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패드(fad)의 추방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20 09:32:34      ·조회수 : 3,113     


<b><font size=5>
패드(fad)의 추방 </font>

2007년 03월 20일 (화) 제주일보 <font size=3>


김기원 제주도립예술단 예술감독

끝없이 전해지는 갈등과 충돌 소식에, 떠도는 나그네가 되고 싶은 생각이 문득 문득 마음에 자리한다. 저마다 고향과 후손의 미래를 위한 일이라는 그럴듯한 명분을 두고는 있지만 민초들 중에서는 곧이곧대로 받아 들이기를 주저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은 어떤 연유에서일까?

우리민족의 행동을 ‘냄비에 물을 끊는 것’과 비교하는 경우가 많다. 멀리 ‘국채보상운동’에서 시작하여 가까운 사례를 든다면 IMF때 전 국민의 ‘금 모으기’ 운동까지, 이를 보는 세계 사람들의 시선은 경악, 바로 그것이었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들의 생활 자세는 나라를 위하여 온몸을 던졌던 일치된 국민 행동은 언제 그랬냐는 듯이 나만을 생각하는 사회로 치닫고 있다.

제주사회도 지금 냄비유형(?)인 패드시책으로 인해 심한 후유의 몸살을 앓고 있다.

패드(fad)는 일시적으로 떴다가 사라지는 유행을 말한다. 사전적 해석은 ‘변덕’이고, 영어에선 ‘craze-, 미치게하다 또는 발광하다’로 역시 반짝 유행을 의미하고 있다.

제주도 ‘패드적 사고‘의 후유증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지금 줄을 이어 그 처방을 기다리고 있다.

너도 나도 돈이 된다 하여 심었고 이제 한미 FTA에 운명이 걸린 감귤, 해마다 홍역 치르듯 차질을 빚는 당근 양파 마늘의 생산과 유통, 유사 축제의 정리 등을 듣다보면 이는 소위 ‘된다는 곳’으로의 쏠림을 막지 못한데서 기인했고 해법은 방황 중이란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지금 우리는 국제자유도시 제주특별자치도를 어떻게 만들고자 생각하고 있는가. 오늘에 주어질 핑크빛 혜택을 위한 계획 수립에만 골몰하고 있지는 않은가? 과연 오늘에 기초를 두고 초석을 다져 먼 훗날 제주를 평화롭고 풍요롭게 번영시킬 대계(大計)를 세우고 있기는 한가?

지금 도민사회는 패드시책 추진의 시행착오 때문에 엄청난 예산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혼란과 갈등에 휩싸여 있다는 사실을 당국은 인식하고 있는가?

유행병처럼 만연한 시책수립과 추진을 감시하고 추방할 열린의식과 혜안이 절실한 시기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19 [한라일보]<사설>이젠 감귤농가 스스로 해결할 때 기획정보과 2007-10-11 3299
1018 [제주타임스][사설] 불량 감귤 과감한 퇴출만이 살길 기획정보과 2007-10-09 3180
1017 [제주일보]비상품 감귤 유통 차단 '사활' 기획정보과 2007-10-09 2781
1016 [제주의소리]제주시 불량감귤솎기 기획정보과 2007-10-09 3549
1015 [미디어제주]비상품감귤 지도단속반 출정식 기획정보과 2007-10-08 3274
1014 [제주타임스][기고]"제주감귤, 잘 나갈 때 대비해야 합니다" 기획정보과 2007-10-04 2810
1013 [제주일보]감귤 유통명령 발령 촉각 기획정보과 2007-10-04 2508
1012 [한라일보]"감귤사랑 함께 해요" 기획정보과 2007-10-04 3606
1011 [한라일보]감귤 유통명령 재도입 중순쯤 결정 기획정보과 2007-10-04 2893
1010 [한라일보]감귤원 면적 10년새 16% 감소 기획정보과 2007-10-02 3377
1009 [한라일보]불량감귤 열매솎기 총력전 기획정보과 2007-10-02 2997
1008 [제주일보]감귤 운송계약 입찰 사실상 마무리 기획정보과 2007-10-02 2994
1007 [보도자료]올해산 씨알 작은 감귤 가공용 수매 제외 기획정보과 2007-09-27 3059
1006 [보도자료]올해산 하우스감귤 “지금만 같아라" 기획정보과 2007-09-17 3391
1005 [한국농어민신문]올 추석 주요 농산물값 전망 <과일> 기획정보과 2007-09-10 4882
1004 [제주신문]올 노지감귤 생산 70만톤 육박 기획정보과 2007-08-29 3134
1003 [한라일보]품질검사원 신고해야 상품용 감귤 출하 가능 기획정보과 2007-08-29 3979
1002 [농민신문]“비·폭염 … 이상기후 속 농산물 값 전망” 기획정보과 2007-08-23 3224
1001 [한라일보]감귤 '제 값 받기' 불투명 기획정보과 2007-08-23 3264
1000 [미디어제주]올해 노지감귤 생산량 56-60만톤 예상 기획정보과 2007-06-07 319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