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위기의 제주감귤, 간벌도 좋지만…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12 10:23:08      ·조회수 : 2,571     


<b><font size=5>
위기의 제주감귤, 간벌도 좋지만…</font>

입력날짜 : 2007. 03.12. 한라일보
<font size=3>
 서울에서 진행중인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8차협상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감귤산업의 운명 또한 초미(焦眉)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협상장의 분위기는 다소 부정적이다. 쌀과 대등한 지위 확보는 물건너 갔다는게 일반적인 평가다. 현재 '민감품목'으로 분류되고 있지만, 이것마저 미국산 쇠고기의 수입 여부에 따라 결정될 공산이 커졌다. 제주특별자치도의 갖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들려오는 것은 암담한 소식 뿐이다.

 이런 가운데 도내 감귤원 간벌을 둘러싸고도 잡음(雜音)이 새어 나오고 있다. 실적 올리기에 급급한 나머지 '무리수'를 두고 있다는 것. 제주시 한경면의 사례는 그 대표적이다.

 보도에 따르면 한경면의 경우 간벌실적이 가장 좋은 마을에 대해 면장(面長) 재량사업비로 3천만원을 지원키로 했다고 한다. 마을별책임제 등을 총동원했지만 실적이 좋지 않은데 따른 고육지책이다. 감귤 주산지(主産地)도 아닌 지역에서 거액의 포상금까지 내세워 독려하는 것은 간벌실적이 읍·면·동장의 능력을 재는 잣대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이런 비상수단까지 강구했겠나 하는 생각도 들지만, 이는 결코 정도(正道)가 아니다. 질 좋은 감귤 및 적정생산을 위해 간벌은 필요하다. 그러나 간벌만이 능사(能事)는 아니다. 누울 자리를 보고 다리도 뻗으라 했다. 현지 실정을 도외시한 밀어부치기식 행정은 결국 이렇다할 성과는 커녕 주민 불신만 낳을 따름이다.

 제주감귤산업의 위기는 비단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체작목 등의 사후대책도 없이 지난 수십년간 주먹구구로 흘러온 게 감귤농정의 현주소다. 감귤산업 발전책은 보다 장기적이고 체계화 되어야 한다. 구태(舊態) 행정을 되풀이하지 않은 것이야말로 '뉴제주운동'의 첫 걸음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39 ‘감귤’ FTA 쟁점 부상 기획정보과 2007-03-12 2539
938 경찰-FTA저지 상경투쟁단 공항서 충돌 기획정보과 2007-03-12 3028
위기의 제주감귤, 간벌도 좋지만… 기획정보과 2007-03-12 2571
936 '감귤운명' 쇠고기에 달렸다 기획정보과 2007-03-12 2815
935 [농사메모]감귤 간벌에 적극 참여합시다 기획정보과 2007-03-12 3295
934 제주감귤 막바지 몸부림 기획정보과 2007-03-12 2728
933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강력 요청" 기획정보과 2007-03-09 2877
932 “제주 감귤 보호의지 확고하다” 기획정보과 2007-03-09 2860
931 한·미 FTA 제주 ‘대재앙’ 우려 기획정보과 2007-03-09 2649
930 제주감귤 막바지 몸부림 기획정보과 2007-03-09 2656
929 감귤산업 경쟁력 강화 총력 기획정보과 2007-03-09 2496
928 “감귤 못지키면 농업 몰락” 기획정보과 2007-03-09 2531
927 [기고]한라봉재배, 심기일전 새로운 마음으로 기획정보과 2007-03-08 2883
926 감귤 '품질이 돈이다' 기획정보과 2007-03-08 2660
925 감귤 중요성 인식만 강조 기획정보과 2007-03-08 2298
924 감귤 등 국내산 과일값 호조 기획정보과 2007-03-08 2751
923 “감귤 보호의지 확고” 기획정보과 2007-03-08 2529
922 농협중앙회 FTA 대책위 탈퇴하라” 기획정보과 2007-03-08 2931
921 [기고]노지감귤 출하를 마무리하며… 기획정보과 2007-03-07 2666
920 [사설]감귤원 간벌 남의 일인가 기획정보과 2007-03-06 284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