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노지감귤 생산예상량 '혼선'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13 09:32:15      ·조회수 : 3,031     

노지감귤 생산예상량 '혼선'
제주타임즈 9/13 김용덕 기자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이 조사 기관간 차이를 나타내면서 정책 혼선을 초래, 일원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제주도농업기술원은 지난 5월 화엽비 조사결과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은 54만t~58만5000t으로 예상한데 이어 지난 8월 착과량 조사에선 55만t~59만t으로 최종 발표했다.
반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 6월 재배농가를 대상으로 모니터링해 발표한 노지감귤 생산 관측량은 52~54만t으로 5월 제주도 발표와 2만~4만5000t 차이를 보였다. 이어 8월하순 조사한 생산량은 53만t~55만t으로 예상, 8월 제주도 발표와 2만t~4만t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농경연은 지난달 8월 22일부터 30일까지 농가 및 모니터 조사에 의해 올해산 노지감귤의 성목면적이 지난해보다 1% 감소하고 성목단수가 3~6% 감소해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4~7% 감소한 53만~55만t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농림부가 국가기관인 농경연 발표를 근거할 경우 제주도 발표 자료는 내부 자료에 불과하다. 때문에 이번에 제주감귤출하조절위원회가 농림부에 제출한 수급불안 해소 차원의 감귤유통명령 재도입 요청은 실무차원 협상에서 상당한 불리조건으로 작용할 우려를 크게 하고 있다.
실제로 농경연 8월 발표에 근거한 최고 55만t 생산예상량 기준, 감귤전문가들이 보는 적정생산량 46만5000t을 적용하고 비상품을 포함한 가공용을 빼면 수급조절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농협 관계자는 “제주도와 농경연 발표 차이로 인한 정책 혼선으로 중앙과 지방의 시각차가 상존하면서 많은 문제를 낳고 있다”며 “감귤 현지 조사기관의 조사치를 정책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아직도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도의 경우 감귤생산량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지난 2003년 용역 결과를 토대로 생산량을 화엽비와 착과량에 따라 조사 발표하고 있다. 때문에 현재 농경연의 모니터링을 통한 관측보다 훨씬 더 정확하다는 주장이다. 반면 농경연도 감귤을 뺀 나머지 과수에 대해서만 관측조사를 할 수 없다는 기본적인 시각에서 출발, 현지 농가 및 모니터링을 통한 조사의 정확성을 강조하고 있다.
결국 두 기관간 줄다리기로 아직까지도 감귤생산량 조사에 따른 일원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과수의 경우 전국 자치가운데 유일하게 제주도만 감귤 조례가 제정돼 있다. 제주도는 이를 근거로 감귤생산예상량을 조사, 이를 통해 수급조절계획을 세우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59 도내 감귤농가 고령화 가속 기획정보과 2012-12-14 3327
1358 매해 2만t정도의 폐밀감 어디로 숨겨지나 기획정보과 2012-12-04 3304
1357 대한민국 과수산업대전 제주감귤,키위 전국6대 과실과 경쟁 기획정보과 2012-11-28 3303
1356 "비상품 감귤 유통행위 방치" 기획정보과 2012-11-19 3631
1355 [기고]감귤 수확할때 눈을 보호하자 기획정보과 2012-11-13 3258
1354 1번과 관리실패 감귤시세'먹구름' 기획정보과 2012-11-08 2791
1353 제주시 감귤 서귀포산 둔갑 산남농심 애탄다. 기획정보과 2012-11-08 4015
1352 [기고]비상품감귤의 유통근절로 감귤 조수입 8,000억원 시대진입 기획정보과 2012-11-07 3778
1351 자치경찰 비상품감귤 유통 무더기 적발 기획정보과 2012-11-01 3346
1350 올해산 극조생 노지감귤 1번과 처리 골머리 기획정보과 2012-10-24 3459
1349 비상품 1번과 유통 우려 이미 현실로 기획정보과 2012-10-24 3562
1348 [기고]비상품감귤 유통행위는 소비자 기만행위 기획정보과 2012-10-15 3372
1347 올해산 제주감귤 잘 나간다 기획정보과 2012-10-10 2953
1346 [기고]감귤 돌연변이 선발에 관심을 기획정보과 2012-10-05 3498
1345 [기고]2012년산 노지감귤 값 호조세를 위한 우리의 준비 기획정보과 2012-10-02 3143
1344 [기고]비상품감귤 유통 근절로 감귤제값 받자 기획정보과 2012-09-26 2932
1343 [기고]경계대상 1호 '미숙감귤 강제착색' 기획정보과 2012-09-26 3173
1342 [기고] 제주감귤산업 망치는 강제착색행위 절대 안돼! 기획정보과 2012-09-25 2768
1341 [기고]감귤 조수입 8000억 향한 우리의 자세 기획정보과 2012-09-25 3071
1340 [사설]비상품감귤 출하는 '범죄행위' 기획정보과 2012-09-24 307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