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사설>한라봉 사업단의 소비자 조사 결과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1 10:14:29      ·조회수 : 2,948     

<사설>한라봉 사업단의 소비자 조사 결과
제주일보 6/21
한라봉 특화사업단(이하 사업단)이 지난 17, 18일 경기도 고양농산물유통센터에서 가진 ‘제주 한라봉 홍보 및 소비자 반응조사’ 결과, 현지 호응도가 대단했다는 보도다.

실제로 “예전에 한라봉을 여러 번 샀다. 그 때마다 신 맛이 너무 강해 먹기가 힘들었다. 그 후론 사먹지 않으려고 했다. 그러나 오늘 시식해 본 한라봉은 완전 달랐다. 이렇게 맛있는 감귤은 처음이다”는 주부들 반응도 소개됐다.

이를 입증하듯, 사업단이 준비한 한라봉 100상자가 1시간 사이 모두 팔렸다고 한다.

그 인기비결은 ‘맛’이었다는 결론이다. 고품질만이 경쟁력이 있다는 점을 확인한 자리였던 것이다.

이날 출하된 한라봉만 해도 지난 2월 수확 후 기능성 필름으로 포장→실내온도 4도에 저장→광센서를 이용, 당도와 산 함량 측정→일정수준 이상의 상품만 선과하는 과정을 거쳤다. 산도가 높고, 당도가 낮은 비상품이 결코 아니었다.

생산에서 유통에 이르기까지 철저하게 관리된 고품질이었다.

사실 본란은 그동안 기회 있을 때마다 제주산의 활로는 ‘고품질 뿐’이라는 점을 강조해 왔다.

고품질만이 자유무역협정(FTA) 등 국제개방 파고에 경쟁력을 확실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제주 만감류의 대표적 브랜드인 한라봉은 비상품 출하가 계속돼왔다.

일부 몰지각한 상인, 노점상, 농가들이 당장의 이익만을 좇은 탓이다.

전체 한라봉의 이미지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로써 가격이 예년의 절반 수준으로까지 폭락하는 수모는 당연한 것이었다.

지금으로 말하면 위기의 한라봉, 총체적 난국에 직면한 실정이다.

비상품 추방 자정운동이 절실하다.

‘제주의 명품, 한라봉의 명성을 되찾자’는 노력들이 한데 모아져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사업단의 조사결과는 한라봉 가격추락의 원인과 그 해법이 어디 있음을 명확하게 보여줬다.

당장 사소한 이익보다 항구적으로 제주감귤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농가의 자기성찰이 있어야 한다.

비상품의 과감한 통제와 고품질 지원 등을 조화롭게 하는 감귤정책의 확실성도 필요하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59 기후변화와 감귤 생리낙과 기획정보과 2011-07-21 3391
1258 개성으로 감귤의 새 역사를 창조하자 기획정보과 2011-07-20 2943
1257 감귤 만감류 전환·유통시설 현대화 등 필요 기획정보과 2011-07-20 2926
1256 감귤 求償무역 적극 추진해야 기획정보과 2011-07-15 3229
1255 노지감귤 군납 감소세 유통처리 한계 기획정보과 2011-07-15 2978
1254 감귤 군납 확대 건의 기획정보과 2011-07-15 3437
1253 2011 제주감귤국제마라톤 참가신청 접수 기획정보과 2011-07-11 3399
1252 감귤 초콜릿·쿠키 말레이시아 공략 기획정보과 2011-07-11 2849
1251 사회봉사자, 감귤 적과 작업 기획정보과 2011-07-10 2698
1250 제주감귤농협, 농식품 마케팅혁신대상 종합대상 수상 기획정보과 2011-07-08 2920
1249 "감귤산업 지나친 지원" 논란 이승하 2011-07-04 2926
1248 제주감협 중문지점, 고품질 감귤 결의대회 기획정보과 2011-06-28 3577
1247 올해 하우스감귤 가격 '양호' 기획정보과 2011-06-20 2981
1246 감귤원 휴식년제 열매따기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1-06-08 2876
1245 올해산 노지감귤 품질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1-06-08 3212
1244 감귤 美 수출 9년만에 재개되나 기획정보과 2011-05-30 3375
1243 감귤감산 참여위한 동기부여 필요 기획정보과 2011-05-30 2764
1242 제주감귤 '햇살바람'을 키워라 기획정보과 2011-05-26 4186
1241 제주감귤, 정부 수출유망산업으로 육성 기획정보과 2011-05-24 2444
1240 감귤 휴식년제 집중 지도한다 기획정보과 2011-05-24 262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