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단감 값 40% 뜀박질… 이상기온으로 출하량 줄어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11 09:01:38      ·조회수 : 2,920     

감귤, 단감 등 제철과일들이 공급 부족으로 귀한 몸이 되고 있다. 대체과일인 사과 가격도 덩달아 뛰고 있다. 1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0월 감귤(노지온주) 도매가격(상품기준 10㎏)은 2만4737원으로 지난해 10월(1만5028원)보다 65%나 높았다. 11월 상순(1~9일)에도 감귤 가격은 1만5465원으로 지난해 11월(1만515원)보다 39% 높게 나타났다. 가격이 강세를 보이는 것은 잦은 비로 일조량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실제 10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53% 적었다. 11월에도 3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당도와 산도가 모두 낮아 ‘새콤달콤’한 맛도 지난해보다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감귤이 주춤한 사이 11월 오렌지 수입량은 2007년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인 1000t 내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원은 최근 수입 오렌지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감귤 생산량은 크게 감소해 수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단감은 주산지인 전남·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서리 때문에 품질은 좋지 않고 가격은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10월까지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21%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매가격(상품기준 10㎏)도 지난해보다 15% 높았다. 11월 상순 가격은 1만789원으로 지난해 같은 때보다 40% 높게 형성됐다. 연구원은 “서리 피해를 입은 단감은 조기 수확해야 해 당도도 낮고 색도 좋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크기나 중량도 평년보다 작고 가벼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감귤, 단감 등의 반입량이 줄면서 사과(후지) 가격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11월 사과 평균 도매가격(상품기준 15㎏)은 3만3000~3만6000원 선으로 지난해보다 20%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3% 많지만 사과 수요 대체과일인 감귤과 배의 출하량이 적기 때문이라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79 서귀포지역 고품질감귤 생산시설 현대화사업 호응 기획정보과 2010-02-12 2230
1078 제주 감귤껍질로 천연파마제 개발 기획정보과 2009-11-23 2970
1077 "노지감귤 처리방안 상호 협력키로" 기획정보과 2009-11-23 2978
1076 감귤껍질 활용 축산농가 소득향상 추진 기획정보과 2009-11-11 3170
1075 "감귤 북한 보내기 계속 추진을" 기획정보과 2009-11-11 2876
1074 제주감귤 군납 확대 '청신호' 기획정보과 2009-11-11 2974
1073 감귤 뷰티·테라피사업 탄력 기획정보과 2009-11-11 2563
1072 감귤시험장 김용호씨'마르퀴스 후즈 후' 등재 기획정보과 2009-11-11 2574
1071 제주 감귤, 과거 100년과 미래 100년 기획정보과 2009-11-11 2704
1070 "제주감귤 세계적 상품화 이뤄낼 것" 기획정보과 2009-11-11 2805
1069 감귤 품질 좋지만 생산량 많다 기획정보과 2009-11-11 2414
1068 올해산 노지감귤 10월 평균가 최저 기획정보과 2009-11-03 2479
1067 지구온난화 '제주=감귤' 공식 깨지고 있다 기획정보과 2009-11-03 3138
1066 감귤 부산물 건조시설 ‘무용지물’ 기획정보과 2009-11-03 3372
1065 [나의 생각] 농산물 절도 없는 세상을 위하여 기획정보과 2009-10-26 2965
1064 '1등감귤' 제값받기 총력전 기획정보과 2009-10-23 3076
1063 감귤 제값받기에 ‘올인’ 기획정보과 2009-10-23 2869
1062 제주농협 광화문 광장서 감귤소비 홍보 기획정보과 2009-10-21 2939
1061 비상품 감귤 적발 기획정보과 2009-10-21 2748
1060 과일 풍년 감귤 품질관리 요구 기획정보과 2009-10-21 280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