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관광산업 병폐 ‘고쳐야 산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2-14 09:34:12      ·조회수 : 2,656     

<b><font size=5>

관광산업 병폐 ‘고쳐야 산다’ </font><font size=3 color=blue>

살맛나는 제주 기획-<9>관광 고질병 치유 급선무 </font>

2007년 02월 12일 (월) 제주일보 <font size=3>


관광은 감귤과 더불어 제주특별자치도의 생명산업이다.

제주특별자치도 ‘4+1’ 핵심산업에서도 관광산업이 첫 손에 꼽힌다.

제주도가 특별자치도 2단계 제도개선 과제 중 3대 핵심과제, 이른바 ‘빅3’ 중 도 전역 면세화와 항공자유화 등 2개 과제도 주 타깃이 관광산업 육성임은 두말 할 나위가 없다.

이처럼 제주특별자치도 미래에 있어 관광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올해 관광객 유치 목표로 내국인 500만명, 외국인 50만명 등 총 550만명, 관광수입 목표는 사상 처음으로 2조원을 돌파한 2조160억원으로 정했다.

이는 지난해 관광객 유치실적 531만명에 비해 3.6% 증가한 수치며 관광수입 1조8468억원보다 9.2% 늘어난 것이다.

제주도는 이를위해 ‘비바 제주’ 슬로건 아래 ‘부조리·불친절·불합리’ 등 3불(不) 타파, ‘먹을 것·살 것·갈 곳 없다’는 3무(無) 제거 운동을 전개하고 관광객 유치 마케팅 강화 등 각종 시책을 내놓고 있다.

또한 특별자치도 출범 후 신화역사공원, 성산포섭지코지, 묘산봉지구, 동물테마파크 등 관광개발사업도 본격화되고 있는 것은 제주관광의 호재다.

그렇다면 제주관광의 가장 큰 문제점은 뭘까.

제주관광의 고질병이다.

바가지 요금, 불친절, 허위과대 선전 및 강매, 관광시설 불편, 위생 불량 등등. 이는 도민들의 자발적인 의식개혁 없이는 고쳐질 수가 없다.

제주도가 공식적으로 지난해 접수한 관광불편신고는 총 166건이다. 전년도 93건에 비해 73건(78.5%)이 늘었다.

관광업계의 자정 노력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관광불편신고건수는 증가하고 있다.

신고 대상도 여행사(20건), 숙박시설(25건), 교통(40건), 쇼핑(27건), 음식점(12건), 관광종사원(25건), 안내표지판(4건), 공항·항공(3건), 기타 96건으로 관광업계가 총 망라됐다.

신고 내용도 계약조건 불이행, 부당요금 징수, 허위과대 선전 및 강매행위, 입장료 및 주차장문제, 위생물량, 관광종사원 불친절 등 종합세트다.

일부 관광객들은 제주를 다녀간 후 제주도 게시판이나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제주도로 여행 간 것이 후회된다’는 글을 올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제주 관광을 혹평하기도 한다.

국내 제일의 관광지이며 국제 휴양관광지를 지향하는 제주로서는 참으로 낯 뜨거운 일이다.

다시 가고 싶은 관광지, 관광객들에게 추억과 감동을 줄 수 있는 관광지가 되지 않고서는 제주 관광의 미래는 없다.

안으로는 국내의 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밖으로는 동북아의 주요 관광도시들이 관광산업 육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전 세계가 굴뚝 없는 산업인 관광을 통해 경제의 활로를 찾으려 하고 있다.

제주도가 올해 추진키로 한 제주 관광의 3불(不) 타파·3무(無) 제거 운동이 행정당국은 물론 관광업계, 그리고 온 도민이 참여하는 범도민 운동으로 전개돼야 하는 이유다.

그렇지 않고는 제주관광의 경쟁력은 끝없이 추락할 수밖에 없다.
</font>김승종기자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19 [인터뷰]"소비자 선정 최우수 감귤 '불로초' 체계적 교육·엄격한 품질관리 덕" 기획정보과 2014-02-26 3955
1418 감귤의 ‘출생의 비밀’ 기획정보과 2014-02-25 4479
1417 [오피니언]비상품 감귤의 에너지 연료화 기획정보과 2014-02-25 3119
1416 [기고]감귤원에 새로운 변화가 일고 있다 기획정보과 2014-02-18 3973
1415 [오피니언]감귤 신품종을 둘러싼 이런 저런 이야기 기획정보과 2014-02-17 4293
1414 [제민포럼]국가지원사업 세부실천 전략 필요 기획정보과 2014-02-07 3995
1413 농협 명품감귤사업단 출범, 기대와 우려 기획정보과 2014-02-05 4503
1412 [기고]감귤 품종 갱신 신중해야 기획정보과 2014-02-03 4711
1411 감귤 궤양병 이야기 기획정보과 2014-02-03 3539
1410 감귤 품종특성의 다양한 발현을 위해서는 기획정보과 2014-01-28 4170
1409 [감귤명품화사업 진단②]대통령 공약 무색한 '제주감귤명품화 사업' 기획정보과 2014-01-24 3822
1408 [감귤산업명품화 진단①]제주 감귤밭 1천평으로 한중 FTA자신감 기획정보과 2014-01-24 3471
1407 서귀포시, 설 대목 비상품 감귤 유통 단속강화 기획정보과 2014-01-22 3017
1406 한라봉 생산량 감소원인 '자근(自根)'...어떻게 해결? 기획정보과 2014-01-16 3651
1405 "신선한 과일과 스낵의 만남"...제주 '프루낵' 런칭 기획정보과 2014-01-13 3405
1404 [기자수첩]'명품감귤연합사업단'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기획정보과 2014-01-10 3624
1403 제주밀감,한라봉 지고 '레드향'뜬다 기획정보과 2014-01-08 3303
1402 "따뜻한 제주 감귤은 뜨거운 사랑입니다" 기획정보과 2014-01-07 3080
1401 한라봉 효능 제값하나? 감귤과 비교해보니... 기획정보과 2013-12-12 3776
1400 [날씨경영 스토리]기후변화와 '감귤' 기획정보과 2013-12-02 334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