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미숙감귤 기능성물질 추출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2-12 11:26:34      ·조회수 : 2,883     


<b><font size=5>
미숙감귤 기능성물질 추출
</font><font size=3 color=blue>
하이테크진흥원, 산업화 연구 본격화
</font>
2007년 02월 12일 (월) 제주일보<font size=3>


덜익은 제주산 온주감귤에서 동맥경화 등에 효능이 있는 기능성물질을 추출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에따른 산업화 연구도 본격화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은 11일 미숙감귤 추출물에 다량 함유된 ‘나리루틴(Narirutin)’과 ‘리모시트린(Limocitrin)’ 성분을 순도높게 뽑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리루틴과 리모시트린은 플로보노이드의 일종으로 동맥경화 등의 혈관계 질환이나 비만, 백혈병 개선은 물론 암세포 증식 방지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 온주감귤 미숙과에는 완숙과보다 8∼10배 많은 나리루틴과 리모시트린이 함유되는가 하면 함유량도 그동안 유용성분으로 보고된 헤스페리딘(Hesperidin)과 나린진(Naringin)보다 2∼6배 이상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하이테크진흥원은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천연물 분리정제 장비를 이용한 고순도 정제기술을 개발해 특허출원했으며 효능 입증을 위한 동물 입상실험에 들어갔다.

하이테크진흥원은 또 미숙감귤의 기능성 물질을 산업화하기 위한 연구개발계획을 수립, 첫 단계로 경제성 조사 연구를 수행키로 했다.

이에따라 올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산업화 공정 개발 연구가 착수될 예정이어서 산업화 진전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이테크진흥원은 미숙감귤을 이용해 의약품·식품 소재나 향장품 원료 등의 대량 생산기술이 개발되면 제주감귤의 경쟁력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font>김태형기자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39 ‘감귤’ FTA 쟁점 부상 기획정보과 2007-03-12 2548
938 경찰-FTA저지 상경투쟁단 공항서 충돌 기획정보과 2007-03-12 3033
937 위기의 제주감귤, 간벌도 좋지만… 기획정보과 2007-03-12 2580
936 '감귤운명' 쇠고기에 달렸다 기획정보과 2007-03-12 2824
935 [농사메모]감귤 간벌에 적극 참여합시다 기획정보과 2007-03-12 3297
934 제주감귤 막바지 몸부림 기획정보과 2007-03-12 2737
933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강력 요청" 기획정보과 2007-03-09 2881
932 “제주 감귤 보호의지 확고하다” 기획정보과 2007-03-09 2865
931 한·미 FTA 제주 ‘대재앙’ 우려 기획정보과 2007-03-09 2658
930 제주감귤 막바지 몸부림 기획정보과 2007-03-09 2661
929 감귤산업 경쟁력 강화 총력 기획정보과 2007-03-09 2504
928 “감귤 못지키면 농업 몰락” 기획정보과 2007-03-09 2536
927 [기고]한라봉재배, 심기일전 새로운 마음으로 기획정보과 2007-03-08 2892
926 감귤 '품질이 돈이다' 기획정보과 2007-03-08 2669
925 감귤 중요성 인식만 강조 기획정보과 2007-03-08 2303
924 감귤 등 국내산 과일값 호조 기획정보과 2007-03-08 2760
923 “감귤 보호의지 확고” 기획정보과 2007-03-08 2537
922 농협중앙회 FTA 대책위 탈퇴하라” 기획정보과 2007-03-08 2934
921 [기고]노지감귤 출하를 마무리하며… 기획정보과 2007-03-07 2671
920 [사설]감귤원 간벌 남의 일인가 기획정보과 2007-03-06 285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