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유통명령 조기 발령…물밑작업 성과 컸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18 10:12:46      ·조회수 : 2,712     

<p></p>
<b><font size="5">유통명령 조기 발령…물밑작업 성과 컸다 </b></font>
<p></p>
<font size="4" color="blue">생산자·농업인 단체 장관 만나당위성 부각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0/18 신정익 기자

올해로 4년째 도입되는 감귤 유통명령제가 당초 예상과는 달리 일찍 발령될 수 있었

던 것은 한미FTA 제주협상이라는 대외적인 변수 뿐만 아니라 농업인단체 및 생산자

단체 관계자들의 지속적인 ‘물밑교섭’이 상당한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7일 관계당국 등에 따르면 감귤 유통명령조절추진위원회(위원장 강희철·서귀포농

협조합장)이 지난달 4일 농림부에 유통명령 발령 요청서를 제출한 후 농림부와 박홍

수 장관을 상대로 유통명령 발령의 당위성을 부각시키는 ‘물밑교섭’이 농업경영인

제주도연합회와 농협 등을 중심으로 꾸준하고 집요하게 이뤄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

다.

특히 박홍수 농림부장관이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장 출신이어서 당시 함께 활동

했던 양윤경·김완근·문시병 전 한농연 제주도연합회장과 고철희 현 회장을 비롯해

현홍대 농협 제주본부장, 한정삼 함덕농협조합장 등은 수차례 직접 박 장관을 만나

거나 전화통화 등을 통해 유통명령 발령의 당위성을 부각시킨 것으로 전해지고 있

다.

심지어 한 인사는 박 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제주 감귤산업의 활로를 위해 유통명령

을 발령해 줄 것을 요청하며 큰절도 마다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물론 이 같은 과정에서 고두배 제주도 농축산국장 등 제주도 관계자들의 노력도 있

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비공식적인 라인’에서 유통명령을 이끌어 내기 위한 노력은

예년에 볼 수 없었을 만큼 많았다고 한 관계자는 전했다.

그런데 이런 농업인단체 및 생산자단체와의 면담에서 농림부 고위관계자는 ‘감귤농

정을 책임진 고위당국자는 유통명령에 대해 왜 말이 없느냐’며 뼈있는 지적을 한 것

으로 전해지면서 제주도 당국의 노력이 다소 소홀했던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기

도 했다.

한편 농림부는 유통명령 발령을 사실상 결정한 상태에서 공정위와의 협의도 당초 일

정보다 일찍 마무리한 후 발표 시점을 저울질, 한미 FAT 협상 제주개최 등으로 성

난 제주 농업인들의 민심을 감안해 지난 16일 발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59 [제민 열린광장]화물운송대란, 근본 문제부터 해결해야 기획정보과 2014-08-29 3480
1458 한라봉 감귤은 온주밀감보다 더위를 좋아해 기획정보과 2014-08-28 3810
1457 제주감귤 브랜드 통합의 전제조건들 기획정보과 2014-08-27 3342
1456 [무등일보]제주감귤 기획정보과 2014-08-18 3743
1455 [농업관측]과일(2014년 8월) 기획정보과 2014-08-08 3741
1454 [농업관측]과채(2014년 8월) 기획정보과 2014-08-08 3705
1453 종자비,로열티 부담에 농가 허리휜다 기획정보과 2014-08-08 4115
1452 더 큰 제주감귤산업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기획정보과 2014-08-05 3425
1451 [기고]감귤 궤양병에 대한 올바른 이해 기획정보과 2014-07-15 3868
1450 감귤거래소 공론화보다 타탕성 검토가 우선 기획정보과 2014-07-14 5148
1449 민선6기에 기대하는 감귤정책 기획정보과 2014-07-14 3325
1448 [농업관측]과채(2014년 7월) 기획정보과 2014-07-08 3262
1447 [농업관측]과일(2014년 7월) 기획정보과 2014-07-08 3948
1446 "추석 9월8일 너무 빠르네" 유통업게 과일 확보 비상 기획정보과 2014-07-08 3660
1445 중국발 FTA 태풍은 어쩌나 기획정보과 2014-07-08 3203
1444 한라봉 감귤의 자근 처리 방안 기획정보과 2014-07-08 4087
1443 농업정책이라는 도로와 신호등 기획정보과 2014-07-07 3808
1442 [농업기술원]장마철 농작물 관리요령 기획정보과 2014-07-03 3119
1441 한라봉·월동채소, 더 이상 제주농업 전유물 아니다. 기획정보과 2014-07-02 3655
1440 감귤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 난항 예상 기획정보과 2014-06-30 257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