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소비자는 불량 감귤에 속지 않는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9-10-21 11:08:08      ·조회수 : 3,087     


▲ 도 불구하고 비상품 감귤 유통행위가 매년 끊이지 않으면서 감귤가격 안정 노력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소비자는 불량 감귤에 속지 않는다
기획=돈 버는 감귤을 만들자 <상>비상품 출하는 공멸행위
비상품 유통행위 매년 되풀이…올해도 32건 적발 증가세 보여
"고품질로 높은 가격 받아야"…농가·상인단체 자구노력 절실


기획=돈 버는 감귤을 만들자 <상>비상품 출하는 공멸행위

매년 되풀이되는 비상품 감귤유통 행위가 올해도 기승을 부리면서 가격안정 노력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열매솎기 등 고품질 생산노력에 땀을 흘리는 가운데 일부 몰지각한 농가·생산자단체의 비상품 출하가 그치지 않으면서 올해산 가격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가격폭락을 경험한 지난 2007년처럼 비상품 유통행위는 감귤산업을 무력화시키는 가공할 위력을 발휘한다. 때문에 고품질 출하로 소비자 신뢰를 얻는 농가·생산자단체의 자구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소탐대실=자살행위

극조생 온주밀감이 출하되면서 단속반을 피해 소비자를 속이기 위한 비상품 유통행위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사회가 감귤생산유통조례를 제정하면서 미숙감귤(덜 익은 감귤) 및 결점과·병해충과·상처과·부피과 등의 비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지 않겠다는 약속도 무용지물화 위기에 놓여 있다.

자치법규(조례)를 제정하면서 소비자에게 상품만을 팔겠다고 약속했지만 비상품을 유통시키려다 적발된 행위가 지난 9일 5건에서 18일 32건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비상품 유통행위는 제주도감귤출하연합회 회원으로 가입한 상인단체에 집중, 반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제주도의 분석 결과 상인단체의 비상품감귤 유통행위 적발건수는 26건으로 전체 37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감귤산업이 붕괴되면 상인들도 몰락하는 만큼 상품만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등 감귤출하연합회 회원으로서 감귤산업 발전을 위한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비상품은 소비지에서 퇴짜

비상품을 상품으로 둔갑시킨 몰지각한 행태는 단속반은 피할 수 있지만 소비자를 속이지는 못한다.

비상품 유통행위가 극성을 부렸던 2007년에도 단속반을 피해 출하된 감귤들이 소비자들에게 퇴짜를 맞았다.

과잉생산과 함께 비상품유통행위가 극에 달했던 2007년산 노지감귤은 생산량이 67만8000t으로 적정량 58만t을 초과한 가운데 비상품 유통행위도 825건이 적발되는 등 2003년 602건, 2004년 450건, 2005년 400건, 2006년 523건, 2008년 661건에 비해 많았다.

결국 도매시장에서 거래된 2007년산 노지감귤의 상품 경락가격은 10㎏당 7101원으로 2006년 1만3026원, 2008년 1만2700원 보다도 낮게 형성되면서 농가 소득도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제주도의 분석 결과 2007년산 농가소득은 kg당 371원으로 2006년 827원, 2008년 789원 보다 낮는 한편 생산비 500원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밑지는 농사'로 마무리됐다.

서울 가락동 도매시장 관계자는 "소비자들의 과일 구매 수준이 높아지면서 비상품은 설 자리가 없다"며 "전국 도매시장에서의 비상품 출하를 금지시키는 유통명령제가 발령되더라도 농가·상인단체들이 고품질 출하를 실천하지 않으면 가격폭락은 불을 보듯 뻔하다"고 철저한 선별·유통을 부탁했다.


▲ 도 불구하고 비상품 감귤 유통행위가 매년 끊이지 않으면서 감귤가격 안정 노력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소비자는 불량 감귤에 속지 않는다
기획=돈 버는 감귤을 만들자 <상>비상품 출하는 공멸행위
비상품 유통행위 매년 되풀이…올해도 32건 적발 증가세 보여
"고품질로 높은 가격 받아야"…농가·상인단체 자구노력 절실

2009년 10월 19일 (월) 19:13:37 박훈석 기자 hss9718@hanmail.net


기획=돈 버는 감귤을 만들자 <상>비상품 출하는 공멸행위

매년 되풀이되는 비상품 감귤유통 행위가 올해도 기승을 부리면서 가격안정 노력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열매솎기 등 고품질 생산노력에 땀을 흘리는 가운데 일부 몰지각한 농가·생산자단체의 비상품 출하가 그치지 않으면서 올해산 가격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가격폭락을 경험한 지난 2007년처럼 비상품 유통행위는 감귤산업을 무력화시키는 가공할 위력을 발휘한다. 때문에 고품질 출하로 소비자 신뢰를 얻는 농가·생산자단체의 자구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소탐대실=자살행위

극조생 온주밀감이 출하되면서 단속반을 피해 소비자를 속이기 위한 비상품 유통행위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사회가 감귤생산유통조례를 제정하면서 미숙감귤(덜 익은 감귤) 및 결점과·병해충과·상처과·부피과 등의 비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지 않겠다는 약속도 무용지물화 위기에 놓여 있다.

자치법규(조례)를 제정하면서 소비자에게 상품만을 팔겠다고 약속했지만 비상품을 유통시키려다 적발된 행위가 지난 9일 5건에서 18일 32건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비상품 유통행위는 제주도감귤출하연합회 회원으로 가입한 상인단체에 집중, 반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제주도의 분석 결과 상인단체의 비상품감귤 유통행위 적발건수는 26건으로 전체 37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감귤산업이 붕괴되면 상인들도 몰락하는 만큼 상품만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등 감귤출하연합회 회원으로서 감귤산업 발전을 위한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비상품은 소비지에서 퇴짜

비상품을 상품으로 둔갑시킨 몰지각한 행태는 단속반은 피할 수 있지만 소비자를 속이지는 못한다.

비상품 유통행위가 극성을 부렸던 2007년에도 단속반을 피해 출하된 감귤들이 소비자들에게 퇴짜를 맞았다.

과잉생산과 함께 비상품유통행위가 극에 달했던 2007년산 노지감귤은 생산량이 67만8000t으로 적정량 58만t을 초과한 가운데 비상품 유통행위도 825건이 적발되는 등 2003년 602건, 2004년 450건, 2005년 400건, 2006년 523건, 2008년 661건에 비해 많았다.

결국 도매시장에서 거래된 2007년산 노지감귤의 상품 경락가격은 10㎏당 7101원으로 2006년 1만3026원, 2008년 1만2700원 보다도 낮게 형성되면서 농가 소득도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제주도의 분석 결과 2007년산 농가소득은 kg당 371원으로 2006년 827원, 2008년 789원 보다 낮는 한편 생산비 500원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밑지는 농사'로 마무리됐다.

서울 가락동 도매시장 관계자는 "소비자들의 과일 구매 수준이 높아지면서 비상품은 설 자리가 없다"며 "전국 도매시장에서의 비상품 출하를 금지시키는 유통명령제가 발령되더라도 농가·상인단체들이 고품질 출하를 실천하지 않으면 가격폭락은 불을 보듯 뻔하다"고 철저한 선별·유통을 부탁했다.

제민일보 10/19 박훈석 기자 hspark@jemin.com

소비자는 불량 감귤에 속지 않는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59 "감귤산업 '선 자구.후 지원'혁신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5 4575
1558 감귤데이 제정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2 3682
1557 가격하락에도 감귤운송비 상승...농가'부담' 기획정보과 2015-05-12 4051
1556 [농업관측]과일(2015년 5월) 기획정보과 2015-05-11 2951
1555 [농업관측]과채(2015년 5월) 기획정보과 2015-05-11 3515
1554 제주농협, 감귤통합브랜드 제정 난항 기획정보과 2015-05-07 3636
1553 제주국제감귤박람회 성공 기원 16일 "아트콘서트" 기획정보과 2015-05-07 3950
1552 올해 노지감귤 얼마나 열릴까 기획정보과 2015-05-06 3768
1551 노지감귤생산량 조사 본격화 기획정보과 2015-05-06 3499
1550 제주도 감귤과수원 간벌 400ha 달성 기획정보과 2015-05-04 3402
1549 한라봉·백향과·참송이 버섯… '농업환경 대응' 새소득 작목 육성 기획정보과 2015-04-10 3843
1548 제주 감귤, 지금부터가 시작이다! 기획정보과 2015-04-09 3299
1547 [열린광장]'브랜드 감귤대학' 감귤경쟁력의 산실 기획정보과 2015-04-09 4198
1546 [망중한]판매농협 구현을 위한 제언 기획정보과 2015-04-06 3918
1545 '7년 만에 최저치'...감귤값 급락의 경고음 기획정보과 2015-04-02 3570
1544 고품질감귤 생산, 제주 감귤산업을 살리는 원동력 기획정보과 2015-04-01 3512
1543 늪에 빠진 제주 감귤값..감귤농정 헛구호 기획정보과 2015-03-17 3750
1542 사과·배·귤 등 국산과일 인기 갈수록 ‘시들’ 기획정보과 2015-03-16 4052
1541 서귀포시 올해 감귤 고품질 시설현대화 사업 495억원 지원 기획정보과 2015-03-16 3088
1540 고령화시대 농촌노동력도 문제다 기획정보과 2015-03-10 377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