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저급품 너무 많아 값 하락”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09 12:09:04      ·조회수 : 3,119     

<p></p>
<font size="5"><b>“저급품 너무 많아 값 하락” </b></font>

<font size="4" color="blue">짓눌러 터진 부패과에다 비상품도`출하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1/8 신정익 기자

(경제) 르포-서울 가락동 감귤 경매시장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된다는 입동(立冬)인 7일 새벽 2시 서울 가락동 농산물공판장.

올 가을 들어 가장 낮은 영하 1.3도를 기록한 가운데 강한 바람까지 불어 체감온도

는 영하 5∼6도까지 떨어졌다. 추운 날씨만큼이나 공판장내 과일경매시장의 분위기

도 예년같지 않게 가라 앉았다.

이날 가락동 공판장에 상장된 감귤은 총 408.9t. 전일 439t에 비해서는 7% 가량 줄었

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본격적인 경매를 앞두고 기자가 상장된 감귤들을 살펴본 결

과 적지 않은 부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수송과정에서 상자에 짓눌려 껍질이 터진

것들도 보였다.

가격에 대한 불안감이 들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가격하락의 주범은 부패과 등 저급품

농협 가락공판장 김정배 경매과장은 “노지감귤의 부패과가 올해처럼 많은 경우는 5

년여 만에 처음”이라며 “이로 인해 가격이 너무 하락하면 다시 치고 올라가는데 힘

에 부칠 수 있다”고 걱정했다.

중도매인인 이종기씨(51) 역시 “중도매인들이 경매에서 감귤을 구입한 후 직원들이

부패과를 골라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면서 “특히 중도매업체에서 상자째

감귤을 구입한 소매업체에서 부패과가 너무 많다며 반품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어 곤

혹스럽다”고 털어놨다.

이씨는 “가뜩이나 소비심리 위축에다 다른 경쟁과일들이 출하로 감귤시세가 침체

된 가운데 저급품이 줄지 않으면 정말 큰 일”이라고 우려했다. 이날 경매에 나온 중

도매인은 예년에 비해 20여 명 가량 줄었다. 감귤 재고가 쌓여 추가 구입을 하지 않

기 때문이다.

그나마 지난주까지는 10㎏ 한 상자에 많으면 20~30개의 부패과가 쏟아졌으나 이날

경매에 나온 감귤의 사정은 많이 좋아졌다는 게 시장 관계자들의 말이다.

▲‘비양심 출하’도 여전

유통명령제가 도입된 후 올해로 3년째 도외 이행점검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이원근

씨(48.슈퍼마켓연합회 소속.양천구 신정동)는 “올들어 지금까지 출하된 물량은 작년

에 비해 많은 편은 아니지만 품위가 떨어진다”고 지적하고 “상습적으로 위반하는 경

우 많다. 결국 검사원이 제대로 검사를 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밖에 없다’고 말

했다. 이씨는 이날도 1번과를 2번과에 섞어 출하한 사례를 적발, 휴대폰 카메라로 촬

영해 출하연합회로 통보했다.

자신이 직접 슈퍼마켓을 경영하고 있어서 위축된 소비심리를 절감하고 있다는 이씨

는 “감귤의 품질만이 경쟁력을 높이고 소비침체를 이겨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가격유지 ‘안간힘’

이날 상장된 감귤 경락가는 최저 4000원에서 최고 1만 6000원에서 형성됐다. 최저가

인 4000원이 무너질 상황도 여러 차례 벌어졌다. 그러나 4000원을 유지하기 위해 경

매사의 숨은 노력이 이어지면서 다행히 이날의 마지노선은 지켜졌다.

그러기 위해 경매사는 연신 ‘호가’를 했다. 3000원대로 내려 앉는 상황은 없어야 하

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중도매인들과의 입씨름과 신경전도 심심찮게 벌어진다.

새벽 3시 30분께 경매가 끝나고 경매사와 담당직원들은 경매상황을 정리하면서 도

내 출하농가와 상인들에게 이날의 경매결과를 알려주고 출하물량을 조절해 달라고

부탁했다.

김정배 경매과장은 “산지에서 꼼꼼하게 선과해서 출하하면 그만큼 상품성이 높아지

기 때문에 가격으로 바로 직결된다”며 “현실에 그럭저럭 안주하는 지금까지의 관행

을 되풀이하면 제주감귤의 미래는 길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b>“저급품 너무 많아 값 하락”  </b>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19 [인터뷰]"소비자 선정 최우수 감귤 '불로초' 체계적 교육·엄격한 품질관리 덕" 기획정보과 2014-02-26 3959
1418 감귤의 ‘출생의 비밀’ 기획정보과 2014-02-25 4480
1417 [오피니언]비상품 감귤의 에너지 연료화 기획정보과 2014-02-25 3129
1416 [기고]감귤원에 새로운 변화가 일고 있다 기획정보과 2014-02-18 3979
1415 [오피니언]감귤 신품종을 둘러싼 이런 저런 이야기 기획정보과 2014-02-17 4302
1414 [제민포럼]국가지원사업 세부실천 전략 필요 기획정보과 2014-02-07 3996
1413 농협 명품감귤사업단 출범, 기대와 우려 기획정보과 2014-02-05 4515
1412 [기고]감귤 품종 갱신 신중해야 기획정보과 2014-02-03 4722
1411 감귤 궤양병 이야기 기획정보과 2014-02-03 3541
1410 감귤 품종특성의 다양한 발현을 위해서는 기획정보과 2014-01-28 4182
1409 [감귤명품화사업 진단②]대통령 공약 무색한 '제주감귤명품화 사업' 기획정보과 2014-01-24 3836
1408 [감귤산업명품화 진단①]제주 감귤밭 1천평으로 한중 FTA자신감 기획정보과 2014-01-24 3477
1407 서귀포시, 설 대목 비상품 감귤 유통 단속강화 기획정보과 2014-01-22 3024
1406 한라봉 생산량 감소원인 '자근(自根)'...어떻게 해결? 기획정보과 2014-01-16 3655
1405 "신선한 과일과 스낵의 만남"...제주 '프루낵' 런칭 기획정보과 2014-01-13 3426
1404 [기자수첩]'명품감귤연합사업단'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기획정보과 2014-01-10 3631
1403 제주밀감,한라봉 지고 '레드향'뜬다 기획정보과 2014-01-08 3307
1402 "따뜻한 제주 감귤은 뜨거운 사랑입니다" 기획정보과 2014-01-07 3085
1401 한라봉 효능 제값하나? 감귤과 비교해보니... 기획정보과 2013-12-12 3782
1400 [날씨경영 스토리]기후변화와 '감귤' 기획정보과 2013-12-02 335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