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전환 필요한 감귤 위주의 농업정책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29 11:03:25      ·조회수 : 2,432     

<p></p>
<b><font size="5">전환 필요한 감귤 위주의 농업정책</b></font>

<font size="3">한라일보 11/27

감귤산업 위주의 제주특별자치도 농업정책이 도의회의 '도마'위에 올랐다. 수십년동

안의 관행(慣行)과 구태(舊態)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농업현실에 대한 도의원들

의 질타는 어쩌면 당연한 것이다.

 도농업기술원을 상대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의원들은 우선 감귤원 폐원사업

을 '절반의 성공' 더 나아가 '실패한 정책'이라고 규정했다. 지난 2004년부터 대대적

인 폐원사업으로 3년 연속 '감귤 제값받기'에 성공했다고 자화자찬(自畵自讚) 하지

만, 그 속내를 들여다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

 한 의원은 2천여㏊의 감귤원을 폐원하고 그 폐원지에 다른 밭작물을 심은 사례를

예로 들었다. 마땅한 대체작목 부재로 소득은 커녕, 나머지 밭농사 위주의 농가들에

게 가격 하락 등 '비수(匕首)를 꽂는'부작용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감귤은 관광과 더불어 제주경제의 2대 축(軸)이자 '생명산업(生命産業)'임에 틀림

없다. 조수입만 하더라도 한해 6천여억원(2005년도 기준)으로 도내 전체 농·축산업

조수입(1조6천1백40억원)의 37%를 점하고 있다. 농산물(1조1천4백20억원)에만 국

한하면 그 비중은 더욱 커져 무려 52%에 달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감귤이 차지하는 비중 때문에 지난 수십년간 '성역시(聖域視)' 하여 보호

위주의 정책을 펼침으로써 경쟁력을 상실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음은 주목할만 하

다. 감귤산업이 살 길은 적정생산이 관건(關鍵)이다. 문제는 그동안 타 작물을 홀대

함으로써 폐원 등을 통해 마땅하게 전환할 작목이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별자치도의 농업정책은 이제 전환이 필요하다. 감귤산업의 장기적인 발

전을 위해서도 타 작목의 동반 육성 및 성장은 필수적이다. 상생(相生)의 정책만이

감귤도, 농업 전반도 살아남는 길임을 알아야 한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59 제주농협 ‘감귤나무 농장주’ 모집 기획정보과 2007-03-19 3273
958 감귤선과장 구조조정 본격화 기획정보과 2007-03-15 3525
957 감귤원 폐원하면 뭐하나 기획정보과 2007-03-15 3186
956 서귀포시, 감귤원 간벌 ‘탄력’ 기획정보과 2007-03-14 3826
955 "감귤 협상품목 제외,끝까지 노력" 기획정보과 2007-03-14 2753
954 '비가림 감귤,한번 맛보세요' 기획정보과 2007-03-14 2946
953 1/2간벌에 군장병도 앞장선다 기획정보과 2007-03-14 2908
952 [제민포럼]한라봉의 거듭나기를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07-03-14 3415
951 [기고]간벌후 입체적 간벌을 다시해야 기획정보과 2007-03-14 2889
950 선과장 40% "고품질 출하 부적합" 기획정보과 2007-03-14 2981
949 제주감귤축제 산지-소비지 병행 개최 검토 기획정보과 2007-03-14 3131
948 감귤류 결국 개방되나 기획정보과 2007-03-14 2526
947 감귤문제 합의점 찾지 못해 아쉬움 기획정보과 2007-03-14 2236
946 제주감귤농협 수도권 만감류 판촉행사 기획정보과 2007-03-14 3089
945 김 지사 "제주감귤 민감성 알려나가겠다" 기획정보과 2007-03-14 2814
944 감귤 등 농업분야 고위급 회담으로 기획정보과 2007-03-14 2932
943 소규모.영세 선과장 전체 86% 차지 기획정보과 2007-03-14 2929
942 도의회 “한미FTA중단 촉구” 기획정보과 2007-03-14 2908
941 ‘감귤아가씨 선발대회 없앤다’ 기획정보과 2007-03-14 3144
940 ‘감귤’ 고위급 회담에 달렸다 기획정보과 2007-03-12 245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