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감귤 막바지 몸부림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09 09:40:33      ·조회수 : 2,672     

<b><font size=5>

제주감귤 막바지 몸부림</font>

입력날짜 : 2007. 03.09. 한라일보
<font size=3 color=blue>
金 지사, 8차 협상장 방문 민감성 촉구</font><font size=3>

 김태환 도지사는 "이제 한·미 FTA 협상은 고위급 회담이 열리는 등 막바지에 이르렀다"며 "이번 8차 협상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농산물 양허안에 대한 논의와 합의가 있을 전망인 만큼 오늘부터 협상장을 방문해 감귤류가 쌀과 동등하게 협상품목에서 제외될 수 있도록 마지막 몸부림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8일 오전 10시 도청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지난달 말 지역 국회의원 및 농·감협 관계자 등과 박홍수 농림부장관을 방문해제주감귤이 지역집중도 등 민감성을 재차 촉구했다"며 "이번 협상기간동안 현지방문단을 서울에 파견, 김종훈 한국측 수석대표를 비롯 미국 측 농업분과 관계자 등과도 접촉과 간담회를 벌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감귤의 문제는 제주인이 먹고사는 문제를 넘어 제주인의 혼과 정신이 함께 하는 생명이며 제주경제를 지탱하는 자존심"이라며 "그러기에 감귤은 반드시 제주인 스스로가 지켜내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고 FTA 협상이 한·미 국가간 협상임에도 불구하고 도지사를 비롯 현지방문단을 꾸려 4차 협상때 부터 현장을 방문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 지사는 "현장 방문을 시작했던 4차 때만 하더라도 협상단이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었다"며 "이후 계속해서 현지 방문을 하자 감귤에 대한 협상단의 인식이 바뀌고 긴박성을 인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일부에서는 쌀을 지키기 위하여 민감한 농산물 품목이 계절관세, 세이프가드(SG), 저율관세할당(TRQ) 등 빅딜로 가는게 아닌가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지만 이에 개의치 않고 제주의 일관된 입장을 주지시켜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font>오태현기자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79 서귀포지역 고품질감귤 생산시설 현대화사업 호응 기획정보과 2010-02-12 2266
1078 제주 감귤껍질로 천연파마제 개발 기획정보과 2009-11-23 3010
1077 "노지감귤 처리방안 상호 협력키로" 기획정보과 2009-11-23 3005
1076 감귤껍질 활용 축산농가 소득향상 추진 기획정보과 2009-11-11 3200
1075 "감귤 북한 보내기 계속 추진을" 기획정보과 2009-11-11 2929
1074 제주감귤 군납 확대 '청신호' 기획정보과 2009-11-11 3013
1073 감귤 뷰티·테라피사업 탄력 기획정보과 2009-11-11 2604
1072 감귤시험장 김용호씨'마르퀴스 후즈 후' 등재 기획정보과 2009-11-11 2627
1071 제주 감귤, 과거 100년과 미래 100년 기획정보과 2009-11-11 2753
1070 "제주감귤 세계적 상품화 이뤄낼 것" 기획정보과 2009-11-11 2863
1069 감귤 품질 좋지만 생산량 많다 기획정보과 2009-11-11 2466
1068 올해산 노지감귤 10월 평균가 최저 기획정보과 2009-11-03 2517
1067 지구온난화 '제주=감귤' 공식 깨지고 있다 기획정보과 2009-11-03 3190
1066 감귤 부산물 건조시설 ‘무용지물’ 기획정보과 2009-11-03 3410
1065 [나의 생각] 농산물 절도 없는 세상을 위하여 기획정보과 2009-10-26 3016
1064 '1등감귤' 제값받기 총력전 기획정보과 2009-10-23 3135
1063 감귤 제값받기에 ‘올인’ 기획정보과 2009-10-23 2925
1062 제주농협 광화문 광장서 감귤소비 홍보 기획정보과 2009-10-21 2988
1061 비상품 감귤 적발 기획정보과 2009-10-21 2805
1060 과일 풍년 감귤 품질관리 요구 기획정보과 2009-10-21 284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