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일부 농가.상인 일그러진 양심, 농.감협 안이한 자세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9-10-14 11:06:54      ·조회수 : 3,011     

▲ 지난 12일 서귀포소방서에 적발된 감귤후숙행위.

일부 농가.상인 일그러진 양심, 농.감협 안이한 자세 '공멸'


올해산 노지감귤 초기 출하 동향이 심상치 않다.


지난달 26일 극조생 노지감귤 첫 출하된 이후 이달 들어 조금씩 출하량이 늘면서 경락가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 전국 도매시장 평균 경락가는 지난 8일 10㎏ 기준 한 상자당 2만1400원을 정점으로 서서히 하락하기 시작, 13일에는 1만2300원까지 떨어졌다.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이유는 지난 8일까지는 1일 거래량이 최대 55.8t에 그쳤으나 9일부터는 221.5t, 10일 423.2t, 11일 646.3t, 13일에는 584.3t 등 출하량이 크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극조생 노지감귤 출하량 증가로 도매시장 경락가가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비상품감귤이 유통된다면 기름을 끼얹는 격이 된다.


그런데 최근 제주특별자치도가 비상품감귤 유통 행위 단속 현황을 보면 우려하는 상황이 전개될 개연성이 적지 않다.


제주도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1일까지 강제착색 3건, 출하신고 미이행 2건, 비상품감귤 유통 4건, 품질검사 미이행 2건 등 총 11건(35.2t)을 적발했다.


적발사례를 구체적으로 보면 제주시 일도2동과 조천읍, 제주시 토평동 등지의 개인 선과장에서 극조생 감귤을 강제착색하던 행위를 적발, 2.6t을 폐기처분 했다.


또 서귀포시 관내에서 출하신고를 하지 않은 채 대구와 대전 등 타 시.도로 출하한 감귤이 도매시장에서 근무 중인 단속반에 적발됐다.


더구나 제주시 일도2동과 조천읍, 서귀포시 효돈동과 하효동 등지의 개인 선과장에서 비상품감귤인 1번과를 2번과 상자로 포장, 유통시키려던 행위 4건이 적발되기도 했다.


극조생 노지감귤 출하 초기여서 강제착색 행위도 잇따라 적발되고 있지만 가장 큰 문제는 비상품감귤인 1번과의 유통행위다.


올해 감귤이 대풍작을 이루면서 9번과 등의 대과는 생산량이 적으나 소과인 1번과는 많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부 감귤농가와 몇몇 중간 상인들이 ‘나만 괜찮으면 된다’는 식의 일그러진 양심으로 비상품감귤을 매매, 유통시장에 반입시킬 경우 올해산 노지감귤이 본격적으로 출하되기 시작하면 가격폭락은 불 보듯 뻔하다.


특히 생산자단체인 농.감협이 안이한 자세로 인해 직영 선과장이나 소속 작목반이 운영하는 선과장에서 비상품감귤 유통 행위를 근절시키지 못할 경우 감귤산업은 ‘공멸’의 길로 들어설 수밖에 없다.


2005년 이후 최근 4년 동안 비상품감귤 유통 단속 실적을 보면 2005년 400건, 2006년 523건, 2007년 825건, 2008년 661건이다.


그런데 2007년도의 경우 감귤생산량이 역대 2위인 67만7770t으로 2005년의 60만511t에 비해 7만7000여t 많았다.


반면 비상품감귤 유통으로 적발된 건수는 2007년이 2005년에 비해 갑절 이상인 425건이나 많다.


따라서 2007년은 감귤생산량도 많은데 비상품감귤 유통 행위도 만연하면서 노지감귤 조수입은 2515억2300만원으로 2005년의 4462억7100만원의 56.4% 수준에 그쳤다.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이 2차 관측조사에서 67만6000t(+/-2만4000t)으로 조사된 것을 감안하면 지난 2007년과 상황이 아주 흡사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분석이다.


따라서 2007년과 같은 상황을 재현하지 않기 위해서는 비상품감귤이 일부 비양심적인 상인들을 통해 유통되지 않도록 농가와 농.감협의 자구노력이 절실하다.


한편 지난해 비상품감귤 유통 단속 실적을 보면 상인단체가 392건, 개별 상인(도외 적발) 148건으로 상인들이 적발된 건수가 전체 건수의 81.7%에 이르고 있고 농.감협 직영 선과장이나 소속 작목반이 적발된 건수도 86건(13.0%)으로 적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제주일보 10/14 김승종 기자>

일부 농가.상인 일그러진 양심, 농.감협 안이한 자세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79 친환경 제주감귤 그을음병 주범 '귤가루이' 천적 찾았다 기획정보과 2010-12-14 3371
1178 김재윤 의원, 러시아대사 만나 ‘감귤수출’ 협의 기획정보과 2010-12-10 3166
1177 제주렌트카 타고 감귤 따기 체험도 하는 실속 제주여행 기획정보과 2010-12-10 3886
1176 금빛 들 너머 은빛 한라..지금 제주는 날마다 변신중 기획정보과 2010-12-10 2751
1175 농촌경제의 선순환을 위하여 기획정보과 2010-12-09 2962
1174 감귤농장에 튼튼한 빗장이 필요하다 기획정보과 2010-12-09 3774
1173 고드름 매달린 감귤나무 기획정보과 2010-12-08 3120
1172 ‘제주 감귤 따기 체험’ 행사 오는 10일 시작 기획정보과 2010-12-08 4033
1171 올해 감귤 맛이 왜 이렇지 기획정보과 2010-12-06 2938
1170 제주 농업생태원 감귤따기체험장 '인기' 기획정보과 2010-12-06 3480
1169 일구회, 신례1리서 감귤따기 방문 기획정보과 2010-11-30 3756
1168 제주감귤 동남아 수출 기반 ‘단단히’ 기획정보과 2010-11-24 3587
1167 "감귤 72종·돼지고기 15종 상표 난립" 기획정보과 2010-11-24 3935
1166 감귤유통 인센티브 기획정보과 2010-11-24 2841
1165 제주 노지 감귤도 따고 맛도 보고… 기획정보과 2010-11-18 2920
1164 [건강요리] 오방색으로 입맛 돋우는 ‘비빔밥’ 기획정보과 2010-11-16 2730
1163 자오즈민 “신혼여행 때 한라산·감귤에 반했다” 기획정보과 2010-11-16 3098
1162 [한겨레프리즘] 선키스트는 협동조합이다 / 김현대 기획정보과 2010-11-15 3378
1161 서귀포 감귤박물관 올레꾼 대상 홍보 주력 기획정보과 2010-11-15 2648
1160 감귤 농업인이 바라보는 중국 감귤 산지 변화 기획정보과 2010-11-11 272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