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라일보]감귤원 면적 10년새 16% 감소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10-02 11:05:18      ·조회수 : 3,337     

<b><font size=3>감귤원 면적 10년새 16% 감소</font></b>
<b><font size=2>연평균 4백ha 줄어… 면적당 수확늘며 생산량 21% 폭증</font></b>

제주통계사무소 조사

제주도내 감귤원 재배면적이 10년새 15% 이상 줄었다. 또 수입개방 진행 등 농어업 환경의 변화속에 농어가수 감소세도 뚜렷해지고 있다.

통계청 제주통계사무소가 발표한 '통계로 본 제주의 어제와 오늘'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감귤원 재배면적은 2000년 이후 폐원 증가로 15.9%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4백㏊ 이상인 4천40㏊가 줄어든 것이다.

그러나 감귤 생산량은 면적당 수확량 증가로 1996년 51만4천여톤에서 지난해 62만2백여톤으로 20.7% 늘었다.

지난해 전국생산량의 98.6%를 차지한 유채생산량 역시 재배면적 뿐 아니라 단위면적당 수확량 감소 등으로 인해 10년 전보다 60.6%(1천1백20톤) 줄어들었다.

감귤원 폐원으로 10년 전보다 재배면적이 가장 크게 늘어난 과실은 감으로 1996년 3백53톤에서 지난해 2천1백67톤으로 5배 이상이나 급증했다.

채소 생산량의 경우 10년동안 품목별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건고추, 무, 마늘, 양파, 당근 등 조미채소와 근채류의 생산량은 증가한 반면 수박, 배추, 참외, 양배추 등 엽채류와 과채류의 생산량은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도내 당근과 양배추 생산량은 각각 전국 생산량의 81.4%와 38.6%를 차지했다.

또 수입개방 여파 등에 따른 이농현상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이 기간에 농가와 어가수도 급격하게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도내 농가수는 3만6천4백65가구로, 10년 전인 1996년 3만9천4백85가구에 비해 7.6%(3천20가구) 감소했다. 농가인구도 26.2%(3만7천2백71명)나 감소한 10만5천1백3명으로 이농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어가수도 마찬가지다. 1996년 7천7백27가구에서 지난해 6천6백42가구로 10.2% 줄어들었다. 어가인구도 2만5천9백72명에서 1만9천3백88명으로 25.4% 감소하면서 어가 가구당 가구원수도 3.4명에서 10년 사이에 2.8명으로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2007. 10. 1> 문미숙 기자 msmoon@hallailbo.co.kr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79 친환경 제주감귤 그을음병 주범 '귤가루이' 천적 찾았다 기획정보과 2010-12-14 3366
1178 김재윤 의원, 러시아대사 만나 ‘감귤수출’ 협의 기획정보과 2010-12-10 3166
1177 제주렌트카 타고 감귤 따기 체험도 하는 실속 제주여행 기획정보과 2010-12-10 3881
1176 금빛 들 너머 은빛 한라..지금 제주는 날마다 변신중 기획정보과 2010-12-10 2743
1175 농촌경제의 선순환을 위하여 기획정보과 2010-12-09 2962
1174 감귤농장에 튼튼한 빗장이 필요하다 기획정보과 2010-12-09 3765
1173 고드름 매달린 감귤나무 기획정보과 2010-12-08 3120
1172 ‘제주 감귤 따기 체험’ 행사 오는 10일 시작 기획정보과 2010-12-08 4033
1171 올해 감귤 맛이 왜 이렇지 기획정보과 2010-12-06 2931
1170 제주 농업생태원 감귤따기체험장 '인기' 기획정보과 2010-12-06 3480
1169 일구회, 신례1리서 감귤따기 방문 기획정보과 2010-11-30 3756
1168 제주감귤 동남아 수출 기반 ‘단단히’ 기획정보과 2010-11-24 3583
1167 "감귤 72종·돼지고기 15종 상표 난립" 기획정보과 2010-11-24 3930
1166 감귤유통 인센티브 기획정보과 2010-11-24 2836
1165 제주 노지 감귤도 따고 맛도 보고… 기획정보과 2010-11-18 2920
1164 [건강요리] 오방색으로 입맛 돋우는 ‘비빔밥’ 기획정보과 2010-11-16 2728
1163 자오즈민 “신혼여행 때 한라산·감귤에 반했다” 기획정보과 2010-11-16 3098
1162 [한겨레프리즘] 선키스트는 협동조합이다 / 김현대 기획정보과 2010-11-15 3373
1161 서귀포 감귤박물관 올레꾼 대상 홍보 주력 기획정보과 2010-11-15 2644
1160 감귤 농업인이 바라보는 중국 감귤 산지 변화 기획정보과 2010-11-11 271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