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기고]감귤의 경쟁력은 고품질이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8-05-23 18:17:07      ·조회수 : 3,203     

지난 4월23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제주도내 감귤재배 농업인 등 1500여명이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실천 결의대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글로벌 경쟁시대에 감귤원 경영 CEO로서 스스로 변해야 한다는 각오로, 지금까지의 생산량위주의 관행적 재배에서 품질위주의 생산체계로 전환하는데 앞장서며, 국내 1등 과일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 밀식감귤원의 재배환경개선과 불량감귤열매솎기 등 생산관리 노력을 철저히 이행하겠다고 다짐했다. 또한 당도 11브릭스 이상의 고품질 감귤을 생산하여 소비자로부터 신뢰받는 맛좋은 감귤을 생산하자는 데도 공감하였다.

요즘 소비자들은 맛이 좋고 안전성만 확인되면 가격은 조금 비싸더라도 고품질 농산물을 사겠다고 한다. 소비자들은 고품질의 감귤을 선호하는데 아직도 생산자들은 눈앞의 작은 이익 때문에 비상품 감귤 판매에 집착하다보면 큰 것을 잃게 될지 모른다.

농산물시장에는 1등이 아니면 경쟁에서 밀려 제 값을 받지 못한다. 경쟁의 대상은 외국산 수입과일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생산되는 과일끼리도 경쟁해야 한다. 물론 감귤의 품질을 높이는 일이 말처럼 쉽지는 않다. 하지만 생산농가들은 돈을 벌기 위해 감귤농사를 짓기 때문에 돈을 많이 벌기 위해서는 어렵고 힘들지만 선진국 수준의 맛있는 고품질감귤을 생산하는 것이 유일한 생존전략이고 경쟁력이다.

필자가 근무하는 제주감귤농협 제2유통센터에서 출하된 2006년산 노지감귤의 품질을 보면, 브랜드급이라 할 수 있는 당도 11브릭스 이상 산도 1% 미만의 '불로초'는 9%, 당도 10브릭스 이상인 '귤림원'은 22%로써 전체출하량의 31%나 되며, '불로초'는 일반품의 3배, '귤림원'은 2배의 높은 값을 받았다.

품질에 따라 가격이 차별화 되는 시대, 즉 고품질 감귤이 제값을 받는 시대에 농가는 스스로 고품질 감귤을 생산하고, 농·감협은 비파괴광센서선과기 등 현대화된 유통시설에서 객관적인 방법으로 품질을 등급화 하여 출하하면, 소비자는 자기가 원하는 품질의 감귤을 믿고 구입할 수 있는 소비자중심의 유통구조가 되어야 한다.

한미FTA가 국회의 비준만을 남겨놓은 상태이고, 일본과도 협정을 추진하려는 것을 보면 수입개방은 거스를 수 없는 물결이다.

농산물시장개방의 높은 파고를 헤쳐 갈 주체는 감귤생산농가들이다. 자유무역협정의 본질은 경쟁 심화인데, 경쟁의 주체인 생산농가의 의욕이 높을수록 경쟁력도 높아진다.

맛있는 감귤을 생산해서 소비를 확대하고 수입농산물과 경쟁에서 이겨야 감귤산업이 발전한다. 고품질감귤생산이 최고의 경쟁력이다.


<좌창우.제주감귤농협 상임이사>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59 도내 감귤농가 고령화 가속 기획정보과 2012-12-14 3318
1358 매해 2만t정도의 폐밀감 어디로 숨겨지나 기획정보과 2012-12-04 3300
1357 대한민국 과수산업대전 제주감귤,키위 전국6대 과실과 경쟁 기획정보과 2012-11-28 3285
1356 "비상품 감귤 유통행위 방치" 기획정보과 2012-11-19 3616
1355 [기고]감귤 수확할때 눈을 보호하자 기획정보과 2012-11-13 3248
1354 1번과 관리실패 감귤시세'먹구름' 기획정보과 2012-11-08 2788
1353 제주시 감귤 서귀포산 둔갑 산남농심 애탄다. 기획정보과 2012-11-08 4002
1352 [기고]비상품감귤의 유통근절로 감귤 조수입 8,000억원 시대진입 기획정보과 2012-11-07 3772
1351 자치경찰 비상품감귤 유통 무더기 적발 기획정보과 2012-11-01 3327
1350 올해산 극조생 노지감귤 1번과 처리 골머리 기획정보과 2012-10-24 3452
1349 비상품 1번과 유통 우려 이미 현실로 기획정보과 2012-10-24 3557
1348 [기고]비상품감귤 유통행위는 소비자 기만행위 기획정보과 2012-10-15 3365
1347 올해산 제주감귤 잘 나간다 기획정보과 2012-10-10 2931
1346 [기고]감귤 돌연변이 선발에 관심을 기획정보과 2012-10-05 3485
1345 [기고]2012년산 노지감귤 값 호조세를 위한 우리의 준비 기획정보과 2012-10-02 3140
1344 [기고]비상품감귤 유통 근절로 감귤제값 받자 기획정보과 2012-09-26 2927
1343 [기고]경계대상 1호 '미숙감귤 강제착색' 기획정보과 2012-09-26 3166
1342 [기고] 제주감귤산업 망치는 강제착색행위 절대 안돼! 기획정보과 2012-09-25 2747
1341 [기고]감귤 조수입 8000억 향한 우리의 자세 기획정보과 2012-09-25 3060
1340 [사설]비상품감귤 출하는 '범죄행위' 기획정보과 2012-09-24 306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