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비상품 감귤 출하 눈감아 주고 있다니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25 12:07:01      ·조회수 : 2,163     

<p></p>
<font size="5"> <b>비상품 감귤 출하 눈감아 주고 있다니 </b></font>
<font size="3">제주일보 11/24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 소속 열린우리당 오영훈 의원은 22일 서귀포시에 대한 행정

사무감사에서 비상품 감귤 유통지도단속과 관련, “(단속반) 공무원은 단속 현장에

나가지도 않고, 민간인들만 단속활동을 벌이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오 의원은 “일부 단속반은 선과장에서 비상품 출하 현장을 적발하고도 적당한

선에서 눈을 감아버리는 경우가 있다”며 “결국 사회단체 임원 등이 포함된 민간인

단속반이 자신들과 관련된 작목반을 봐주는 편파단속을 벌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의 근거로 올 들어 서귀포시 지역에서 적발된 33건의 위반사례 가운데 농협 작목

반 행위는 단 1건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개인상회나 개인 선과장으로 나타난 점을

들었다.

심지어 오 의원은 단속과정에 뒷거래도 벌어진다는 제보가 있다는 의혹까지 제기했

다. 다시 말해 지난달 중순 감귤유통명령제 시행에 따른 제주도. 농협 등의 강력한

단속에도 불구하고 비상품 감귤이 육지부로 계속 출하되는 데는 상기(上記)한 바 그

럴만한 이유들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관련자가 극소수에 국한된 문제라 할지라도 가히 충격적이다.

한마디로 제주의 생명산업인 감귤을 공멸(共滅)로 이끄는 자해행위에 다름 아니다.

제주도는 이의 진상을 속히 명명백백하게 밝혀내고 관련자들을 엄벌해야 한다. 이

와 함께 단속반 운영에 대한 전면 재검토도 시급히 뒤따라야 할 것이다.

그렇잖아도 이달 초순부터 어렵게 상승세로 돌아선 감귤가격이 또다시 내려앉을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까지 비상품 출하했다가 적발된 사례

가 벌써 100건을 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더 이상 방치할 경우 소비자 신뢰 추

락과 고품질 제주감귤의 이미지 훼손으로 이어질 것은 불을 보듯 하다.

문제가 중대한 만큼 도 당국은 경찰 수사의뢰도 적극 모색해야 한다.

이번 기회에 비상품 출하 유통의 악순환의 고리를 확실히 단절할 수 있게 말이다.

그런 점에서 의혹을 제기한 오의원은 관련 제보내용을 소상히 공개하는 등 당국의

진상규명에 적극 협조하기 바란다. 지금 이 순간에도 잠복근무를 하면서 성실히 비

상품 감귤 출하 단속에 나서고 있는 대다수 단속반원들의 명예와 긍지를 위해서도

그렇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39 대형유통업체 자체 농산물 물류센터 경쟁적 건립 기획정보과 2012-09-21 2812
1338 남원농협, 남원거점 APC 신축공사 기공 기획정보과 2012-09-20 2705
1337 [기고]노지감귤 당도 높이기 사업의 필요성 기획정보과 2012-09-05 3352
1336 인터넷으로 만나는 최고감귤생산 길라잡이 기획정보과 2012-07-20 3664
1335 하귀농협 감귤수출전문출하회 조직 기획정보과 2012-07-06 3513
1334 한·중 FTA 2차협상 긴장 고조 기획정보과 2012-07-03 3310
1333 조천·함덕농협, 내년도 APC 건립 대상자로 선정 기획정보과 2012-06-29 3263
1332 감귤 당도 높이기 지원사업 확대 기획정보과 2012-06-27 3247
1331 제주, 감귤 1만톤 수출 무리수 우려 기획정보과 2012-06-21 3862
1330 [환경일보]고당도 새품종 만감류 ‘남진해’ 출하 기획정보과 2012-05-03 2506
1329 도내 수출업체 3곳, aT 지사화 사업 선정 기획정보과 2012-04-13 2567
1328 <주간 농사정보>주요 농작물 생육상황 및 관리요령 기획정보과 2012-04-13 2966
1327 정보화마을 전자상거래 성장 지속 기획정보과 2012-04-13 3050
1326 한미FTA 발효...제주 1차산업 피해 현실로...제주도 차원 체계적 대응책 마련 절실 기획정보과 2012-03-16 3925
1325 감귤 간벌이 시급한 까닭 기획정보과 2012-03-08 3685
1324 서귀포시, 감귤 타이벡 지원 신청 접수 기획정보과 2012-03-05 2990
1323 수출전용 선과장 건립 절실하다 김혜숙 2012-02-27 3267
1322 올해산 감귤 7000톤 지구촌 곳곳 누빈다 기획정보과 2012-02-22 3730
1321 [기고]수확의 기쁨이 충만한 농촌을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2-02-15 3613
1320 ‘불로초' 퍼스트브랜드 과수부문 2년 연속 대상 기획정보과 2012-02-14 342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