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72종·돼지고기 15종 상표 난립"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24 09:11:43      ·조회수 : 3,967     

한 조합 여러상표 쓰기도… 품질관리에 허점 드러내
제주에서 생산하는 감귤과 돼지고기의 상표가 난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품질관리도 제대로 되지 않는 등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23일 제주도에 따르면 현재 제주시농협·한림농협·서귀포농협·중문농협 등 농협중앙회 제주지역본부를 포함한 20개 농협과 8개 영농법인, 6개 작목반, 제주감귤협동조합, 서귀포시 등 40개 생산자단체 또는 기관, 개인 등이 제각기 다른 상표를 달아 감귤을 출하하고 있다. 더욱이 K영농조합은 5개의 상표를, J영농조합은 4개의 상표를 갖고 있다. 서귀포농협과 중문농협 등 5개 농협과 제주감협 등 6개 생산자단체가 3개의 상표를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한 업체가 다수 상표를 쓰는 사례가 많은 탓에 제주산 감귤 상표는 현재 모두 72개나 된다. 하지만 이 가운데 50개 상표만 특허청에 상표등록이 됐을 뿐이고 나머지 22개 상표는 상표등록이 안 된 상태다.

또 중문농협의 '황제', 제주감협의 '불로초', 농협연합사업단의 '햇살바람' 등 일부 감귤 상표만 당도와 산도 등의 품질기준을 만들어 관리하는 등 대부분 품질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돼지고기 상표도 난립하기는 마찬가지다. 제주축협·서귀포축협·제주흑돼지수출사업단 등 15개 업체가 삼다한라포크, 제주촌, 제주흑다돈, 제주불로포크, 올레도새기, 돈그린포크 등 제각기 다른 상표를 등록해 사용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감귤과 돼지고기의 상표가 너무 많아 뭐가 뭔지 모르겠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며 "상표를 통합해 공동상표를 육성하고, 맛과 색깔, 안전성 등을 차별화해 부가가치를 높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19 [기고]겨울철 대표과일 감귤 명성 되찾자 기획정보과 2015-02-03 3614
1518 설 대목 고품질 감귤 출하로 제값 받기를 바라면서 기획정보과 2015-02-03 3688
1517 제주개발공사 감귤가공 공장서 폐수 방류 기획정보과 2015-02-02 3847
1516 가공용감귤 대란에 감귤박도 처리난 기획정보과 2015-02-02 4064
1515 [열린광장]"제주농업 위기, 도정은 대책을 마련하라" 기획정보과 2015-01-30 3369
1514 “감귤보내기 등 대북 교류사업 재개 노력” 기획정보과 2015-01-28 3335
1513 감귤 수확 막바지 비상품 차단 주력 기획정보과 2015-01-27 3901
1512 레드향 서울판촉행사 성황…5000㎏ 판매 기획정보과 2015-01-27 5210
1511 겨울철 대표과일 감귤 명성 되찾자 김혜숙 2015-01-26 3353
1510 농가 옥죄는 ‘풍년의 역설’, 언제까지… 기획정보과 2015-01-26 3562
1509 감귤은 ‘정치작물’이다 기획정보과 2015-01-23 3286
1508 제주감귤·월동채소 소비자 공략 기획정보과 2015-01-22 3378
1507 미래의 제주 감귤을 생각할 때다 기획정보과 2015-01-22 4076
1506 한해 감귤농사 이렇게 지키자 기획정보과 2015-01-21 3284
1505 도내 항만물동량 증가 기획정보과 2015-01-20 3295
1504 ‘감귤 북한보내기 사업’ 탄력 받나 기획정보과 2015-01-20 3851
1503 예래동주민센터 대구서 감귤판촉행사 기획정보과 2014-12-29 3731
1502 일부상인 감귤값 하락 피해 농민에 떠넘겨 기획정보과 2014-12-29 3555
1501 제주감귤재배면적 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4-12-29 3716
1500 허송세월 보낸 올래 감귤명품화사업 기획정보과 2014-12-26 316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