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타임스][사설] 불량 감귤 과감한 퇴출만이 살길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10-09 18:44:26      ·조회수 : 3,132     

<b><font size=4>[사설] 불량 감귤 과감한 퇴출만이 살길 </font></b>

2007년 10월 08일 (월) 제주타임스


제주전역을 초토화 시켰던 제11호 태풍 ‘나리’의 상처는 아직도 아물지 않고 있다. 감자 당근 마늘 등 농작물의 사실상 폐작에 이어 올해 산 감귤 처리에도 비상이 걸렸기 때문이다. ‘나리’의 영향으로 한창 영글어야 할 감귤이 상처를 입거나 감귤나무가 찢겨졌고 이 때문에 감귤의 질이 떨어지지 않을까 걱정이다. 특히 잦은 비 날씨로 인한 감귤의 당도 저하도 감귤 유통처리의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그래서 도 당국이 추진하는 감귤유통 조절 명령제가 도입되더라도 이 같은 이유들로 하여 감귤 값을 제대로 받을 수 있을까 걱정하는 소리가 나오고 있다. 감귤 피해 농민들이 한 알이라도 더 생산하려고 상처 난 과일이나 병든 과일 등 품질이 떨어지는 감귤까지 무작정 시장에 내놓을 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일 년 내내 땀 흘린 농산물을 버리지 않으려는 농민들의 심정은 이해가 간다. 그러나 이들을 부추기는 중간상인들의 농간에 농민들이 넘어가 오히려 소비시장을 교란시켜 제주감귤 이 제값을 받지 못할까가 걱정이다. 그래서 감귤유통 조절명령제 도입에 앞서 상처 난 과일이나 병든 과일 등 불량 감귤을 과감히 퇴출시키려는 생산농민과 농민단체들의 실천적 노력이 절대필요하다는 주문이 이어지고 있다. 과감한 열매솎기, 수상선과(樹上選果)를 통해 감귤의 품질을 높이고 여기에다 감귤 유통 조절명령제 도입을 통한 비상품 유통 차단만이 가뜩이나 주눅이 들고 있는 올해 산 제주감귤의 원활한 처리를 기대할 수 있다는 조언이다. ‘작은 것 욕심내다가 큰 것’ 잃어버리는 어리석음에서 벗어나자는 것이다. 어려울 때 일수록 지혜를 모아 나가야 할 것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99 감귤 미국 수출길 8년만에 재개 기획정보과 2010-03-24 2504
1098 감귤 조수입 1조원 르네상스 운동 전개 기획정보과 2010-03-24 2529
1097 내년 농림수산사업 국비확보 총력 기획정보과 2010-03-24 2404
1096 제주 농축산물 수출 '봄바람' 기획정보과 2010-03-15 3608
1095 제주 농산물 '연합마케팅이 좋다' 기획정보과 2010-03-15 2417
1094 제주 감귤 100년 기념사업 준비 본격화 기획정보과 2010-03-02 3202
1093 감귤원 간벌사업 탄력 받는다 기획정보과 2010-03-02 2630
1092 제주산 감귤막걸리 개발 기획정보과 2010-03-02 2796
1091 노지·하우스 감귤재배구조 큰 변화 기획정보과 2010-02-22 2463
1090 감귤박 자원화 가능성 보인다 기획정보과 2010-02-22 2622
1089 제12차 감귤 북한보내기 선적 기획정보과 2010-02-22 2711
1088 감귤에서 '인공피부' 소재 개발 기획정보과 2010-02-22 2459
1087 道, 감귤하우스 401억 지원 대상자 확정 기획정보과 2010-02-22 2254
1086 고품질 감귤 생산 간벌 필수 기획정보과 2010-02-22 2295
1085 무농약 감귤 생산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0-02-12 2253
1084 서귀포시, 농약대신 미생물로 병충해 방지, 무농약 감귤 도전 기획정보과 2010-02-12 2387
1083 감귤박물관, 온주감귤 및 향토재래귤 보호수 사진전 개최 기획정보과 2010-02-12 2657
1082 친환경감귤 생산 위한 미생물 배양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0-02-12 2399
1081 감귤하우스 자동개폐기 시설 38억원 투자 기획정보과 2010-02-12 2999
1080 감귤생산시설 현대화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0-02-12 304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