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위기의 제주감귤, 간벌도 좋지만…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12 10:23:08      ·조회수 : 2,607     


<b><font size=5>
위기의 제주감귤, 간벌도 좋지만…</font>

입력날짜 : 2007. 03.12. 한라일보
<font size=3>
 서울에서 진행중인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8차협상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감귤산업의 운명 또한 초미(焦眉)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협상장의 분위기는 다소 부정적이다. 쌀과 대등한 지위 확보는 물건너 갔다는게 일반적인 평가다. 현재 '민감품목'으로 분류되고 있지만, 이것마저 미국산 쇠고기의 수입 여부에 따라 결정될 공산이 커졌다. 제주특별자치도의 갖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들려오는 것은 암담한 소식 뿐이다.

 이런 가운데 도내 감귤원 간벌을 둘러싸고도 잡음(雜音)이 새어 나오고 있다. 실적 올리기에 급급한 나머지 '무리수'를 두고 있다는 것. 제주시 한경면의 사례는 그 대표적이다.

 보도에 따르면 한경면의 경우 간벌실적이 가장 좋은 마을에 대해 면장(面長) 재량사업비로 3천만원을 지원키로 했다고 한다. 마을별책임제 등을 총동원했지만 실적이 좋지 않은데 따른 고육지책이다. 감귤 주산지(主産地)도 아닌 지역에서 거액의 포상금까지 내세워 독려하는 것은 간벌실적이 읍·면·동장의 능력을 재는 잣대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이런 비상수단까지 강구했겠나 하는 생각도 들지만, 이는 결코 정도(正道)가 아니다. 질 좋은 감귤 및 적정생산을 위해 간벌은 필요하다. 그러나 간벌만이 능사(能事)는 아니다. 누울 자리를 보고 다리도 뻗으라 했다. 현지 실정을 도외시한 밀어부치기식 행정은 결국 이렇다할 성과는 커녕 주민 불신만 낳을 따름이다.

 제주감귤산업의 위기는 비단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체작목 등의 사후대책도 없이 지난 수십년간 주먹구구로 흘러온 게 감귤농정의 현주소다. 감귤산업 발전책은 보다 장기적이고 체계화 되어야 한다. 구태(舊態) 행정을 되풀이하지 않은 것이야말로 '뉴제주운동'의 첫 걸음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19 서귀포시 감귤원 농산물 운반기 지원사업 추진 기획정보괴 2010-07-01 2732
1118 제주감귤 1조원시대 열리나 기획정보과 2010-07-01 2672
1117 제주대, 감귤바이오에너지사업 유치 기획정보과 2010-07-01 2399
1116 임금께 감귤 진상 '금물과원' 복원 기획정보과 2010-07-01 2629
1115 농업프론티어, 영농기술 전도사로 기획정보과 2010-07-01 2610
1114 친환경 유기농 음료 전국 보급 기획정보과 2010-07-01 2863
1113 한라봉 및 천혜향 발전 전망 밝다 기획정보과 2010-06-24 2927
1112 브랜드 감귤 출하 확대를 위한 현장 움직임 기획정보과 2010-06-17 2976
1111 감귤 산지유통센터 추가 건립 기획정보과 2010-06-04 2418
1110 올해 감귤 생산량 적다 기획정보과 2010-06-04 2747
1109 감귤거점 산지유통센터 2곳 건립 기획정보과 2010-06-04 2434
1108 제주감귤 필리핀으로 수출된다 기획정보과 2010-06-04 2330
1107 감귤선과장 등록제 3년 연장 기획정보과 2010-05-12 2482
1106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 감소 전망 기획정보과 2010-05-12 2713
1105 제주감귤로 만든 '와인' 출시 기획정보과 2010-05-12 2402
1104 노지감귤 생리낙과 체계적 관리 기획정보과 2010-05-12 2770
1103 제주감귤 재배기술 전방위 보급 기획정보과 2010-05-12 3314
1102 올해 첫 햇 하우스감귤 수확 기획정보과 2010-05-12 2640
1101 감귤재배 시설하우스로 급변 기획정보과 2010-05-12 2552
1100 진상귤 재배 '금물과원' 958년만에 복원된다 기획정보과 2010-04-21 281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