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 1차산업 위기감 고조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25 11:49:58      ·조회수 : 2,498     

<p></p>
<font size="5"><b>제주 1차산업 위기감 고조 </b></font>

<font size="4" color="blue">한-중, 한-EU 자유무역협정 협상 내년 개시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1/23 김재범 기자

정부가 내년 초 미국과의 FTA(자유무역협정) 체결을 목표로 하는데 이어 빠르면 내

년 중국, 유럽연합(EU)과도 협상 개시 방침을 피력, 제주 감귤은 물론 1차산업 전반

에 걸쳐 심각한 위기를 불러오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외교통상부는 EU와의 FTA 협상을 추진하기 위해 24일 공청회를 가질 예정인데 EU

이사회가 내년 2∼3월 중 한국과의 협상을 승인할 경우 본격 개시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에 앞서 최근 하노이 통상장관회담에서 중국과 산·관·학 공동연구를 1년간

진행키로 합의, 빠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협상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이 이처럼 농산물 교역 수입규모면에서 1∼3위를 달리는 이들 나라

와 FTA 협상을 체결하고 개방 수위 폭을 확대할 경우 제주지역 1차산업에 막대한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실제 현재 4차까지 진행중인 한미FTA 협상의 경우 피해 규모가 감귤의 경우 ‘개방예

외품목’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오렌지 관세가 완전 철폐되면 10년간 무려 2조원에 이

르고 양돈업을 비롯한 축산업도 연간 215억∼27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의 경우 감귤품목은 제주와 비교할 때 생산량만 30배 안팎 많아 수

출량을 늘릴 경우 사실상 ‘직격탄’이 될 수도 있는 상황이며 밭작물, 수산업 등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아울러 EU와 FTA가 체결돼 세계적으로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EU산 돼지고

기와 맥주보리 등 관세가 폐지될 경우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정부는 다만 중국이나 EU와 FTA 협상을 시작할 경우 주요 농산물 품목의 민감성을

고려, 개방에서 제외시킬 것을 전제조건으로 내세울 것으로 알려져 이의 실현 여부

가 주목되고 있다.

이에따라 제주도가 1차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적인 비전과 개방화에 대비한

보호대책 등을 재점검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39 덜 익은 감귤 불법 유통 잇따라 기획정보과 2010-10-27 2732
1138 개인 감귤 선과장 '농산물 우수관리 시설' 첫 지정 기획정보과 2010-09-07 2675
1137 노지감귤 생산량 역대 최저 될 듯 기획정보과 2010-09-07 2535
1136 선과장 감귤검사원 지정 필수 기획정보과 2010-08-27 3053
1135 농협제주 수출확대 발빠른 행보 보여 기획정보과 2010-08-27 2495
1134 "온도 2도 상승시 감귤 재배지 육지 이동" 기획정보과 2010-08-27 2876
1133 농협제주, 제주특산품 판매확대 캠페인 기획정보과 2010-08-20 2555
1132 한라봉 해외수출 적극 모색해야 기획정보과 2010-08-20 2773
1131 감귤하우스 지원사업 추가 실시 기획정보과 2010-08-07 2699
1130 감귤시장 개방 피해 최소화 방안은 기획정보과 2010-08-07 2640
1129 감귤운송계약 농협-운송업체 시각차 기획정보과 2010-08-07 3058
1128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로 고품질감귤 생산" 기획정보과 2010-08-03 2691
1127 日 전문가 "고품질 감귤 생산, 멀칭재배 필요" 기획정보과 2010-08-03 2588
1126 소비자 선호 '파워 감귤 브랜드' 없다 기획정보과 2010-08-03 2486
1125 사과, 배, 단감에서 배워야 할 감귤 수출 기획정보과 2010-08-03 2515
1124 지난해 감귤 조수입 6000억 돌파 기획정보과 2010-07-22 2377
1123 노지온주 생산량 25% 줄 듯 기획정보과 2010-07-22 2726
1122 제주감귤 아이스크림 미국 진출 기획정보과 2010-07-15 2559
1121 노지감귤 착과량 확보 '비상' 기획정보과 2010-07-08 2303
1120 고당도 감귤 생산을 위한 토양피복 기획정보과 2010-07-08 257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