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류 향방 여전히 ‘불투명’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7-01-22 10:01:31      ·조회수 : 2,093     

<p></p>
<font size="5"><b>감귤류 향방 여전히 ‘불투명’ </b></font>

<font size="4" color="blue">한미FTA 6차협상 진전 없이 끝나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20 김재범 기자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와 관련 제주 생명산업인 감귤류의 향방은 최종 협상 단계

에서 양국 실무팀보다는 고위급 회담 등을 통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미 FTA 6차 협상 마지막날인 19일 농업분과 관계자는 “오렌지 등 감귤류를 비롯

해 농산물 민감품목에 대해서는 양국간 입장차이만 확인하며 진전을 보지 못했다”

며 “실무적으로 해결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2월 12일부터 미국에서 이어질 7차 협상에서 다시 논의될 예정이지

만 미국은 제한없는 관세철폐를 끊임없이 요구하는 반면 한국은 민감품목 개방 제

외 및 피해 최소화로 맞서고 있어 협상 타결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이다.

실제 농산물 민감품목 처리는 7차 또는 8차 협상이든 최종단계에서야 매듭지어지고

고위급 등을 통한 극적인 타개책의 하나로 풀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런데 정부는 공식적으로 올 상반기내 협상 타결에 노력하는 한편 쌀의 양허(개

방) 제외 관철을 추진하는 등 민간품목에 대한 양허전략으로 피해 최소화 및 협상

공감대 형성 대응전략을 수립해놓고 있다.

이 때문에 과연 감귤이 제주도가 요구하는대로 개방 대상에서 계속 제외될수 있을

지, 쌀과 동등한 수준으로 협상이 이뤄질지 여부는 아직까지도 불투명한 실정이다.

미국측 웬디 커틀러 수석대표나 앤드류 스테판 농업분과 대표도 제주도의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라는 거듭된 건의에 민감성을 고려한다면서도 명쾌한 확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한편 양국은 농산물 민감품목을 대상으로 특별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도입

과 TRQ(저율관세할당) 운용방식 등에 대해 협의를 벌이고 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19 서귀포시 감귤원 농산물 운반기 지원사업 추진 기획정보괴 2010-07-01 2753
1118 제주감귤 1조원시대 열리나 기획정보과 2010-07-01 2682
1117 제주대, 감귤바이오에너지사업 유치 기획정보과 2010-07-01 2416
1116 임금께 감귤 진상 '금물과원' 복원 기획정보과 2010-07-01 2652
1115 농업프론티어, 영농기술 전도사로 기획정보과 2010-07-01 2637
1114 친환경 유기농 음료 전국 보급 기획정보과 2010-07-01 2891
1113 한라봉 및 천혜향 발전 전망 밝다 기획정보과 2010-06-24 2949
1112 브랜드 감귤 출하 확대를 위한 현장 움직임 기획정보과 2010-06-17 2995
1111 감귤 산지유통센터 추가 건립 기획정보과 2010-06-04 2446
1110 올해 감귤 생산량 적다 기획정보과 2010-06-04 2777
1109 감귤거점 산지유통센터 2곳 건립 기획정보과 2010-06-04 2466
1108 제주감귤 필리핀으로 수출된다 기획정보과 2010-06-04 2368
1107 감귤선과장 등록제 3년 연장 기획정보과 2010-05-12 2506
1106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 감소 전망 기획정보과 2010-05-12 2724
1105 제주감귤로 만든 '와인' 출시 기획정보과 2010-05-12 2431
1104 노지감귤 생리낙과 체계적 관리 기획정보과 2010-05-12 2810
1103 제주감귤 재배기술 전방위 보급 기획정보과 2010-05-12 3338
1102 올해 첫 햇 하우스감귤 수확 기획정보과 2010-05-12 2663
1101 감귤재배 시설하우스로 급변 기획정보과 2010-05-12 2581
1100 진상귤 재배 '금물과원' 958년만에 복원된다 기획정보과 2010-04-21 284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