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고품질 시스템 구축 ‘절대과제’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21 12:59:54      ·조회수 : 2,238     

<p></p>
<font size="5"><b>고품질 시스템 구축 ‘절대과제’ </b></font>

<font size="4" color="blue">“실천해야 산다는 상생의식 절실</font>

<font size="3">제주일보 10/20 김태형 기자

한미 FTA 협상에 따른 위기의식이 고조되면서 대응전략 수립과 전략산업 육성에도

초비상이 걸렸다.

가장 먼저 오렌지 등 감귤류의 한미 FTA 협상품목 제외 관철이 최우선 현안으로 대

두되고 있으며 시장 개방화에 대비한 고품질 생산·수급체계 구축도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절대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도 이번 FTA 협상 과정에서 감귤을 쌀과 마찬가지로 협상품목에서

제외시켜줄 것을 정부에 강력 요구하고 있으며 친환경 1차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

현재 FTA와 DDA(도하개발아젠다) 등 농산물 시장 개방화 파고에 노출된 도내 1차

산업은 생산과 유통, 수급 등에 있어 공통된 문제점을 갖고 있다는 게 일반적인 진단

이다.

생산인 경우 불규칙한 생산량에 따른 수급 불안정과 취약한 신품종 육성기반, 영세

한 경영규모 등으로 환경 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유통에 있어서도 체계적인 조직화와 품질 관리 미흡, 해상운송에 따른 물류비 부담,

2차 가공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점을 고스란히 내포하고 있다.

수급에서는 시장 개방 확대에 따른 수입물량 증가 여파로 가격 하락이 되풀이되는

구조상 악순환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는 이같은 문제점 진단에 따라 4500㏊에 이르는 감귤원 폐원 등 고품질 안정

생산 기반 구축과 밭작물 친환경단지 조성, 유통센터 대형화, 고품질 브랜드 육성 등

의 1차산업 경쟁력 강화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대해 농업계와 학계에서는 현재 ‘고품질’과 ‘친환경‘이라는 키워드로 압축되는

시장 개방화 해법이 이미 제시된만큼 이번 한미 FTA를 계기로 체계적인 실천전략

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특히 지역별로 특화된 1차산업 분야별 클러스터를 구축, ‘청정성’이라는 최대 이점

을 살린 안전하고 고품질의 생산·유통·수급 체계를 갖추는 경쟁력 강화 전략과 실천

방안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농업계 관계자는 “행정의 일관된 정책 추진과 농가의 적극적인 참여, 생산자단체의

지원 강화, 연구기관의 품종개발 활성화 등 기관별로 유기적인 협력시스템 구축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며 “이제는 실천해야 산다는 상생 의식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59 기후변화와 감귤 생리낙과 기획정보과 2011-07-21 3389
1258 개성으로 감귤의 새 역사를 창조하자 기획정보과 2011-07-20 2943
1257 감귤 만감류 전환·유통시설 현대화 등 필요 기획정보과 2011-07-20 2925
1256 감귤 求償무역 적극 추진해야 기획정보과 2011-07-15 3228
1255 노지감귤 군납 감소세 유통처리 한계 기획정보과 2011-07-15 2976
1254 감귤 군납 확대 건의 기획정보과 2011-07-15 3436
1253 2011 제주감귤국제마라톤 참가신청 접수 기획정보과 2011-07-11 3396
1252 감귤 초콜릿·쿠키 말레이시아 공략 기획정보과 2011-07-11 2848
1251 사회봉사자, 감귤 적과 작업 기획정보과 2011-07-10 2698
1250 제주감귤농협, 농식품 마케팅혁신대상 종합대상 수상 기획정보과 2011-07-08 2919
1249 "감귤산업 지나친 지원" 논란 이승하 2011-07-04 2926
1248 제주감협 중문지점, 고품질 감귤 결의대회 기획정보과 2011-06-28 3576
1247 올해 하우스감귤 가격 '양호' 기획정보과 2011-06-20 2981
1246 감귤원 휴식년제 열매따기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1-06-08 2876
1245 올해산 노지감귤 품질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1-06-08 3207
1244 감귤 美 수출 9년만에 재개되나 기획정보과 2011-05-30 3372
1243 감귤감산 참여위한 동기부여 필요 기획정보과 2011-05-30 2764
1242 제주감귤 '햇살바람'을 키워라 기획정보과 2011-05-26 4186
1241 제주감귤, 정부 수출유망산업으로 육성 기획정보과 2011-05-24 2443
1240 감귤 휴식년제 집중 지도한다 기획정보과 2011-05-24 262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