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쌀 개방대상서 제외될듯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06 10:00:34      ·조회수 : 2,673     


<b><font size=5>
쌀 개방대상서 제외될듯</font><font size=3 color=blue>

감귤류는 희생타 가능성</font>

입력날짜 : 2007. 03.06. 한라일보<font size=3>

8차협상 앞두고 워싱턴서 고위급회담

 오는 8일부터 서울에서 개최되는 한미FTA(자유무역협정) 8차 협상을 앞두고 5일부터 미국 워싱턴에서는 한미 고위급회담이 열리고 있어 쌀, 오렌지 등 농업분야 민감품목에 대한 협상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특히 미국과의 FTA 협상 시한이 임박함에 따라 쌀은 개방 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라는 전망이 기정사실화하면서 오렌지, 돼지고기 등 다른 민감품목을 얼마나 지켜낼 수 있을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미국은 농업분야의 경우 '예외없는 개방'을 원칙으로 고수하고 있지만 우리측은 농업분야 민감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협상 시한인 3월말이 채 한달도 남지 않은 상황인 만큼 미측이 협상을 깰 의사가 없다면 결국 쌀을 개방의 예외로 인정하자는 우리측 요구를 조만간 받아들일 것이라는 게 정부 안팎의 시각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김종훈 수석대표는 "쌀 제외 문제는 아직 합의되지 않았다"며 여전히 조심스런 입장이다.

 이 때문에 쌀 개방 예외 등을 인정받으려면 다른 품목에서 일정 수준의 양보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희생타'가 나올 가능성마저 제기되고 있다.

 농산물분야의 경우 개방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미정'(Undefined) 품목은 2백35개로, 쌀을 보호하는 대신 이들 민감 농산물 품목이 크게 줄어들 것이 불가피해 감귤문제가 어떻게 결말날지 주목되고 있다.

 특히 미국은 과거 최대의 수출품목이었던 쇠고기를 중심으로 오렌지, 돼지고기, 닭고기, 꿀, 감자, 낙농품, 양파, 사과, 인삼, 식용 콩 등에 대한 개방 요구의 강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부는 개방 완충장치로 농산물 특별세이프가드(SSG)와 저율관세할당(TRQ) 등의 탄력적인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한편 제주도는 김태환 지사가 최근 박흥수 농림부장관을 만나 제주감귤산업의 민감성을 고려해 육지부의 쌀과 대등하게 협상에 임해줄 것을 거듭 촉구한 바 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19 [기고]겨울철 대표과일 감귤 명성 되찾자 기획정보과 2015-02-03 3641
1518 설 대목 고품질 감귤 출하로 제값 받기를 바라면서 기획정보과 2015-02-03 3724
1517 제주개발공사 감귤가공 공장서 폐수 방류 기획정보과 2015-02-02 3886
1516 가공용감귤 대란에 감귤박도 처리난 기획정보과 2015-02-02 4105
1515 [열린광장]"제주농업 위기, 도정은 대책을 마련하라" 기획정보과 2015-01-30 3377
1514 “감귤보내기 등 대북 교류사업 재개 노력” 기획정보과 2015-01-28 3390
1513 감귤 수확 막바지 비상품 차단 주력 기획정보과 2015-01-27 3933
1512 레드향 서울판촉행사 성황…5000㎏ 판매 기획정보과 2015-01-27 5227
1511 겨울철 대표과일 감귤 명성 되찾자 김혜숙 2015-01-26 3381
1510 농가 옥죄는 ‘풍년의 역설’, 언제까지… 기획정보과 2015-01-26 3577
1509 감귤은 ‘정치작물’이다 기획정보과 2015-01-23 3328
1508 제주감귤·월동채소 소비자 공략 기획정보과 2015-01-22 3414
1507 미래의 제주 감귤을 생각할 때다 기획정보과 2015-01-22 4120
1506 한해 감귤농사 이렇게 지키자 기획정보과 2015-01-21 3299
1505 도내 항만물동량 증가 기획정보과 2015-01-20 3316
1504 ‘감귤 북한보내기 사업’ 탄력 받나 기획정보과 2015-01-20 3895
1503 예래동주민센터 대구서 감귤판촉행사 기획정보과 2014-12-29 3766
1502 일부상인 감귤값 하락 피해 농민에 떠넘겨 기획정보과 2014-12-29 3580
1501 제주감귤재배면적 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4-12-29 3737
1500 허송세월 보낸 올래 감귤명품화사업 기획정보과 2014-12-26 317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