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올해산 노지감귤 풍작 예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05 17:28:54      ·조회수 : 2,918     

<b><font size=5>

올해산 노지감귤 풍작 예상
</font>
입력날짜 : 2007. 03.05. 한라일보<font size=3>

서귀포농업기술센터 꽃눈분화율 조사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은 풍작을 이뤘던 지난 1997년에 육박할 것 이라는 전망이다.

 서귀포농업기술센터가 지난 2월 16~27일 사이 지역내 감귤주산지 12곳에 대해 꽃눈분화를 조사한 결과 평균 꽃눈분화율이 89.8%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조사대상 가운데 해안지역은 91.7%, 중산간지역은 88.7%의 꽃눈분화율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대포 98%, 위미(해안가) 97%, 표선 96%, 위미(중산간) 93%, 용흥 92%, 삼달 90%, 화순 90%, 감산 88%, 신산 86%, 가시 85%, 성산 83%, 신풍 79% 이다.

 이처럼 꽃눈분화가 잘 이뤄진 것은 겨울철 평균기온이 예년보다 1.7~1.9도 높은데다 강수량도 122.4mm로 적어 겨울철 동화작용이 원활히 이뤄졌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또 지난해 2차 생리낙과시 나무 속 결과모지에 달렸던 열매가 생리낙과가 많이 이루어지는 속에 여름순 발생이 원활, 엽수가 많아지면서 꽃 필 자리에 양분집적이 잘 되었기 때문이다.

 꽃눈분화율이 1백17.8%를 기록한 지난 1997년의 감귤 생산량은 69만3천톤을 기록했다. 꽃눈분화율이 54.5%를 기록했던 지난 1996년에는 48만톤, 꽃눈분화율이 80.5%를 기록했던 1998년에는 54만3천톤이 생산됐다.

 서귀포농업기술센터는 올해 기상이변이 없는 한 생산량이 지난 1997년도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고품질 감귤생산을 위해 간벌지도에 나서는 한편 예비지 설정 위주의 정지전정, 비상품과 위주 열매솎기·토양피복재배 등에 중점을 두고 지도해 나갈 계획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99 [오피니언]종착역 향한 한중FTA, 대책 재점검하라 기획정보과 2013-11-19 3404
1398 [기고]감귤 제값받기에 대한 소고 기획정보과 2013-11-18 3119
1397 [제민포럼]감귤산업의 희망 그리고 절망 기획정보과 2013-11-12 4283
1396 [기고]최고의 과일이라고 쓰고 '감귤'이라 읽는다 기획정보과 2013-11-08 4287
1395 감귤 1번과 상품화 논란 재연 기획정보과 2013-11-01 3645
1394 [오피니언]감귤 명품화 결실, 정부 지원에 달렸다 기획정보과 2013-11-01 3345
1393 '감귤의 가치'가공용 식품으로 되돌아 보자! 기획정보과 2013-10-30 3925
1392 제주도의회, 감귤 1번과 상품화 재점화 '논란' 기획정보과 2013-10-28 3486
1391 [열린마당]극조생감귤 '첫인상'이 좋아야 한다 기획정보과 2013-10-02 3610
1390 '시장 따로 정책 따로'감귤산업 우려 기획정보과 2013-09-30 3582
1389 감귤유통 불법행위고개...단속은 한계 기획정보과 2013-09-30 3472
1388 감귤 1번과 상품화 반대 기획정보과 2013-09-27 3030
1387 감귤 '1번과' 상품대접 받나?....조례개정 '관심' 기획정보과 2013-09-24 3189
1386 [기고]제주감귤 미국식탁 진출 '청신호' 기획정보과 2013-09-04 3507
1385 [사설]감귤산업 명품화 대책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3-08-26 3432
1384 수도권 대학생 농업원정대 제주에 떳다... 기획정보과 2013-07-02 3230
1383 환경변화와 감귤(김용호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 연구관) 기획정보과 2013-06-26 3165
1382 이양호 농촌진흥청장, 브랜드감귤대학 현장방문 기획정보과 2013-06-24 3137
1381 찾아오는 서귀포, 돌아오는 서귀포 가시화 기획정보과 2013-06-20 2851
1380 노지감귤 관측조사 시작 기획정보과 2013-05-13 345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