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라일보]<사설>이젠 감귤농가 스스로 해결할 때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10-11 17:17:25      ·조회수 : 3,305     

<b><font size=3>[열린마당]이젠 감귤농가 스스로 해결할 때</font></b>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됨으로써 우리 제주의 감귤산업은 그 어느때 보다도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음은 물론 존폐의 기로에 서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 감귤농가들은 앞으로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쟁력 있는 상품을 생산하겠다는 굳은 의지와 각오, 피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지난 과거에도 너무나 값비싼 대가를 치러 왔듯이 이젠 농가 스스로 감귤적과를 하겠다는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고 필요 한 때이다.

무릇 농가의 일손부족과 이기심 때문에 내가 안 하더라도 다른 농가에서 하겠지 하는 안이한 생각으로 적과 등을 실천에 옮기지 않아 실패한다면 우리 모두가 자멸 할 것이 뻔하다. 때문에 과잉생산으로 감귤가격이 폭락하고 애써 지은 1년 농사를 고스란히 망쳐 버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

그래서 자치단체와 농협·감협 그리고 생산자 단체 등에서 불량감귤 열매솎기의 중요성과 당위성을 언론과 모든 홍보를 통하여 설득하고 이해를 시키고 있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어 매우 아쉬움이 크다.

착과율 보도 통계에 의하면 올해는 적정량인 58만톤을 훨씬 넘어 67만여톤에 이른다고 한다. 이번 태풍 '나리'가 휩쓸고 간 피해 복구도 중요하지만 10월 한달 동안은 우리 모두 적정량 목표 달성을 위해 적극 참여, 태풍으로 인한 불량감귤 따기 및 열매솎기 작업을 통해 과잉생산을 방지하고 질 좋은 고품질의 감귤을 생산하여 연속 제값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감귤파동의 책임은 누구에게 전가시킬 수 없다. 바로 우리 감귤농가가 공동으로 짊어져야 한다. 감귤생산의 과잉을 억제하는 열쇠는 오로지 '감귤 농가의 손'에 달려 있음을 이젠 분명히 인식해야 할 때이다. 과잉생산이 예상되는 현실에서 농가 스스로 적극적인 자세로 자구책을 찾아야 하며 일손부족과 이기심때문에 적과를 소홀히 하여 제값을 받지 못해 우를 범하는 일이 없도록 지금부터라도 적극 참여해야 할 것이다.

<문장부 제주시 농협 감사>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99 [오피니언]종착역 향한 한중FTA, 대책 재점검하라 기획정보과 2013-11-19 3394
1398 [기고]감귤 제값받기에 대한 소고 기획정보과 2013-11-18 3111
1397 [제민포럼]감귤산업의 희망 그리고 절망 기획정보과 2013-11-12 4267
1396 [기고]최고의 과일이라고 쓰고 '감귤'이라 읽는다 기획정보과 2013-11-08 4269
1395 감귤 1번과 상품화 논란 재연 기획정보과 2013-11-01 3629
1394 [오피니언]감귤 명품화 결실, 정부 지원에 달렸다 기획정보과 2013-11-01 3342
1393 '감귤의 가치'가공용 식품으로 되돌아 보자! 기획정보과 2013-10-30 3902
1392 제주도의회, 감귤 1번과 상품화 재점화 '논란' 기획정보과 2013-10-28 3478
1391 [열린마당]극조생감귤 '첫인상'이 좋아야 한다 기획정보과 2013-10-02 3580
1390 '시장 따로 정책 따로'감귤산업 우려 기획정보과 2013-09-30 3576
1389 감귤유통 불법행위고개...단속은 한계 기획정보과 2013-09-30 3458
1388 감귤 1번과 상품화 반대 기획정보과 2013-09-27 3026
1387 감귤 '1번과' 상품대접 받나?....조례개정 '관심' 기획정보과 2013-09-24 3184
1386 [기고]제주감귤 미국식탁 진출 '청신호' 기획정보과 2013-09-04 3505
1385 [사설]감귤산업 명품화 대책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3-08-26 3420
1384 수도권 대학생 농업원정대 제주에 떳다... 기획정보과 2013-07-02 3224
1383 환경변화와 감귤(김용호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 연구관) 기획정보과 2013-06-26 3164
1382 이양호 농촌진흥청장, 브랜드감귤대학 현장방문 기획정보과 2013-06-24 3132
1381 찾아오는 서귀포, 돌아오는 서귀포 가시화 기획정보과 2013-06-20 2848
1380 노지감귤 관측조사 시작 기획정보과 2013-05-13 344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