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생명산업·제주경제 ‘중대 기로’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17 15:54:37      ·조회수 : 2,962     

<p></p>
<font size=5"><b>생명산업·제주경제 ‘중대 기로’</b></font>
<p></p>
<font size="4" color="blue">[감귤 100년 위기를 기회로] 제1부

‘태풍의 눈’한미FTA 제주협상 (1)프롤로그</font>
<p></p>

<font size="3">한라일보 10/17 강시영 기자

1세기 동안 지역경제 버팀목 성장

시장개방등 최대고비 위기감 고조

 2006년산 노지감귤이 본격 출하되기 시작했다. 감귤을 제주의 생명산업으로 가꿔

온 농가들은 수확의 기쁨도 잠시 감귤산업의 미래를 떠올릴 때 마다 착잡하기만 하

다.

 농산물 최대 수출국인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이 진행되면서 제주감귤이 ‘생

명산업’·‘국민과일’로서의 위상을 위협받고 있기 때문이다.

 관세 빗장이 무너질 경우 감귤산업은 물론이고 제주경제가 붕괴될 수 있다는 경고

음이 잇따르고 있다. 제주도 당국과 감귤농민들은 한·미FTA 협상을 지켜보면서 “지

금이 제주감귤의 최대 위기”라는데 절감한다.

 급기야 오는 23일부터 5일간 예정된 한미FTA 4차협상 테이블이 제주에 놓이게 됐

다. ‘불난집에 부채질하는 격’이라는 반발이 지속되는 가운데 제주도 당국은 “선뜻

수용하기 어려운 문제였지만 전략적 기회로 활용하자”고 도민들을 설득하고 있다.

 ‘태풍의 눈’으로 다가온 한미FTA 협상은 제주감귤의 위기 국면을 한마디로 웅변

하고 있다.

 기록으로만 보더라도 천년이 넘은 역사를 간직한 제주감귤은 근대적 의미의 산업

으로 도입된지도 1백년전인 20세기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록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1907년 제주에 유배됐던 조선말엽 개화파 주역이

었던 박영효가 제주시 ‘구남동’ 지역에 개량 감귤을 도입했었다는 내용이 구전되면

서 근대적 의미의 제주감귤의 효시라고 전해지지만 흔적은 남아있지 않다.

 ‘제주도실기’에 따르면 ‘1910년부터 일본 귤목을 식부하고 관청에서 장려하여 매

년마다 생산량이 많아져 갔다. 산남 서홍리는 일본 사람이 대규모로 경영한다”고 기

록하고 있다.

 감귤주산지인 서귀포 지역 도입자는 20세기초 프랑스 출신의 타케 신부가 효시로

전해진다. 난지농업연구소 김한용 박사는 “타케가 서홍성당에서 선교활동과 식물채

집을 하는 동안 1911년에 서귀포지역에 온주밀감 14그루를 심었으며 이 때가 서귀포

지역에서 온주밀감을 처음 재배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증언과 기록은 감귤이 ‘대학나무’로 회자되면서 생명산업으로 제주경제에

버팀목이 되기 시작한지 1세기가 됐음을 뜻한다. 바로 이 시기에 제주감귤은 다가

올 1세기를 담보할 수 있는 산업으로 성장을 계속 구가할 수 있을지 중대 기로에 섰

다.

 ‘근대감귤 100년’은 감귤산업이 제주경제·사회에서 차지하는 지위로 볼 때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근·현대 제주사에서 감귤은 제주 제1의 ‘효자산업’으로 발전해 왔다.

제주의 경제적 부흥은 감귤이 주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제주감귤은 그동안 많은 시련을 겪어야 했으며 지금도 개방파고에서 힘겨운 생존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한·미FTA, 한·중FTA, 한·일FTA 등 개방협상은 제주감귤

을 더욱 위기로 내몰고 있는 상황이다.

 한라일보는 ‘근대감귤 100년’을 맞아 한미FTA 제주협상을 시작으로 제주감귤의

발자취를 더듬어보고 한·미FTA, 한·일 및 한·중 FTA 등 연쇄 개방협상, 제주감귤의

현주소, 발전방안 등에 대해 감귤농가, 독자들과 함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연중기

획 보도한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79 감귤 생산체계 바뀐다 기획정보과 2013-05-13 3469
1378 제주시 감귤비가림하우스등 245억 지원 기획정보과 2013-05-13 3474
1377 지열.공기열냉방 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3-05-13 3503
1376 기금지원 시설점검 기확정보과 2013-05-13 3465
1375 만감류 안정생산 위해 꽃따기·적과 실천해야 기획정보과 2013-05-02 3099
1374 선호도 높은 제주 감귤 직거래는 바닥 기획정보과 2013-05-02 3810
1373 비닐하우스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 가능 기획정보과 2013-05-02 3574
1372 노지감귤 1번과 올해도 기확정보과 2013-05-02 3552
1371 황룡병 발생 지역, 감귤류 묘목 수입 금지 기획정보과 2013-05-02 3270
1370 감귤간벌 초과 달성…제주농협 622ha 실시 기획정보과 2013-04-12 3010
1369 가장 부유하다는 서귀포 감귤 농가의 '추락' 기획정보과 2013-03-13 3374
1368 [기고]맛과 품질로 감귤 경쟁력을 높이자! 기획정보과 2013-03-08 3381
1367 감귤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획정보과 2013-02-06 2832
1366 감귤가격 하락세 긴급처방 절실 기획정보과 2013-02-06 2750
1365 설 대목 앞둬 비상품 감귤 유통 확대 예상 서귀포시 단속강화 기획정보과 2013-01-16 3376
1364 감귤 연중생산.유통체계 구축한다 기획정보과 2013-01-11 2599
1363 제주감귤육종센터 건립...신품종 연구탄력 기획정보과 2013-01-11 2837
1362 [칼럼]제주 감귤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본적인 생각 기획정보과 2013-01-04 2989
1361 대전오정동도매시장 전경(2012.12.28) 기획정보과 2012-12-28 4172
1360 [사설]'장미빛 청사진'에 그친 감귤수출 기획정보과 2012-12-27 284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