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피해 최소화 대책 시급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12 09:53:44      ·조회수 : 2,151     

감귤 피해 최소화 대책 시급
美, 한 ·미 FTA서 ‘농업시장 개방 확대’ 초점
제주일보 6/12 김태형 기자
한 ·미 FTA(자유무역협정) 협상이 본격화되면서 감귤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데이터화된 설득논리 마련과 대중앙 절충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다음달 10일부터 열리는 2차 공식협상에서 농업부문 전반에 대한 양측 간 입장 조율이 이뤄질 예정이어서 감귤산업 향방을 가늠하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제주도 등에 따르면 한 ·미 양국은 지난 9일 15개 분과 중 11개 분과에 대한 통합 협정문을 작성하는데 합의하고 첫번째 협상을 마무리했다.

최대 쟁점 분야였던 농업 분과에서는 양측 간 큰 입장차를 보이면서 위생검역, 섬유, 무역구제 등과 함께 다음달 재논의를 거쳐 추후 통합 협정문을 마련키로 했다.

농업분과 협상에서 우리 측은 농산물 시장 보호를 위해 수입물량 급증 및 가격 급락시 양허세율 이상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특별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도입을 주장했다.

반면 미국 측은 일정 물량에 대해 낮은 관세를 부과하는 저율관세수입물량(TRQ) 운영의 상세 절차를 협정문에 규정하자며 대립각을 세웠다.

미국 측의 입장은 한국 농산물 시장 개방 폭을 넓히겠다는 뜻으로 분석돼 2차 협상에서 압력 수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처럼 미국 측이 예상대로 농업시장 개방 확대에 초점을 맞추면서 도내 농산물 중 최대 피해가 우려되는 감귤산업과 관련된 협상대책 마련에도 비상이 걸렸다.

특히 한 ·미 양국은 다음달 10일부터 14일까지 서울에서 열리는 2차 공식협상에서 분야별 양허안과 유보안을 교환한 뒤 구체적인 개방 수준에 대한 협상을 개시할 방침이다.

이로 볼 때 농업 분야에 대한 협상 예외나 민감품목 지정, 관세 유예조치 여부 등이 2차 협상에서 거론될 것으로 예상돼 협상안에 감귤산업 대책을 포함시킬 수 있는 근거자료가 시급해지고 있다.

더욱이 2차 협상에서는 농산물에 있어 최대 현안인 쌀 분야도 다뤄질 예정이어서 자칫 감귤 분야인 경우 뒷전으로 밀릴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감귤특별대책위원회를 구성, 피해 분석 연구용역과 함께 협상 제외 건의 등에 총력을 쏟고 있으나 긴박해진 추진 일정상 확실한 연구자료를 토대로 조기에 설득논리를 마련, 대중앙 절충에 있어 실기(失期)하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이달말까지 감귤 피해 연구용역이 완료되면 이를 바탕으로 중앙 절충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79 감귤 생산체계 바뀐다 기획정보과 2013-05-13 3469
1378 제주시 감귤비가림하우스등 245억 지원 기획정보과 2013-05-13 3474
1377 지열.공기열냉방 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3-05-13 3502
1376 기금지원 시설점검 기확정보과 2013-05-13 3461
1375 만감류 안정생산 위해 꽃따기·적과 실천해야 기획정보과 2013-05-02 3099
1374 선호도 높은 제주 감귤 직거래는 바닥 기획정보과 2013-05-02 3810
1373 비닐하우스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 가능 기획정보과 2013-05-02 3574
1372 노지감귤 1번과 올해도 기확정보과 2013-05-02 3552
1371 황룡병 발생 지역, 감귤류 묘목 수입 금지 기획정보과 2013-05-02 3269
1370 감귤간벌 초과 달성…제주농협 622ha 실시 기획정보과 2013-04-12 3010
1369 가장 부유하다는 서귀포 감귤 농가의 '추락' 기획정보과 2013-03-13 3374
1368 [기고]맛과 품질로 감귤 경쟁력을 높이자! 기획정보과 2013-03-08 3381
1367 감귤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획정보과 2013-02-06 2831
1366 감귤가격 하락세 긴급처방 절실 기획정보과 2013-02-06 2750
1365 설 대목 앞둬 비상품 감귤 유통 확대 예상 서귀포시 단속강화 기획정보과 2013-01-16 3374
1364 감귤 연중생산.유통체계 구축한다 기획정보과 2013-01-11 2598
1363 제주감귤육종센터 건립...신품종 연구탄력 기획정보과 2013-01-11 2837
1362 [칼럼]제주 감귤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본적인 생각 기획정보과 2013-01-04 2989
1361 대전오정동도매시장 전경(2012.12.28) 기획정보과 2012-12-28 4172
1360 [사설]'장미빛 청사진'에 그친 감귤수출 기획정보과 2012-12-27 284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