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타임스][기고]"제주감귤, 잘 나갈 때 대비해야 합니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10-04 09:56:12      ·조회수 : 2,807     

<b><font size = 4>[기고] "제주감귤, 잘 나갈 때 대비해야 합니다" </font></b>


감귤 열매솎기는 우리 농업인이 책임이요, 의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주 감귤 잘 나갈 때 대비해야 하겠습니다.

제주감귤은 전체 경지면적(57,867ha)의 37%, 전체농가(36,465호)의 85%, 농가당 경지면적 0.7ha, 농산물 조수입의 55.3%를 차지하고 있는 제주의 관광산업과 더불어 지역경제를 지탱하는 지주산업으로써 감귤산업은 제주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만큼 매우 중요한 산업이다.

감귤(원)산업이 공익적 기능을 환경보전적 기능의 가치와 관광자원으로서의 경관적 공익가치로 구분하면, 환경보전적 기능은 대기정화 기능, 수자원 함양 기능, 홍수조절, 토양유실 저감기능, 기후 순화기능 등 경제적 가치는 연간 1,816억원에 이르며, 관광자원으로서의 경관적 공익가치를 합하면 연간 2,499억원이라는 공익적 기능 가치 평가에 대한 연구 또한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불량 감귤 열매솎기 전선에 뛰어든지 한달이 넘었다.

정말 열심히 달려왔는데, 태풍 “나리”란 놈이 물 폭탄은 타오르던 열매솎기 열기를 식게 만들어 버렸다.

아마도 후반전 대 반격을 하라는 의미에서 잠시 쉬는 시간을 주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감귤 열매솎기는 단순한 생산량 조절이 아니다.

품질향상을 통한 소득 증대와 수확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부모가 자식 걱정하는 마음처럼 감귤나무를 잘 관리할 때 소비자가 감동하는 고품질감귤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불로초, 귤림원, 황제"등 브랜드 감귤이 좋은 가격으로 소비자들에게 다가서고 있는 것이다.

엊그제 지나간 태풍이 아픔처럼 감귤재배 농업인은 지난 2002년 과잉생산으로 애지중지 키운 감귤을 아스팔트 위에 내동댕이 쳐야만 했던 아픈 경험을 갖고 있다.

그 만큼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안일했던 결과는 참혹했던 것이다. 감귤가격 폭락으로 제주농업인들의 영농 의지마저 꺾일 위기를 맞이하였던 것이 불과 몇 년 전일이 아닌가 ? 막막하고 절박 했던 7년의 세월 그러나 벼랑 끝에서 우리는 제주감귤을 지켜냈다.

감귤원 폐원과 1/2간벌, 열매솎기, 감귤 유통조절명령제 도입 등의 노력으로 최근 3년 동안 제주감귤은 전성시대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다시 절대 위기가 오고 있다. 이대로 주저앉으면 제주감귤은 절망적 상황에 빠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유통대란을 막기 위하여 불량 감귤 7만톤 이상을 반드시 솎아내어 절제절명의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해야 하겠다.

연일 구슬땀을 흘리고 있는 태풍 피해복구를 하루 빨리 마무리하고 최소한 15일 이상 자기 감귤원에 나가서 비상품과 열매를 따내야 한다.

소비자가 감동하는 고품질 감귤의 적정생산과 공급은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다. 그것은 우리 농업인의 책임이요, 의무라고 생각한다.

4년 연속 조수입 6천억원 시대의 알찬 수확을 위하여 “생산량의 10% 이상 열매솎기운동” 3단계 감귤 수상선과에 반드시 전 감귤재배 농가가 참여하여 감귤 제값 받기를 실현하고 태풍의 상처를 말끔하게 씻어 주는 촉매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김 영 준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정책과 2007년 10월 03일 (수)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19 기온상승 노지감귤과 한라봉 제주 고유물 아니다 기획정보과 2012-02-13 2816
1318 감귤은 국민과일...1인당 소비량 꾸준한 안정세 기획정보과 2012-02-10 3622
1317 "천혜향·감평 재배농가 로열티 주의해야" 기획정보과 2012-02-09 3818
1316 감귤 볼록총채벌레 책자 발간 기획정보과 2012-02-08 3437
1315 제주감귤농협, 감귤 품질향상 사업 추진에 전력 기획정보과 2012-02-02 3549
1314 감귤 로열티 문제 신품종 개발로 극복 기획정보과 2012-01-31 3815
1313 제주감귤 가공품 해외시장 누비나 기획정보과 2012-01-27 3326
1312 농촌여성이 만든 '감귤과즐' 인기 짱 기획정보과 2012-01-20 3638
1311 서울.경기 도매시장서 비상품 감귤 버젓이 유통 기획정보과 2012-01-20 3055
1310 종자전쟁시대 감귤 품종 개발 총력 기획정보과 2012-01-17 3256
1309 감귤 높이기 운동 전개 기획정보과 2012-01-10 3151
1308 [제민포럼]새로운 행정시장의 감귤정책 기획정보과 2012-01-05 3222
1307 서귀포시 올해 감귤분야 FTA기금 479억원 투입 기획정보과 2012-01-02 3004
1306 감귤품종 자급화 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1-12-21 2923
1305 감귤유통명령제 감귤값 안정 '효자손' 기획정보과 2011-12-19 2843
1304 "감귤원 구조 바꾸니 품질도 좋아지네" 기획정보과 2011-12-12 3546
1303 신품종 감귤 '레드향' 열과율 줄일 수 있다 기획정보과 2011-12-12 3156
1302 조기 대풍, 감귤 수확철...농어촌 "일손 없나요" 기획정보과 2011-12-08 5219
1301 제주 병귤 유전체 해독 눈 앞에 다가왔다 기획정보과 2011-12-07 2825
1300 2011년 감귤 强小農(강소농) 탄생 기획정보과 2011-12-06 382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