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생명산업·제주경제 ‘중대 기로’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17 15:54:37      ·조회수 : 2,950     

<p></p>
<font size=5"><b>생명산업·제주경제 ‘중대 기로’</b></font>
<p></p>
<font size="4" color="blue">[감귤 100년 위기를 기회로] 제1부

‘태풍의 눈’한미FTA 제주협상 (1)프롤로그</font>
<p></p>

<font size="3">한라일보 10/17 강시영 기자

1세기 동안 지역경제 버팀목 성장

시장개방등 최대고비 위기감 고조

 2006년산 노지감귤이 본격 출하되기 시작했다. 감귤을 제주의 생명산업으로 가꿔

온 농가들은 수확의 기쁨도 잠시 감귤산업의 미래를 떠올릴 때 마다 착잡하기만 하

다.

 농산물 최대 수출국인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이 진행되면서 제주감귤이 ‘생

명산업’·‘국민과일’로서의 위상을 위협받고 있기 때문이다.

 관세 빗장이 무너질 경우 감귤산업은 물론이고 제주경제가 붕괴될 수 있다는 경고

음이 잇따르고 있다. 제주도 당국과 감귤농민들은 한·미FTA 협상을 지켜보면서 “지

금이 제주감귤의 최대 위기”라는데 절감한다.

 급기야 오는 23일부터 5일간 예정된 한미FTA 4차협상 테이블이 제주에 놓이게 됐

다. ‘불난집에 부채질하는 격’이라는 반발이 지속되는 가운데 제주도 당국은 “선뜻

수용하기 어려운 문제였지만 전략적 기회로 활용하자”고 도민들을 설득하고 있다.

 ‘태풍의 눈’으로 다가온 한미FTA 협상은 제주감귤의 위기 국면을 한마디로 웅변

하고 있다.

 기록으로만 보더라도 천년이 넘은 역사를 간직한 제주감귤은 근대적 의미의 산업

으로 도입된지도 1백년전인 20세기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록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1907년 제주에 유배됐던 조선말엽 개화파 주역이

었던 박영효가 제주시 ‘구남동’ 지역에 개량 감귤을 도입했었다는 내용이 구전되면

서 근대적 의미의 제주감귤의 효시라고 전해지지만 흔적은 남아있지 않다.

 ‘제주도실기’에 따르면 ‘1910년부터 일본 귤목을 식부하고 관청에서 장려하여 매

년마다 생산량이 많아져 갔다. 산남 서홍리는 일본 사람이 대규모로 경영한다”고 기

록하고 있다.

 감귤주산지인 서귀포 지역 도입자는 20세기초 프랑스 출신의 타케 신부가 효시로

전해진다. 난지농업연구소 김한용 박사는 “타케가 서홍성당에서 선교활동과 식물채

집을 하는 동안 1911년에 서귀포지역에 온주밀감 14그루를 심었으며 이 때가 서귀포

지역에서 온주밀감을 처음 재배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증언과 기록은 감귤이 ‘대학나무’로 회자되면서 생명산업으로 제주경제에

버팀목이 되기 시작한지 1세기가 됐음을 뜻한다. 바로 이 시기에 제주감귤은 다가

올 1세기를 담보할 수 있는 산업으로 성장을 계속 구가할 수 있을지 중대 기로에 섰

다.

 ‘근대감귤 100년’은 감귤산업이 제주경제·사회에서 차지하는 지위로 볼 때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근·현대 제주사에서 감귤은 제주 제1의 ‘효자산업’으로 발전해 왔다.

제주의 경제적 부흥은 감귤이 주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제주감귤은 그동안 많은 시련을 겪어야 했으며 지금도 개방파고에서 힘겨운 생존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한·미FTA, 한·중FTA, 한·일FTA 등 개방협상은 제주감귤

을 더욱 위기로 내몰고 있는 상황이다.

 한라일보는 ‘근대감귤 100년’을 맞아 한미FTA 제주협상을 시작으로 제주감귤의

발자취를 더듬어보고 한·미FTA, 한·일 및 한·중 FTA 등 연쇄 개방협상, 제주감귤의

현주소, 발전방안 등에 대해 감귤농가, 독자들과 함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연중기

획 보도한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39 대형유통업체 자체 농산물 물류센터 경쟁적 건립 기획정보과 2012-09-21 2812
1338 남원농협, 남원거점 APC 신축공사 기공 기획정보과 2012-09-20 2705
1337 [기고]노지감귤 당도 높이기 사업의 필요성 기획정보과 2012-09-05 3352
1336 인터넷으로 만나는 최고감귤생산 길라잡이 기획정보과 2012-07-20 3664
1335 하귀농협 감귤수출전문출하회 조직 기획정보과 2012-07-06 3512
1334 한·중 FTA 2차협상 긴장 고조 기획정보과 2012-07-03 3310
1333 조천·함덕농협, 내년도 APC 건립 대상자로 선정 기획정보과 2012-06-29 3262
1332 감귤 당도 높이기 지원사업 확대 기획정보과 2012-06-27 3247
1331 제주, 감귤 1만톤 수출 무리수 우려 기획정보과 2012-06-21 3861
1330 [환경일보]고당도 새품종 만감류 ‘남진해’ 출하 기획정보과 2012-05-03 2506
1329 도내 수출업체 3곳, aT 지사화 사업 선정 기획정보과 2012-04-13 2567
1328 <주간 농사정보>주요 농작물 생육상황 및 관리요령 기획정보과 2012-04-13 2965
1327 정보화마을 전자상거래 성장 지속 기획정보과 2012-04-13 3050
1326 한미FTA 발효...제주 1차산업 피해 현실로...제주도 차원 체계적 대응책 마련 절실 기획정보과 2012-03-16 3925
1325 감귤 간벌이 시급한 까닭 기획정보과 2012-03-08 3683
1324 서귀포시, 감귤 타이벡 지원 신청 접수 기획정보과 2012-03-05 2990
1323 수출전용 선과장 건립 절실하다 김혜숙 2012-02-27 3267
1322 올해산 감귤 7000톤 지구촌 곳곳 누빈다 기획정보과 2012-02-22 3730
1321 [기고]수확의 기쁨이 충만한 농촌을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2-02-15 3613
1320 ‘불로초' 퍼스트브랜드 과수부문 2년 연속 대상 기획정보과 2012-02-14 342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