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라일보]감귤 '제 값 받기' 불투명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8-23 11:04:49      ·조회수 : 3,223     

[한라일보 2007. 8. 23]

<b>道, 29일 발대식 갖고 적과 총력전</b>


제주특별자치도가 감귤 제값 받기 차원서 열매솎기 작업을 대대적으로 전개할 계획이나 뜻대로 될지 미지수다.

농가들의 동참의지 보다는 제주자치도와 농협이 주축을 이루면서 이 사업이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3년 연속 감귤 제값 받기가 실효를 거두면서 올해의 경우 상당수 감귤농가들이 '무임승차'를 꿈꾸는 것도 한 몫 할 전망이다.

이에따라 제주자치도와 농협 등이 추진실적 관리 등에 급급해 하지 말고 농가들의 자발적인 참여 분위기 조성을 위해 특단의 '채찍과 당근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제주자치도에 따르면 이달 중순 농협에서 대대적인 열매솎기 동참 호소 발대식에 이어 이달말엔 제주자치도가 나서 결의대회를 준비하고 있다.

도는 또 올해 감귤 예상량이 이달안에 최종적으로 추산되겠지만 현수준을 감안할때 지난해보다 6~7% 많은 57만톤에서 60만톤까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와함께 다른 지방 과일 대부분이 풍작을 이루면서 지난해보다 생산량이 크게 늘어 감귤 열매솎기 등을 통한 품질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제 값 받기가 어려울 전망이다.

실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분석 결과 사과는 올해보다 4~8% 늘어난 42만~44만톤, 배는 5~7% 증가한 45만~46만톤, 감도 5% 늘어난 20만톤이 예상되는 실정이다.

도내의 경우 지난달 생산예상량 조사결과 저온에 따른 생리낙과가 거의 없으면서 감귤 주산지인 산남 동쪽 지역의 착과량이 매우 높고 상대적으로 산북은 지난해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농가들이 안일하게 감귤 열매솎기 작업에 대응할 경우 가격 하락은 사실상 불보듯 한 상황이다.

도는 이달말 발대식을 갖고 다음달 1일부터 2개월 동안 대대적인 불량 감귤 열매솎기 작업을 벌일 계획이다.

농협은 물론 감귤 생산자 단체, 농업인 단체, 감협 등의 도움을 통해 농가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차우진 도 친환경농축산국장은 "오는 29일 발대식을 계기로 총력전을 펴 나가겠다"며 "이번 작업을 통해 생산예상량 대비 10% 솎기 목표를 반드시 달성 시키겠다"고 말했다.

오태현 기자 thoh@hallailbo.co.kr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79 친환경 제주감귤 그을음병 주범 '귤가루이' 천적 찾았다 기획정보과 2010-12-14 3366
1178 김재윤 의원, 러시아대사 만나 ‘감귤수출’ 협의 기획정보과 2010-12-10 3166
1177 제주렌트카 타고 감귤 따기 체험도 하는 실속 제주여행 기획정보과 2010-12-10 3882
1176 금빛 들 너머 은빛 한라..지금 제주는 날마다 변신중 기획정보과 2010-12-10 2743
1175 농촌경제의 선순환을 위하여 기획정보과 2010-12-09 2962
1174 감귤농장에 튼튼한 빗장이 필요하다 기획정보과 2010-12-09 3765
1173 고드름 매달린 감귤나무 기획정보과 2010-12-08 3120
1172 ‘제주 감귤 따기 체험’ 행사 오는 10일 시작 기획정보과 2010-12-08 4033
1171 올해 감귤 맛이 왜 이렇지 기획정보과 2010-12-06 2931
1170 제주 농업생태원 감귤따기체험장 '인기' 기획정보과 2010-12-06 3480
1169 일구회, 신례1리서 감귤따기 방문 기획정보과 2010-11-30 3756
1168 제주감귤 동남아 수출 기반 ‘단단히’ 기획정보과 2010-11-24 3584
1167 "감귤 72종·돼지고기 15종 상표 난립" 기획정보과 2010-11-24 3930
1166 감귤유통 인센티브 기획정보과 2010-11-24 2836
1165 제주 노지 감귤도 따고 맛도 보고… 기획정보과 2010-11-18 2920
1164 [건강요리] 오방색으로 입맛 돋우는 ‘비빔밥’ 기획정보과 2010-11-16 2728
1163 자오즈민 “신혼여행 때 한라산·감귤에 반했다” 기획정보과 2010-11-16 3098
1162 [한겨레프리즘] 선키스트는 협동조합이다 / 김현대 기획정보과 2010-11-15 3373
1161 서귀포 감귤박물관 올레꾼 대상 홍보 주력 기획정보과 2010-11-15 2644
1160 감귤 농업인이 바라보는 중국 감귤 산지 변화 기획정보과 2010-11-11 271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