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회생 특단 대책’추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21 12:57:18      ·조회수 : 2,527     

<p></p>
<font size="5"><b>‘감귤 회생 특단 대책’추궁 </b></font>

<font size="4" color="blue">국회 환노위·농림해양수산위·교육위 국감</font>

<font size="3">제주일보 10/21 고동수 기자

20일 열린 제주특별자치도와 도교육청에 대한 국회 국정감사에서 한미 FTA 협상대

책과 해군기지, 교육개방 문제 등이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와 농림해양수산위원회, 교육위원회 등은 이날 제주도와 도교

육청 등에서 상임위별 소관 업무 전반에 대해 감사를 벌였다.

이날 농림해양수산위 국감에서 이강두 의원(한나라당)은 “제주를 대표하는 감귤은

지역내 농업조수입의 55%를 차지하고 있으나 한미 FTA 협상 등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다”며 “감귤을 살리기 위한 어떤 특단의 대책을 갖고 있느냐”고 반문했다.

홍문표 의원(한나라당) 등도 “한미 FTA로 감귤은 물론 연관산업과 일반농업에도 동

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며 “감귤은 육지의 쌀과 함께 FTA 협상에서 반드시 막아

야 한다”고 대응 마련을 주문했다.

조경태 의원(열린우리당)은 해군기지와 관련해 “만약 위급사태 발생시 부산에서 제

주까지 8시간이 걸린다”며 “이 경우 즉각적인 상황 대처능력이 떨어져 국토 수호에

문제가 많다는 지적도 있는데 이에대한 견해는 무엇이냐”고 따져물었다.

감사반장인 김우남 의원(열린우리당)은 “국가 안보와 평화의 섬 이미지 및 주민 이

익간 충돌했을 때 어떻게 할 것이냐”며 “해군기지 태스크포스팀 자문위원회도 구성

되지 않았는데 공정성을 어떻게 담보할 것이냐”고 추궁했다.

이에 앞서 열린 환경노동위 국감에서는 도내 젊은 층 인력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체

계적인 일자리 창출 방안과 각종 개발사업에 따른 환경 훼손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

다.

의원들은 “좋은 일자리 2만개를 창출하겠다고 보고했는데 수치로만 아니라 질적인

고급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대책을 추궁하는 한편 “환경영향평가가 제대로 이

뤄지지 않고있다”며 확실한 환경 보존대책을 촉구했다.

국회 교육위원회(위원장 권철현)의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과 제주대학교, 제주대병

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교원 자질 평가, 초등독서교육 활성화, 제주대와 제주교

대 통합, 제주대병원 뇌물수수 및 비자금 사건 등에 대한 의원들의 집중 질의가 있었

다.

도교육청 감사에서 의원들은 “교육계의 온정주의 때문에 일부 부적격 교사들이 제

주교육의 명예를 훼손시키고 있다”며 “교원자질 평가를 엄정하게 실시해 부적격 교

사를 교단에서 퇴출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의원들은 독서교육 활성화와 관련해 “초등학교때부터 독서교육이 제대로 이뤄져

야 중학교-고교-대학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전문사서교사가 없는 도서관은 자칫

책대여점 수준을 벗어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이날 국감에서는 특별자치도와 국제자유도시 추진에 걸맞은 외국어 교육 실시,

지역대학과 연계한 실업계고교 특성화 전략 마련 등이 쟁점으로 부각됐다.

제주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은 제주대와 제주교대 통합 문제와 관련해 “사

회적 합의가 선행된 후 통합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또 의원들은 제주대병원 퇴직간부의 재직시절 뇌물수수 사건에 대한 제주대와 제주

대병원의 미온적인 대응에 대한 의원들의 질타가 잇따랐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19 [기고]겨울철 대표과일 감귤 명성 되찾자 기획정보과 2015-02-03 3641
1518 설 대목 고품질 감귤 출하로 제값 받기를 바라면서 기획정보과 2015-02-03 3724
1517 제주개발공사 감귤가공 공장서 폐수 방류 기획정보과 2015-02-02 3885
1516 가공용감귤 대란에 감귤박도 처리난 기획정보과 2015-02-02 4104
1515 [열린광장]"제주농업 위기, 도정은 대책을 마련하라" 기획정보과 2015-01-30 3377
1514 “감귤보내기 등 대북 교류사업 재개 노력” 기획정보과 2015-01-28 3388
1513 감귤 수확 막바지 비상품 차단 주력 기획정보과 2015-01-27 3932
1512 레드향 서울판촉행사 성황…5000㎏ 판매 기획정보과 2015-01-27 5227
1511 겨울철 대표과일 감귤 명성 되찾자 김혜숙 2015-01-26 3381
1510 농가 옥죄는 ‘풍년의 역설’, 언제까지… 기획정보과 2015-01-26 3577
1509 감귤은 ‘정치작물’이다 기획정보과 2015-01-23 3328
1508 제주감귤·월동채소 소비자 공략 기획정보과 2015-01-22 3414
1507 미래의 제주 감귤을 생각할 때다 기획정보과 2015-01-22 4119
1506 한해 감귤농사 이렇게 지키자 기획정보과 2015-01-21 3299
1505 도내 항만물동량 증가 기획정보과 2015-01-20 3316
1504 ‘감귤 북한보내기 사업’ 탄력 받나 기획정보과 2015-01-20 3895
1503 예래동주민센터 대구서 감귤판촉행사 기획정보과 2014-12-29 3765
1502 일부상인 감귤값 하락 피해 농민에 떠넘겨 기획정보과 2014-12-29 3580
1501 제주감귤재배면적 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4-12-29 3736
1500 허송세월 보낸 올래 감귤명품화사업 기획정보과 2014-12-26 317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