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농경연 FTA 감귤 피해분석 “과소평가” 농가 반발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14 15:38:29      ·조회수 : 3,276     

농경연 FTA 감귤 피해분석 “과소평가” 농가 반발
농민신문 8/14 강영식 기자
“믿기 어렵죠. 감귤 피해액은 지나치게 과소평가됐습니다.”

한·미 FTA(자유무역협정)가 체결되면 감귤 생산액은 10년간 평균 700억원이 감소할 것이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분석 결과에 대해 제주지역 감귤농가 등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본지 8월7일자 4면 보도).

감귤류 관세가 즉시 철폐될 경우 10년간 평균 2,156억원의 생산 감소가 있을 것이란 제주대 연구팀의 종전 연구결과와 너무 큰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감귤농가들은 국책연구기관인 농경연이 발표한 피해액이 과소평가됐다는 반응을 보이며 “사과 등 다른 과일에 비해 감귤이 홀대받는다는 느낌을 떨쳐버릴 수 없다”고 했다.

감귤농가 현승훈씨(41·서귀포시 표선면 세화1리)는 “농경연 연구는 감귤값이 바닥세를 면치 못했던 2002~2004년의 조수입을 기준으로 삼았다는데, 최근 기준인 6,000억원대를 적용하는 게 설득력이 있다”며 “감귤산업 피해액을 일부러 축소하려는 것 아니냐”며 의심의 눈초리를 보냈다. 김성균씨(41·서귀포시 남원읍 신흥리)도 “기존 연구보다 터무니없이 적은 농경연의 피해액 산출 결과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감귤농가는 아무도 없다”라고 했다.

김기훈 제주감귤농협 조합장은 피해액 산정은 수십만명의 생존이 걸린 중대한 문제라고 전제한뒤 “감귤 조수입은 6,000억원을 넘는데 감귤류 관세 철폐로 인해 감소되는 생산액이 수백억원대에 불과하다면 믿을 수 있겠느냐”며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고성보 제주대 교수는 “사과에 적용한 피해 추정 기준(교차탄성치)을 동일하게 감귤에 적용할 경우 감귤 피해액은 농경연 발표치보다 313억~422억원 증가한다”고 주장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59 기후변화와 감귤 생리낙과 기획정보과 2011-07-21 3391
1258 개성으로 감귤의 새 역사를 창조하자 기획정보과 2011-07-20 2943
1257 감귤 만감류 전환·유통시설 현대화 등 필요 기획정보과 2011-07-20 2926
1256 감귤 求償무역 적극 추진해야 기획정보과 2011-07-15 3229
1255 노지감귤 군납 감소세 유통처리 한계 기획정보과 2011-07-15 2978
1254 감귤 군납 확대 건의 기획정보과 2011-07-15 3437
1253 2011 제주감귤국제마라톤 참가신청 접수 기획정보과 2011-07-11 3399
1252 감귤 초콜릿·쿠키 말레이시아 공략 기획정보과 2011-07-11 2850
1251 사회봉사자, 감귤 적과 작업 기획정보과 2011-07-10 2698
1250 제주감귤농협, 농식품 마케팅혁신대상 종합대상 수상 기획정보과 2011-07-08 2920
1249 "감귤산업 지나친 지원" 논란 이승하 2011-07-04 2926
1248 제주감협 중문지점, 고품질 감귤 결의대회 기획정보과 2011-06-28 3577
1247 올해 하우스감귤 가격 '양호' 기획정보과 2011-06-20 2982
1246 감귤원 휴식년제 열매따기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1-06-08 2876
1245 올해산 노지감귤 품질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1-06-08 3212
1244 감귤 美 수출 9년만에 재개되나 기획정보과 2011-05-30 3375
1243 감귤감산 참여위한 동기부여 필요 기획정보과 2011-05-30 2764
1242 제주감귤 '햇살바람'을 키워라 기획정보과 2011-05-26 4186
1241 제주감귤, 정부 수출유망산업으로 육성 기획정보과 2011-05-24 2444
1240 감귤 휴식년제 집중 지도한다 기획정보과 2011-05-24 262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