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시대변화의 길목에 선 제주감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01 10:55:24      ·조회수 : 2,841     

시대변화의 길목에 선 제주감귤
제주타임즈 6/1 김 찬 집 (수필가)

“정보화사회(information society)다음은 꿈의 사회(Dream society)이며 이미 시작 되었다. 꿈의 사회에서는 상품을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상품에 든 꿈을 사고팔게 된다. 꿈은 이미지이고, 이야기이며 문화이다.
코펜하겐 미래학의 연구소장인 롤프 안센의 말이다. 미래학자들은 앞으로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이 “정보화사회”에서 “꿈의 사회”로 변하고 있다고 예측한다.
단순히 많은 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어서 편리한 사회가 아니라, 그 정보에 감성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꿈을 불어넣는 사회가 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제품도 마찬가지다. 어떤 제품이 제품으로서만 가치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가 그 상품에 의미를 부여하고 자신의 꿈을 투영 할 때 브랜드로 성장 할 수 있을 것이다. 원두커피가 비싼 값에도 불구하고 호황을 누리는 것은, 커피한잔이라는 제품에 감성적인 라이프스타일이라는 의미를 붙여 넣었기 때문이다. 요즘 젊은 주부들은 2500원짜리 자장면을 먹고 나서 4000원짜리 커피를 마시는 것이다. 이는 주부들에게 커피를 파는 것이 아니라 한잔의 이미지(문화)와 감성을 파는 것이다.
우리의 제주 감귤도 마찬가지이다. 제주감귤은 외국산 밀감과 엄격한 차별화된 이미지전쟁을 해야만 한다. 물론 이런 일이 결코 쉬운 것은 아니다. 생산자들의 피나는 노력과 협조, 단합, 그리고 지방정부의 눈물겨운 부단한 노력이 있어도 이미지를 창조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필요 할 것이다. 그 것은 문화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감귤이미지 문화는 감귤생산자에게만 맡겨서는 안 된다. 당장 이익이 창출되지 않은 프로젝트임으로 세금 받은 돈으로 지방정부에서 담당해야 한다. 생산자는 제품의 질을. 지방자치단체는 제품의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미키마우스(캐릭터, micky-mouse.com)도 그렇다. 이는 상상 속에 등장하는 한 마리의 쥐일 뿐이다. 그런데 이 쥐에 상상력을 붙여 넣어서 이미지를 창조 했다. 그리고 그 쥐는 단순한 쥐가 아니라 전 세계에 꿈을 심어주는 아이콘이 되었다. 물론 천문학적인 돈도 벌었다.
코카콜라의 경우도 이미지전략은 소비자의 감성에 호소하는 것이다. 코카콜라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라. 코카콜라에 대한 낭만과 그리움과 건강과 젊음과 사랑을 연상하게 된다. 연인과 같이 있을 때는 코카 콜라가 반드시 같이 있어야 되는 것 같은 착각을 느낄 것이다.
제품의 질도 중요하지만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소비자와 감동의공감대를 형성해야 소비자들이 그 브랜드와 사랑에 빠질 것이고 또 그런 메시지를 통해 감동을 만들어 내어야 오래 지속되는 커뮤니케이션이 될 것이다.
감귤의 당도와 질만 높여서 파는 것은 제품으로 끝난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제품의 의미를 불어넣어서 소비자들의 감성을 일깨워야 한다. 이렇게 감성을 일깨워서 의미를 부여 하는 것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다가오는 미래는 제품의 질도 중요하지만 제품에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이 더욱 중요해 진다는 것이다. 감성을 불러일으키지 못하는 제품, 즉 의미가 없는 제품은 경쟁시장에서 살아남기 어렵다고 한다. 우리들은 점점 “정보화사회”를 지나서 “꿈”을 추구하는 시대로 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는 단순히 질 좋은 제품만을 파는 것이 아니라 감성적인 의미를 함께 판다는 점에서 상품과 문화를 묶어서“문화융합상품(Culduct)라는 신조어도 탄생 했다. 어떤 제품이 소비자의 기억 속에 남는다는 것은 기억이 이성적인 부분에만 존재 하는 것이 아니라 감성적인 부분에도 많이 남는다는 것이다.
제주 감귤은 청정, 건강, 지성, 사랑, 부드러움. 젊음,........ 등등의 이미지를 집어넣을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이런 감성 제품을 파는 것이 미래의 키워드이기 때문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79 부패과와의 전쟁 "끝났지만 안심 일러.." 기획정보과 2014-11-17 3756
1478 한중FTA와 제주농업의 미래 기획정보과 2014-11-14 3133
1477 서귀포농협 유통사업소의 오늘과 내일 기획정보과 2014-11-14 3315
1476 "제주감귤농사 망해봐야 정신 차릴테죠" 기획정보과 2014-11-12 4148
1475 제주감귤수확에 대한노인회 기획정보과 2014-11-12 3398
1474 도,도관광협 융복합상품 감귤따기 제험농장 운영 기획정보과 2014-11-10 3955
1473 울릉섬서 제주감귤 재배? 기획정보과 2014-11-07 4260
1472 고품질감귤생산시설현대화사업접수 기획정보과 2014-11-04 3091
1471 제주시 비상품감귤 유통 차단 총력 기획정보과 2014-11-03 3362
1470 감귤 고품질·적정생산이 우선이다 기획정보과 2014-10-15 3070
1469 잘못된 인식이 생명산업을 망친다 기획정보과 2014-10-14 3773
1468 브랜드 감귤 생산 출하를 위하여 기획정보과 2014-10-08 4548
1467 제주감귤,남부 화해,평화 협력 가료로 기획정보과 2014-10-08 3364
1466 '감귤 1번과'정책, 이렇게 어설퍼서야.. 기획정보과 2014-10-06 3071
1465 제주감귤브랜드 가치가 높아지길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4-09-15 4034
1464 [농업관측]과일(2014년 9월) 기획정보과 2014-09-11 3654
1463 [농업관측]과채(2014년 9월) 기획정보과 2014-09-11 2878
1462 '감귤 1번과'혼란, 어떻게든 해법 도출하라 기획정보과 2014-09-11 3691
1461 [사설]감귤 품질기준,유통전략 발전적 대안을 기획정보과 2014-09-04 3369
1460 감귤 유통구조 혁신안, 의욕이 너무 앞선다 기획정보과 2014-09-04 342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