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미 FTA 놓고 중앙·지방 시각차 ‘여전’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11 10:45:31      ·조회수 : 3,131     

한미 FTA 놓고 중앙·지방 시각차 ‘여전’
감귤 피해액 계측결과 편차...제주 불이익 우려
제주일보 8/11 김태형 기자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과일류 피해액 계측결과’에서 감귤에 대한 중앙-지방간 시각차가 재확인되면서 상대적인 불이익을 당하지 않을까 우려된다.

특히 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의 이번 과일류 피해액 조사는 정부의 예외품목 및 민감품목 선정 기준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 현재 추진중인 감귤피해 연구용역을 조기 마무리, 확실한 분석자료를 갖고 중앙을 설득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재확인된 시각차=농경연이 지난 4일 농림부 주최로 열린 ‘한미 FTA 농업계 대토론회’에서 발표한 과일류 피해액(생산액 감소 규모)은 사과(980억∼1524억원), 포도(871억∼1421억원), 감귤(676억∼930억원) 등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미 FTA 감귤산업 영향분석 용역을 맡고있는 고성보 제주대 산업응용경제학과 교수는 10일 “농경연의 피해액 계측결과에 적용된 교차탄성치와 가격하락율 등에 있어 문제가 있다”고 반박했다.

교차탄성치는 FTA 체결에 따른 관세 인하로 수입산 가격이 국내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변수로, 감귤(0.25∼0.35)인 경우 사과(0.2∼0.4)보다 낮은 폭이 적용됐다.

가격하락율도 감귤은 8.3∼11.7%를 적용한 반면 사과는 4% 포인트 가량 높은 10.2∼16.4%로 설정하면서 당연히 사과 피해액이 상대적으로 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고 교수는 “교차탄성치와 가격하락율에 따라 피해액 규모가 달라지는데 이에대한 자의적인 판단으로 사과가 시장개방에 따른 파급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이는 민감도에서 사과를 우선시하는 정부의 시각이 반영되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지적했다.

▲설득논리 개발 시급=한미 FTA 체결로 감귤이 직접적인 영향권이라는 연구 분석은 그동안 꾸준히 제기돼 왔으며 이를 감안해 농업계 등에서는 감귤을 협상대상에서 제외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농경연의 피해액 계측결과는 상대적으로 감귤을 민감성이 낮은 과일로 인식하고 있어 자칫 협상대상 제외 및 민감품목 선정 과정에서 상대적 불이익을 받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이로볼때 한미 FTA 농산물 협상이 이달부터 본격화되는 점을 감안할 때 현재 자체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영향분석 용역을 조기에 마무리, 확실한 근거를 갖고 중앙 절충을 강화하는 등 전략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39 덜 익은 감귤 불법 유통 잇따라 기획정보과 2010-10-27 2736
1138 개인 감귤 선과장 '농산물 우수관리 시설' 첫 지정 기획정보과 2010-09-07 2677
1137 노지감귤 생산량 역대 최저 될 듯 기획정보과 2010-09-07 2537
1136 선과장 감귤검사원 지정 필수 기획정보과 2010-08-27 3057
1135 농협제주 수출확대 발빠른 행보 보여 기획정보과 2010-08-27 2497
1134 "온도 2도 상승시 감귤 재배지 육지 이동" 기획정보과 2010-08-27 2880
1133 농협제주, 제주특산품 판매확대 캠페인 기획정보과 2010-08-20 2558
1132 한라봉 해외수출 적극 모색해야 기획정보과 2010-08-20 2779
1131 감귤하우스 지원사업 추가 실시 기획정보과 2010-08-07 2703
1130 감귤시장 개방 피해 최소화 방안은 기획정보과 2010-08-07 2645
1129 감귤운송계약 농협-운송업체 시각차 기획정보과 2010-08-07 3060
1128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로 고품질감귤 생산" 기획정보과 2010-08-03 2692
1127 日 전문가 "고품질 감귤 생산, 멀칭재배 필요" 기획정보과 2010-08-03 2589
1126 소비자 선호 '파워 감귤 브랜드' 없다 기획정보과 2010-08-03 2489
1125 사과, 배, 단감에서 배워야 할 감귤 수출 기획정보과 2010-08-03 2518
1124 지난해 감귤 조수입 6000억 돌파 기획정보과 2010-07-22 2378
1123 노지온주 생산량 25% 줄 듯 기획정보과 2010-07-22 2729
1122 제주감귤 아이스크림 미국 진출 기획정보과 2010-07-15 2562
1121 노지감귤 착과량 확보 '비상' 기획정보과 2010-07-08 2306
1120 고당도 감귤 생산을 위한 토양피복 기획정보과 2010-07-08 257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