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류 향방 여전히 ‘불투명’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7-01-22 10:01:31      ·조회수 : 2,053     

<p></p>
<font size="5"><b>감귤류 향방 여전히 ‘불투명’ </b></font>

<font size="4" color="blue">한미FTA 6차협상 진전 없이 끝나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20 김재범 기자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와 관련 제주 생명산업인 감귤류의 향방은 최종 협상 단계

에서 양국 실무팀보다는 고위급 회담 등을 통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미 FTA 6차 협상 마지막날인 19일 농업분과 관계자는 “오렌지 등 감귤류를 비롯

해 농산물 민감품목에 대해서는 양국간 입장차이만 확인하며 진전을 보지 못했다”

며 “실무적으로 해결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2월 12일부터 미국에서 이어질 7차 협상에서 다시 논의될 예정이지

만 미국은 제한없는 관세철폐를 끊임없이 요구하는 반면 한국은 민감품목 개방 제

외 및 피해 최소화로 맞서고 있어 협상 타결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이다.

실제 농산물 민감품목 처리는 7차 또는 8차 협상이든 최종단계에서야 매듭지어지고

고위급 등을 통한 극적인 타개책의 하나로 풀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런데 정부는 공식적으로 올 상반기내 협상 타결에 노력하는 한편 쌀의 양허(개

방) 제외 관철을 추진하는 등 민간품목에 대한 양허전략으로 피해 최소화 및 협상

공감대 형성 대응전략을 수립해놓고 있다.

이 때문에 과연 감귤이 제주도가 요구하는대로 개방 대상에서 계속 제외될수 있을

지, 쌀과 동등한 수준으로 협상이 이뤄질지 여부는 아직까지도 불투명한 실정이다.

미국측 웬디 커틀러 수석대표나 앤드류 스테판 농업분과 대표도 제주도의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라는 거듭된 건의에 민감성을 고려한다면서도 명쾌한 확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한편 양국은 농산물 민감품목을 대상으로 특별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도입

과 TRQ(저율관세할당) 운용방식 등에 대해 협의를 벌이고 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59 제주농협 ‘감귤나무 농장주’ 모집 기획정보과 2007-03-19 3278
958 감귤선과장 구조조정 본격화 기획정보과 2007-03-15 3535
957 감귤원 폐원하면 뭐하나 기획정보과 2007-03-15 3195
956 서귀포시, 감귤원 간벌 ‘탄력’ 기획정보과 2007-03-14 3840
955 "감귤 협상품목 제외,끝까지 노력" 기획정보과 2007-03-14 2755
954 '비가림 감귤,한번 맛보세요' 기획정보과 2007-03-14 2955
953 1/2간벌에 군장병도 앞장선다 기획정보과 2007-03-14 2920
952 [제민포럼]한라봉의 거듭나기를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07-03-14 3432
951 [기고]간벌후 입체적 간벌을 다시해야 기획정보과 2007-03-14 2892
950 선과장 40% "고품질 출하 부적합" 기획정보과 2007-03-14 2982
949 제주감귤축제 산지-소비지 병행 개최 검토 기획정보과 2007-03-14 3147
948 감귤류 결국 개방되나 기획정보과 2007-03-14 2527
947 감귤문제 합의점 찾지 못해 아쉬움 기획정보과 2007-03-14 2242
946 제주감귤농협 수도권 만감류 판촉행사 기획정보과 2007-03-14 3108
945 김 지사 "제주감귤 민감성 알려나가겠다" 기획정보과 2007-03-14 2815
944 감귤 등 농업분야 고위급 회담으로 기획정보과 2007-03-14 2939
943 소규모.영세 선과장 전체 86% 차지 기획정보과 2007-03-14 2937
942 도의회 “한미FTA중단 촉구” 기획정보과 2007-03-14 2911
941 ‘감귤아가씨 선발대회 없앤다’ 기획정보과 2007-03-14 3151
940 ‘감귤’ 고위급 회담에 달렸다 기획정보과 2007-03-12 245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