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수입오렌지]다국적청과기업 등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4-28 16:41:04      ·조회수 : 3,140     

[출처 : 농수축산 신문. 2006. 4. 26]

지난해 주춤했던 오렌지 수입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수입 오렌지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미국 이외에 중국·스페인·칠레산 오렌지의 수입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해 수입 오렌지시장을 점검했다.

# 다시 늘어난 오렌지 수입

오렌지는 바나나와 더불어 수입 농산물 중 가장 안정적이고 큰 시장을 갖고 있는 품목이다.

국내 수요량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데다 공급량도 과다하지 않은 정도에서 수입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는 다국적 청과기업뿐만 아니라 개인 수입업자들까지 가세해 오렌지를 무분별하게 수입하다 보니 오렌지 시장이 ‘전쟁터’를 방불케 하고 있다.

실제 오렌지 수입량는 1999년 이전까지 연간 3만톤 가량에 불과했다. 이후 소비의 증가와 함께 관세율까지 50%로 낮아지면서 지난 2000년 9만톤, 2003년 14만5398톤, 2004년 15만5167톤으로 불과 3년 만에 5배 이상 폭증했다.

지난해에는 비로 인한 산지 작황이 좋지 않았고 검역 등으로 인해 수입물량이 12만3000톤에 그쳤지만 올해는 1/4분기만 해도 지난해 동기보다 19% 증가한 6만7687톤이 수입됐다.

특히 썬키스트, 델몬트, 돌코리아 등 다국적 청과기업들이 아시아에서 일본과 맞먹는 오렌지시장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 오렌지시장 선점을 위해 물량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세를 감안하더라도 미국 현지보다 국내 판매가격이 2배 가량 높은 데 따른 것이다.

현재 가락동 도매시장에서 수입 오렌지는 수입 물량의 증가로 인해 네이블 상품 18kg당 3만5000원선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6% 가량 하락했다.

다국적 청과기업에서 임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Y씨는 “올해처럼 수입업자들이 무작위로 물량 공세만 펼친다면 국산 농산물 뿐만 아니라 수입업자 스스로도 피해를 입게 되는 사태는 매년 발생케 될 것이다”라고 우려했다.

# 냉담한 소비자 반응

수입 오렌지는 일반적으로 감귤시장이 거의 종료되는 시점인 2월 말부터 시작해 3월과 4월에 초절정에 달했다 6월에 마무리 된다.

그러나 올해는 상품성이 우수한 저장 감귤이 지난주까지도 지속적으로 출하된 데다 지난 2월 미국 캘리포니아 산지에 비가 너무 많이 와 수확을 제때 하지 못해 출하시기가 늦어졌다.

이로 인해 오렌지 수입량이 지난달에 크게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반응은 냉담한 상황이다.

수입 오렌지를 대체할 국내산 감귤, 딸기, 방울토마토 등의 시장 선점이 두드러진데다 품질도 평년에 비해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수입유통업체 관계자는 “1분기 오렌지 판매실적은 지난해 동기와 비슷한 것 같다”며 “그러나 소비자들이 지난해만큼 오렌지를 많이 찾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 다양화 된 수입국

‘오렌지’는 ‘미국산’이란 공식도 무너지고 있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달까지는 미국산 오렌지가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앞으로는 상품성이 우수한 스페인산과 칠레산, 그리고 산지원가가 낮으면서도 상품 평이 좋은 중국산이 점차 증가할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로 인해 오렌지 시장을 선점키 위한 수입업체들의 보이지 않는 전쟁도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수업업체 관계자는 “국내 연간 오렌지 적정 수요량은 12만톤 이하에서 맴돌 것이다”라며 “앞으로는 수입업자들이 물량 공세를 펼치기 보다는 품질로써 승부를 걸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개인 수입업자들이 국내에 들여오는 오렌지 물량은 65% 이상에 달한다”며 “이들이 무분별하게 미국산, 중국산 등을 수입하게 되면 오렌지 시장 몰락은 물론 국내 감귤시장까지 동반 몰락할 가능성도 높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가락동 도매시장 경매사도 “감귤시장과 오렌지시장의 연관 관계가 아예 없을 수는 없다”며 “얼마나 농산물을 저렴하면서도 우수한 품질로 소비지시장에 선보이느냐가 시장선점을 위한 ‘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준석 기자(hello@aflnews.co.kr)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99 감귤 대표 브랜드 육성 시급하다 기획정보과 2011-11-29 3802
1298 최근 서귀포 지역 감귤도난 잇따라 발생 기획정보과 2011-11-18 3219
1297 제주감귤이 더욱 사랑받으려면? 기획정보과 2011-11-17 3476
1296 비상품 감귤 유통행위 단속 강화 기획정보과 2011-11-17 4423
1295 파치 감귤을 따며 기획정보과 2011-11-17 3635
1294 제주농협, 감귤 미국수출 기반 조성에 총력 기획정보과 2011-11-11 3164
1293 고품질 감귤 출하,말보다 실천입니다 기획정보과 2011-11-09 2990
1292 미국 감귤 수출, 신선도 현지 반응 관건 기획정보과 2011-11-07 3156
1291 호조세 유지하던 감귤 하락세 기획정보과 2011-11-04 2881
1290 제주도 감귤수출 농·감협 FTA 사업비 배정확대 기획정보과 2011-11-04 3486
1289 알고 먹으면 두 배로 맛있는 우리 농산물 이야기 제주감귤 기획정보과 2011-11-01 4943
1288 감귤 수확철 맞아 불법 구조변경 화물차량 단속 기획정보과 2011-10-31 4279
1287 제주도 내년 감귤 8개사업 FTA기금 지원 기획정보과 2011-10-28 3631
1286 [제민포럼]감귤 탑프루트 사업을 마무리 하며 기획정보과 2011-10-28 3279
1285 제주농협 우수감귤 선도농가 발굴·육성 기획정보과 2011-10-25 2658
1284 '비상품감귤'이 우리를 멍들게 한다. 기획정보과 2011-10-21 3128
1283 식약청, 감귤 대미 수출 지원 '잔류 농약 설명회' 개최 기획정보과 2011-10-20 3038
1282 고품질 감귤·출하 조절 가격 좌우 기획정보과 2011-10-17 3777
1281 [제주] 올해 수확 감귤값 '쑥쑥' 기획정보과 2011-10-12 2966
1280 노지감귤 가격 지금부터 중요하다 기획정보과 2011-10-11 299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