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라봉재배, 심기일전 새로운 마음으로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05 14:13:15      ·조회수 : 2,726     

<b><font size=5>

한라봉재배, 심기일전 새로운 마음으로</font><font size=3>

제주도농업기술원 농업연구사 강 종 훈

지난 겨울동안의 따뜻한 날씨 속에 개나리와 유채꽃이 피어 가고, 어느덧 봄이 성큼 코앞에 다가온 느낌이다.

제주감귤의 대명사인 한라봉이 당도가 낮고 신맛이 강한 저급품 출하로 품질이 예전 같지 않다는 소비자들의 목소리가 자주 들려오고 있다.

지난 2월 7일에서 8일까지 남해안지방 한라봉 재배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남 나주와 고흥지역, 경남 거제지역을 방문한 적이 있다. 제주지역보다 시설조건이 좋지 않고 재배기술도 다소 떨어졌지만 완숙과를 골라 수확하여 당도가 13~16도, 산함량은 0.9~1.2% 정도로 품질이 비교적 우수하였다.

특히, 당도 13~14도 이상 산함량 1.0% 이하의 한라봉의 출하기준을 정하여 대형백화점 및 인근대형도매시장 등에 선별 판매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띄었다.

이 곳 농가들이 제주 한라봉과 품질차별화 노력을 하고 있었던 것이었다.

현재, 남해안의 한라봉 재배면적은 제주의 4.1% 수준이다. 이번 조사결과로 볼 때, 남해안 지역 한라봉은 시설비와 난방비 부담으로 급속히 확대될 가능성은 낮아 보였지만 시설비 등이 보조될 경우에는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도 품질향상을 위한 노력이 반드시 뒤따라야 하겠다.

우선 산함량이 높은 고접 육성수를 묘목 육성수(M16A)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한라봉의 맛은 산함량에 따라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고접 육성수에서는 신맛이 강한 한라봉이 생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품질이 고른 한라봉 출하를 위해 비파괴선과기를 도입 철저한 품질관리 출하시스템 정착 및 명품브랜드 육성도 점차 확대시켜 나가야 하겠다.

지금이 제주 한라봉의 위기라고 하면 지나친 표현일지 모르겠지만, 전남과 경남의 남해안 따뜻한 지방에서도 품질 높은 한라봉을 생산, 출하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제주 한라봉 재배농가들도 한라봉 도입초기의 마음가짐과 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가 한다.

끝으로, 이번 남해안 지역 한라봉 재배실태를 견학 다니면서 어느 한 농장에서 눈에 띈 글을 소개하고자 한다.

“자신의 농사는 수익을 내기 위한 사업이다. 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과 정성을 기울여야 한다. 아울러 사업성패의 책임은 모두 자신에게 있다. 남이 자기대신 농사지어 주지 않고 관리해 주지 않는다. 모든 것은 자신의 탓이다”라는 글로서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는 문장이었다.

누구도 맛없는 한라봉을 생산하려고 하지는 않겠지만, 앞으로 소비자를 감동시킬 수 있는 맛있는 한라봉 생산·출하만이 소비자의 선택을 받고 제주 한라봉의 옛 명성을 이어가는 길일 것이다.

이제, 심기일전하여 새로운 마음으로 고품질 한라봉 생산에 더욱 노력해야 하겠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59 도내 감귤농가 고령화 가속 기획정보과 2012-12-14 3318
1358 매해 2만t정도의 폐밀감 어디로 숨겨지나 기획정보과 2012-12-04 3300
1357 대한민국 과수산업대전 제주감귤,키위 전국6대 과실과 경쟁 기획정보과 2012-11-28 3289
1356 "비상품 감귤 유통행위 방치" 기획정보과 2012-11-19 3619
1355 [기고]감귤 수확할때 눈을 보호하자 기획정보과 2012-11-13 3249
1354 1번과 관리실패 감귤시세'먹구름' 기획정보과 2012-11-08 2788
1353 제주시 감귤 서귀포산 둔갑 산남농심 애탄다. 기획정보과 2012-11-08 4004
1352 [기고]비상품감귤의 유통근절로 감귤 조수입 8,000억원 시대진입 기획정보과 2012-11-07 3772
1351 자치경찰 비상품감귤 유통 무더기 적발 기획정보과 2012-11-01 3333
1350 올해산 극조생 노지감귤 1번과 처리 골머리 기획정보과 2012-10-24 3454
1349 비상품 1번과 유통 우려 이미 현실로 기획정보과 2012-10-24 3558
1348 [기고]비상품감귤 유통행위는 소비자 기만행위 기획정보과 2012-10-15 3366
1347 올해산 제주감귤 잘 나간다 기획정보과 2012-10-10 2941
1346 [기고]감귤 돌연변이 선발에 관심을 기획정보과 2012-10-05 3490
1345 [기고]2012년산 노지감귤 값 호조세를 위한 우리의 준비 기획정보과 2012-10-02 3142
1344 [기고]비상품감귤 유통 근절로 감귤제값 받자 기획정보과 2012-09-26 2927
1343 [기고]경계대상 1호 '미숙감귤 강제착색' 기획정보과 2012-09-26 3170
1342 [기고] 제주감귤산업 망치는 강제착색행위 절대 안돼! 기획정보과 2012-09-25 2752
1341 [기고]감귤 조수입 8000억 향한 우리의 자세 기획정보과 2012-09-25 3061
1340 [사설]비상품감귤 출하는 '범죄행위' 기획정보과 2012-09-24 306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