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비현실적 감귤제도 개선 감감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05 17:30:35      ·조회수 : 2,531     


<b><font size=5>
비현실적 감귤제도 개선 감감</font>

입력날짜 : 2007. 03.05. 한라일보<font size=3 color=blue>

재해보험·수입관세 재투자·자조금 허점 투성이</font><font size=3>

 한미FTA 등으로 제주 감귤산업이 위기에 직면해 있으나 감귤 관련 각종 제도가 비현실적이어서 농가에 실질적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음에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발전연구원 등에 따르면 농작물 재해보험의 경우 지난 2001년 도입돼 현재 감귤을 비롯한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단감 등 6개 품목에 적용되고 있으나 제주지역 도내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 실적은 감귤 1백29 농가, 배 3농가 등 모두 1백32 농가로 국내 전체 가입농가의 0.4%에 그치고 있다.

 감귤 재해보험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낙엽·낙과 피해보다는 강풍에 의한 풍상과, 하우스감귤 등 시설재배 감귤, 집중호우·가뭄·황사로 인한 피해도 재해보험 보상범위에 포함돼야 한다는 지적이지만 개선되지 않고 있다.

 연간 1천억원 규모의 감귤류 수입관세를 감귤농가에 지원토록 하는 내용의 개선대책도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2000~2005년까지의 연평균 관세액은 오렌지 7백57억원, 오렌지 농축액 3백17억원으로 연간 1천74억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감귤은 오렌지 수입에 따른 피해가 가장 큰 품목으로 오렌지 등 감귤류 수입관세에서 만들어진 세입원을 활용 가칭'감귤구조개선사업계정'을 만들어 제주특별자치도지사가 관리하면서 감귤산업에 재투자하는 방안이 절실한 실정이다.

 감귤 자조금 제도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 자조금은 농안법 제7조(자조금의 적립지원)와 시행령에 의거, 농산물의 수급안정을 위해 조성할 수 있도록 돼 있다.

 하지만 현행 자조금 제도는 현재 품목생산액의 1%로 제한되어 있고 적립과 이월을 하지 못하도록 규정돼 있어 효율적인 사업집행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이에따라 자조금 조성규모를 현재의 품목생산액의 1%에서 5% 수준으로 대폭 상향 조정하고 적립과 이월을 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는 조항도 적립과 차기년도 이월이 가능하도록 규정을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다.

 제주도와 발전연구원은 이같은 감귤관련 비현실적 제도 개선을 감귤발전계획에 포함시켜 정부에 촉구해 나가기로 했다.</font>
강시영기자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39 덜 익은 감귤 불법 유통 잇따라 기획정보과 2010-10-27 2719
1138 개인 감귤 선과장 '농산물 우수관리 시설' 첫 지정 기획정보과 2010-09-07 2670
1137 노지감귤 생산량 역대 최저 될 듯 기획정보과 2010-09-07 2525
1136 선과장 감귤검사원 지정 필수 기획정보과 2010-08-27 3041
1135 농협제주 수출확대 발빠른 행보 보여 기획정보과 2010-08-27 2478
1134 "온도 2도 상승시 감귤 재배지 육지 이동" 기획정보과 2010-08-27 2845
1133 농협제주, 제주특산품 판매확대 캠페인 기획정보과 2010-08-20 2537
1132 한라봉 해외수출 적극 모색해야 기획정보과 2010-08-20 2761
1131 감귤하우스 지원사업 추가 실시 기획정보과 2010-08-07 2679
1130 감귤시장 개방 피해 최소화 방안은 기획정보과 2010-08-07 2629
1129 감귤운송계약 농협-운송업체 시각차 기획정보과 2010-08-07 3047
1128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로 고품질감귤 생산" 기획정보과 2010-08-03 2680
1127 日 전문가 "고품질 감귤 생산, 멀칭재배 필요" 기획정보과 2010-08-03 2563
1126 소비자 선호 '파워 감귤 브랜드' 없다 기획정보과 2010-08-03 2470
1125 사과, 배, 단감에서 배워야 할 감귤 수출 기획정보과 2010-08-03 2504
1124 지난해 감귤 조수입 6000억 돌파 기획정보과 2010-07-22 2364
1123 노지온주 생산량 25% 줄 듯 기획정보과 2010-07-22 2709
1122 제주감귤 아이스크림 미국 진출 기획정보과 2010-07-15 2541
1121 노지감귤 착과량 확보 '비상' 기획정보과 2010-07-08 2292
1120 고당도 감귤 생산을 위한 토양피복 기획정보과 2010-07-08 255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