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타과일동향-단감]생산 10% 줄어 값 강세 예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6-10-31 12:02:46      ·조회수 : 2,519     

단감 〈부유〉의 재배면적은 지난해보다 소폭 줄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는 중·만생종의 성목면적이 지난해 대비 2.5% 줄었다고 관측하고 있다. 고령화로 인한 폐원 등이 재배면적 감소의 요인으로 지목된다.

작황은 예년에 비해 부진한 편이다. 해거리 현상에다 수정기 냉해, 탄저병 및 낙엽병과 같은 병해 등이 겹친 결과다. 작황이 좋지 않았던 지난해보다 부진하다고 보는 이들이 많다. 수확시기도 예년보다 열흘 정도 늦춰졌다.

이로 인해 올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전년 대비 5~10% 줄었다는 관측이 대부분이고, 10% 가까이 줄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농업관측정보센터는 11월 이후 공급량을 전년 대비 7.7% 줄었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석규 구리청과 전무는 “재배면적 감소와 작황부진 등을 감안할 때 〈부유〉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0%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문제는 제대로 상품화할 물량이 많지 않다는 점이다. 생산량은 소폭 감소했지만 크기와 외관이 좋지 않아 상품화율이 예년보다 크게 떨어진다는 것.

이윤길 경남 진주시 문산농협 경제상무는 “고르지 못한 날씨로 인해 단감 표면에 검은점이 박힌 것이 많아 상품화율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며 “공동선별을 하고 있는데 상품화율이 예년의 70% 수준을 크게 밑도는 40~50%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상품화율 감소로 인해 산지 수집상들의 움직임은 상당히 활발하다. 아직까지 거래량은 많지 않지만 최근 산지에선 수집상인들이 고품질 위주로 가격을 타진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목격할수 있다.

최종열 경남 김해 진영농협 상무는 “나무에 달아놓은 상황에서 15㎏ 기준 1만2,000~1만5,000원으로 예년보다 3,000~4,000원 높게 거래되고 있다”며 “상인들의 움직임이 예년보다 활발한 편”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가격에 대해서는 강세로 보는 전망이 우세하다. 생산량이 줄어든 데다 당도 등 맛이 좋아 소비도 어느 정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재희 중앙청과 경매과장은 “생산량이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상품화할 수 있는 물량이 예년보다 적은 게 문제”라면서 “당도도 좋아 예년보다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경매사들은 “예년보다 값이 높게 형성될 것”이라며 “상품화율이 떨어져 품질에 따른 상·하품 간 가격차는 예년에 비해 크게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 출처 : 농민신문('06.10.31) -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59 도내 감귤농가 고령화 가속 기획정보과 2012-12-14 3327
1358 매해 2만t정도의 폐밀감 어디로 숨겨지나 기획정보과 2012-12-04 3304
1357 대한민국 과수산업대전 제주감귤,키위 전국6대 과실과 경쟁 기획정보과 2012-11-28 3303
1356 "비상품 감귤 유통행위 방치" 기획정보과 2012-11-19 3631
1355 [기고]감귤 수확할때 눈을 보호하자 기획정보과 2012-11-13 3258
1354 1번과 관리실패 감귤시세'먹구름' 기획정보과 2012-11-08 2791
1353 제주시 감귤 서귀포산 둔갑 산남농심 애탄다. 기획정보과 2012-11-08 4015
1352 [기고]비상품감귤의 유통근절로 감귤 조수입 8,000억원 시대진입 기획정보과 2012-11-07 3778
1351 자치경찰 비상품감귤 유통 무더기 적발 기획정보과 2012-11-01 3346
1350 올해산 극조생 노지감귤 1번과 처리 골머리 기획정보과 2012-10-24 3459
1349 비상품 1번과 유통 우려 이미 현실로 기획정보과 2012-10-24 3562
1348 [기고]비상품감귤 유통행위는 소비자 기만행위 기획정보과 2012-10-15 3373
1347 올해산 제주감귤 잘 나간다 기획정보과 2012-10-10 2953
1346 [기고]감귤 돌연변이 선발에 관심을 기획정보과 2012-10-05 3498
1345 [기고]2012년산 노지감귤 값 호조세를 위한 우리의 준비 기획정보과 2012-10-02 3143
1344 [기고]비상품감귤 유통 근절로 감귤제값 받자 기획정보과 2012-09-26 2933
1343 [기고]경계대상 1호 '미숙감귤 강제착색' 기획정보과 2012-09-26 3173
1342 [기고] 제주감귤산업 망치는 강제착색행위 절대 안돼! 기획정보과 2012-09-25 2768
1341 [기고]감귤 조수입 8000억 향한 우리의 자세 기획정보과 2012-09-25 3071
1340 [사설]비상품감귤 출하는 '범죄행위' 기획정보과 2012-09-24 307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