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단감 값 40% 뜀박질… 이상기온으로 출하량 줄어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11 09:01:38      ·조회수 : 2,962     

감귤, 단감 등 제철과일들이 공급 부족으로 귀한 몸이 되고 있다. 대체과일인 사과 가격도 덩달아 뛰고 있다. 1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0월 감귤(노지온주) 도매가격(상품기준 10㎏)은 2만4737원으로 지난해 10월(1만5028원)보다 65%나 높았다. 11월 상순(1~9일)에도 감귤 가격은 1만5465원으로 지난해 11월(1만515원)보다 39% 높게 나타났다. 가격이 강세를 보이는 것은 잦은 비로 일조량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실제 10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53% 적었다. 11월에도 3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당도와 산도가 모두 낮아 ‘새콤달콤’한 맛도 지난해보다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감귤이 주춤한 사이 11월 오렌지 수입량은 2007년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인 1000t 내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원은 최근 수입 오렌지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감귤 생산량은 크게 감소해 수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단감은 주산지인 전남·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서리 때문에 품질은 좋지 않고 가격은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10월까지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21%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매가격(상품기준 10㎏)도 지난해보다 15% 높았다. 11월 상순 가격은 1만789원으로 지난해 같은 때보다 40% 높게 형성됐다. 연구원은 “서리 피해를 입은 단감은 조기 수확해야 해 당도도 낮고 색도 좋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크기나 중량도 평년보다 작고 가벼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감귤, 단감 등의 반입량이 줄면서 사과(후지) 가격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11월 사과 평균 도매가격(상품기준 15㎏)은 3만3000~3만6000원 선으로 지난해보다 20%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3% 많지만 사과 수요 대체과일인 감귤과 배의 출하량이 적기 때문이라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19 [기고]겨울철 대표과일 감귤 명성 되찾자 기획정보과 2015-02-03 3606
1518 설 대목 고품질 감귤 출하로 제값 받기를 바라면서 기획정보과 2015-02-03 3688
1517 제주개발공사 감귤가공 공장서 폐수 방류 기획정보과 2015-02-02 3841
1516 가공용감귤 대란에 감귤박도 처리난 기획정보과 2015-02-02 4058
1515 [열린광장]"제주농업 위기, 도정은 대책을 마련하라" 기획정보과 2015-01-30 3369
1514 “감귤보내기 등 대북 교류사업 재개 노력” 기획정보과 2015-01-28 3332
1513 감귤 수확 막바지 비상품 차단 주력 기획정보과 2015-01-27 3896
1512 레드향 서울판촉행사 성황…5000㎏ 판매 기획정보과 2015-01-27 5202
1511 겨울철 대표과일 감귤 명성 되찾자 김혜숙 2015-01-26 3348
1510 농가 옥죄는 ‘풍년의 역설’, 언제까지… 기획정보과 2015-01-26 3553
1509 감귤은 ‘정치작물’이다 기획정보과 2015-01-23 3282
1508 제주감귤·월동채소 소비자 공략 기획정보과 2015-01-22 3377
1507 미래의 제주 감귤을 생각할 때다 기획정보과 2015-01-22 4070
1506 한해 감귤농사 이렇게 지키자 기획정보과 2015-01-21 3275
1505 도내 항만물동량 증가 기획정보과 2015-01-20 3290
1504 ‘감귤 북한보내기 사업’ 탄력 받나 기획정보과 2015-01-20 3845
1503 예래동주민센터 대구서 감귤판촉행사 기획정보과 2014-12-29 3726
1502 일부상인 감귤값 하락 피해 농민에 떠넘겨 기획정보과 2014-12-29 3550
1501 제주감귤재배면적 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4-12-29 3710
1500 허송세월 보낸 올래 감귤명품화사업 기획정보과 2014-12-26 315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