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29 09:56:41      ·조회수 : 3,739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과장 29일 열릴 한·중·일 국제심포지엄 앞두고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 요약문 발표
제민일보 9/28 김경필 기자
한·미FTA 협상 등 시장개방에 따른 제주감귤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을 선택,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감귤과장은 29일 오후 1시30분부터 난지농업연구소에서 열릴 동북아 감귤산업 국제심포지엄에서 제주도가 추진하는 감귤정책의 선택과 집중 필요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김 과장은 심포지엄에 앞서 보도자료로 발표한 요약문을 통해 선택·집중이 필요한 감귤정책으로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를 통해 소비자의 기호와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 과장은 이를 위해 산지거점유통센터를 통한 감귤출하물량이 도외 반출량의 50%인 20만t(계통출하량의 80%)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노지에서 생산되는 감귤중 35%는 12브릭스 이상의 고당도로 생산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고당도 노지감귤 생산 방안으로 “무엇보다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를 5000㏊까지 확대시키는 것이 제주도의 급선무”라며 제시했다.
김 과장은 또 “고품질 품종 갱신, 방풍수 정리, 간벌 등 과원정비와 시비·토양관리 개선도 고당도 감귤생산을 위해 필요하다”고 말한후 “제주감귤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도민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오까다 마사미찌씨와 펑수앙 중국 화중농업대학교수가 참석, 각각 일본과 중국의 감귤산업 현황과 발전방향을 발표할 계획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39 덜 익은 감귤 불법 유통 잇따라 기획정보과 2010-10-27 2719
1138 개인 감귤 선과장 '농산물 우수관리 시설' 첫 지정 기획정보과 2010-09-07 2670
1137 노지감귤 생산량 역대 최저 될 듯 기획정보과 2010-09-07 2527
1136 선과장 감귤검사원 지정 필수 기획정보과 2010-08-27 3043
1135 농협제주 수출확대 발빠른 행보 보여 기획정보과 2010-08-27 2479
1134 "온도 2도 상승시 감귤 재배지 육지 이동" 기획정보과 2010-08-27 2850
1133 농협제주, 제주특산품 판매확대 캠페인 기획정보과 2010-08-20 2537
1132 한라봉 해외수출 적극 모색해야 기획정보과 2010-08-20 2761
1131 감귤하우스 지원사업 추가 실시 기획정보과 2010-08-07 2682
1130 감귤시장 개방 피해 최소화 방안은 기획정보과 2010-08-07 2630
1129 감귤운송계약 농협-운송업체 시각차 기획정보과 2010-08-07 3047
1128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로 고품질감귤 생산" 기획정보과 2010-08-03 2680
1127 日 전문가 "고품질 감귤 생산, 멀칭재배 필요" 기획정보과 2010-08-03 2569
1126 소비자 선호 '파워 감귤 브랜드' 없다 기획정보과 2010-08-03 2471
1125 사과, 배, 단감에서 배워야 할 감귤 수출 기획정보과 2010-08-03 2504
1124 지난해 감귤 조수입 6000억 돌파 기획정보과 2010-07-22 2366
1123 노지온주 생산량 25% 줄 듯 기획정보과 2010-07-22 2710
1122 제주감귤 아이스크림 미국 진출 기획정보과 2010-07-15 2541
1121 노지감귤 착과량 확보 '비상' 기획정보과 2010-07-08 2293
1120 고당도 감귤 생산을 위한 토양피복 기획정보과 2010-07-08 255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