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개화상황 조사결과, 생산예상량 48만~51만9000톤 전망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8-05-30 17:17:03      ·조회수 : 2,713     

올해 노지감귤 많이 열려야 52만톤!
감귤개화상황 조사결과, 생산예상량 48만~51만9000톤 전망
작년 71% 수준…착과율 향상 위한 새순솎기·방제 철저 당부



올해산 노지감귤은 많이 열려야 52만톤을 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감귤관측조사위원회(위원장 강지용)와 제주도 농업기술원이 합동으로 올해 감귤생산예상량 관측조사 결과, 48만5000~51만9000톤 정도 생산될 것으로 관측됐다.

지난해 1차 관측조사 발표 때는 최소 56만8000톤에서 최대 60만6000톤으로 발표됐다.

이번 조사는 꽃이 핀 정도를 통해 이뤘다. 조사대상 감귤원에 2그루를 선정해 동서남북 4방향 가지의 꽃수와 묵은 잎 수를 세어 화엽비를 조사했다.

조사결과, 화엽비는 0.58개(적정 0.7개)로 집계됐는데, 이는 전년도 0.81개, 평년 0.80개보다 각각 71.6%, 72.5% 수준에 머물렀다.

이처럼 꽃이 적은 요인은 지난해 풍작과 늦은 수확에 따른 나무의 힘(수세)이 약해진데다 올 들어 1~2월 추운 날씨가 많아 조기낙엽과 꽃눈이 감소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앞으로 2차례에 걸친 생리적 낙과와 장마철 기상여건 등에 따라 생산량은 변동이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감귤 착과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6월 상순까지 새순 솎기, 농약 살포, 병해충 방제 등을 중점적으로 실천해야 할 것으로 감귤당국은 당부했다.

이와 관련 강지용 감귤관측조사위원장은 “올해 개화 상황은 과수원과 나무별로 꽃핀 양이 극히 적거나 남아 뚜렷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난 것이 큰 특징”이라며 “착과율 향상을 위한 농가에서의 새순 솎기와 병해충 방제 등의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농업기술원은 오는 8월 하순에 감귤 착과율을 조사한 후 제2차 감귤생산예산량을 발표할 예정이다.<제주의소리>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19 서귀포시 감귤원 농산물 운반기 지원사업 추진 기획정보괴 2010-07-01 2691
1118 제주감귤 1조원시대 열리나 기획정보과 2010-07-01 2613
1117 제주대, 감귤바이오에너지사업 유치 기획정보과 2010-07-01 2358
1116 임금께 감귤 진상 '금물과원' 복원 기획정보과 2010-07-01 2587
1115 농업프론티어, 영농기술 전도사로 기획정보과 2010-07-01 2574
1114 친환경 유기농 음료 전국 보급 기획정보과 2010-07-01 2818
1113 한라봉 및 천혜향 발전 전망 밝다 기획정보과 2010-06-24 2884
1112 브랜드 감귤 출하 확대를 위한 현장 움직임 기획정보과 2010-06-17 2941
1111 감귤 산지유통센터 추가 건립 기획정보과 2010-06-04 2387
1110 올해 감귤 생산량 적다 기획정보과 2010-06-04 2717
1109 감귤거점 산지유통센터 2곳 건립 기획정보과 2010-06-04 2406
1108 제주감귤 필리핀으로 수출된다 기획정보과 2010-06-04 2299
1107 감귤선과장 등록제 3년 연장 기획정보과 2010-05-12 2430
1106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 감소 전망 기획정보과 2010-05-12 2672
1105 제주감귤로 만든 '와인' 출시 기획정보과 2010-05-12 2361
1104 노지감귤 생리낙과 체계적 관리 기획정보과 2010-05-12 2745
1103 제주감귤 재배기술 전방위 보급 기획정보과 2010-05-12 3270
1102 올해 첫 햇 하우스감귤 수확 기획정보과 2010-05-12 2609
1101 감귤재배 시설하우스로 급변 기획정보과 2010-05-12 2515
1100 진상귤 재배 '금물과원' 958년만에 복원된다 기획정보과 2010-04-21 278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