시작이다! 기획정보과 2015-04-09 3395
1547 [열린광장]'브랜드 감귤대학' 감귤경쟁력의 산실 기획정보과 2015-04-09 4277
1546 [망중한]판매농협 구현을 위한 제언 기획정보과 2015-04-06 3957
1545 '7년 만에 최저치'...감귤값 급락의 경고음 기획정보과 2015-04-02 3641
1544 고품질감귤 생산, 제주 감귤산업을 살리는 원동력 기획정보과 2015-04-01 3580
1543 늪에 빠진 제주 감귤값..감귤농정 헛구호 기획정보과 2015-03-17 3815
1542 사과·배·귤 등 국산과일 인기 갈수록 ‘시들’ 기획정보과 2015-03-16 4066
1541 서귀포시 올해 감귤 고품질 시설현대화 사업 495억원 지원 기획정보과 2015-03-16 3170
1540 고령화시대 농촌노동력도 문제다 기획정보과 2015-03-10 378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