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기고] 감귤출하량 공시를 제안한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20 11:20:56      ·조회수 : 2,257     

<p></p><
<font size="5"><b>[기고] 감귤출하량 공시를 제안한다 </b></font>

<font size="3">제민일보 11/19 김상호 / 도민기자

제주감귤의 출하는 극조생으로 시작된다. 조생종이 나오기 전 서둘러 수확하여 일시

에 시장에 나온다. 완숙하지 않은 감귤이니까 당도는 낮고 산도가 강하다. 당연히 소

비자들이 외면할 수밖에 없고, 소비 감소는 가격 하락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악순환이 매년 되풀이되고 FTA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와중에도 개선의 기미

는 전혀 보이지 않는 게 제주감귤의 현주소이다.

금년에도 여느 해와 마찬가지로 10월 중순 경 극조생이 일시에 출하되었다. 출하량

이 많은 데다 품질이 떨어져 첫 감귤가격이 지난해보다 떨어져 버렸다. 첫 가격의 의

미는 크다. 처음 출하가격이 향후 감귤의 시장가격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

다.

올해도 감귤경락가의 낮은 흐름이 조생종 감귤이 출하하기 시작하는 11월 초순까지

이어졌다. 극조생 감귤의 과잉출하로 인한 낮은 가격이 품질이 좋은 조생종까지 도

매금으로 넘어가 제값을 받지 못하게 하는 원인을 제공한 셈이다. 한마디로 극조생

이 제주감귤의 천덕꾸러기 신세가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매년 반복되는 이러한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우선적으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 출하량의 조절이라고 생각한다. 과잉출하가 되

지 않도록 출하량을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도 행정

당국이나 농감협에서 감귤 출하량을 정확하게 집계하여 매일 일간지나 TV 등에 시

장별 감귤경락가와 함께 공시해 주면 어떨까. 그러면 농민, 상인, 생산자단체도 시장

원리에 맞춰 출하량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올해는 가을가뭄이 오래 지속되어 조생종 감귤의 당도가 평년보다 1브릭스 높다고

한다. 이런 추세대로 좋은 날씨가 지속된다면 당도가 높아 예년보다 높은 가격이 형

성될 것으로 예측된다. 제발 좋은 가격이 유지되어 농민의 얼굴에 주름살이 활짝 펴

졌으면 좋겠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59 [제민 열린광장]화물운송대란, 근본 문제부터 해결해야 기획정보과 2014-08-29 3479
1458 한라봉 감귤은 온주밀감보다 더위를 좋아해 기획정보과 2014-08-28 3810
1457 제주감귤 브랜드 통합의 전제조건들 기획정보과 2014-08-27 3342
1456 [무등일보]제주감귤 기획정보과 2014-08-18 3742
1455 [농업관측]과일(2014년 8월) 기획정보과 2014-08-08 3741
1454 [농업관측]과채(2014년 8월) 기획정보과 2014-08-08 3705
1453 종자비,로열티 부담에 농가 허리휜다 기획정보과 2014-08-08 4115
1452 더 큰 제주감귤산업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기획정보과 2014-08-05 3425
1451 [기고]감귤 궤양병에 대한 올바른 이해 기획정보과 2014-07-15 3868
1450 감귤거래소 공론화보다 타탕성 검토가 우선 기획정보과 2014-07-14 5147
1449 민선6기에 기대하는 감귤정책 기획정보과 2014-07-14 3325
1448 [농업관측]과채(2014년 7월) 기획정보과 2014-07-08 3261
1447 [농업관측]과일(2014년 7월) 기획정보과 2014-07-08 3947
1446 "추석 9월8일 너무 빠르네" 유통업게 과일 확보 비상 기획정보과 2014-07-08 3659
1445 중국발 FTA 태풍은 어쩌나 기획정보과 2014-07-08 3203
1444 한라봉 감귤의 자근 처리 방안 기획정보과 2014-07-08 4087
1443 농업정책이라는 도로와 신호등 기획정보과 2014-07-07 3808
1442 [농업기술원]장마철 농작물 관리요령 기획정보과 2014-07-03 3119
1441 한라봉·월동채소, 더 이상 제주농업 전유물 아니다. 기획정보과 2014-07-02 3654
1440 감귤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 난항 예상 기획정보과 2014-06-30 257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