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사설]비상품 감귤 분류기준 강화돼야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09 15:37:03      ·조회수 : 3,259     

<p></p>
<b><font size="5">[사설]비상품 감귤 분류기준 강화돼야 </font>
<font size="4">제민일보 10/8</b></font>
<p></p>
<font size="4">비상품 감귤은 출하도 팔지도 말아야 한다는 목소리는 매년

감귤 수확시기만 되면 반복된다. 하지만 비상품 감귤 적발은 매년 어김없이

반복되면서 제주감귤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처럼 비상품 감귤 출하 방지가 감귤산업의 성패를 가름하는 과제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제도적 장치가 허술하다면 문제가 아닐수 없다.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가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그것이다.

현행 조례가 출하금지 대상인 비상품과 미숙감귤을 규정하고 있지만 구제적

이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게다가 전체적인 비상품과를 포함하지

못하는 등 허점이 노출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로인해 현재의 비상품 감귤 단속이 규격과 당도 위주로 이루어지면서 착색

상태가 나쁜 미숙과를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덜 익어 외관상

시퍼렇더라도 크기가 조례에 규정된 2-8번과 사이에 들고 당도가 8브릭스

(극조생)이상이면 출하에 아무런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생산 농가와 상인들이 자율적으로 비상품 감귤 출하를 예방하지 않으면 타율적

으로도 막아야 마땅하다. 그렇지 않아도 한미FTA 등으로 개방파고를 넘기 벅찬

감귤이 내부의 적으로 휘청거린다면 자살행위나 마찬가지다.

따라서 행정이 취할 수 있는 방안은 모두 동원돼야 한다. 관련 조례의 개선도

그 중의 하나다.

이를 위해 착색도에 의한 분류 기준 도입 지적은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이와

함께 미숙과 분류기준 또한 당도와 같이 산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여론도 반영

돼야 한다.

이 같은 지적은 현행 조례에서도 '우수'감귤을 선정함에 있어 착색도와 산함량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데서 그 타당성을 찾을 수 있다. 문제를 알면서 개선하지 않은

것은 직무유기의 하나다. 다소의 반발이 따르더라도 제주감귤의 미래를 위해 보

다 강력한 상품분류 기준 제시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59 "감귤산업 '선 자구.후 지원'혁신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5 4581
1558 감귤데이 제정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2 3691
1557 가격하락에도 감귤운송비 상승...농가'부담' 기획정보과 2015-05-12 4055
1556 [농업관측]과일(2015년 5월) 기획정보과 2015-05-11 2959
1555 [농업관측]과채(2015년 5월) 기획정보과 2015-05-11 3515
1554 제주농협, 감귤통합브랜드 제정 난항 기획정보과 2015-05-07 3640
1553 제주국제감귤박람회 성공 기원 16일 "아트콘서트" 기획정보과 2015-05-07 3959
1552 올해 노지감귤 얼마나 열릴까 기획정보과 2015-05-06 3768
1551 노지감귤생산량 조사 본격화 기획정보과 2015-05-06 3501
1550 제주도 감귤과수원 간벌 400ha 달성 기획정보과 2015-05-04 3410
1549 한라봉·백향과·참송이 버섯… '농업환경 대응' 새소득 작목 육성 기획정보과 2015-04-10 3847
1548 제주 감귤, 지금부터가 시작이다! 기획정보과 2015-04-09 3307
1547 [열린광장]'브랜드 감귤대학' 감귤경쟁력의 산실 기획정보과 2015-04-09 4202
1546 [망중한]판매농협 구현을 위한 제언 기획정보과 2015-04-06 3920
1545 '7년 만에 최저치'...감귤값 급락의 경고음 기획정보과 2015-04-02 3573
1544 고품질감귤 생산, 제주 감귤산업을 살리는 원동력 기획정보과 2015-04-01 3514
1543 늪에 빠진 제주 감귤값..감귤농정 헛구호 기획정보과 2015-03-17 3758
1542 사과·배·귤 등 국산과일 인기 갈수록 ‘시들’ 기획정보과 2015-03-16 4052
1541 서귀포시 올해 감귤 고품질 시설현대화 사업 495억원 지원 기획정보과 2015-03-16 3091
1540 고령화시대 농촌노동력도 문제다 기획정보과 2015-03-10 377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