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9월부터 시행해도 늦지 않다더니...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26 13:58:36      ·조회수 : 2,547     

9월부터 시행해도 늦지 않다더니...
도, 뒤늦은 열매솎기 추진으로 적정 생산량 유지 비상
제민일보 9/25 현민철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가 뒤늦게 감귤 열매솎기에 나서 감귤 적정 생산량 유지가 어려울 전망이다.
특히 일부에서 감귤 열매솎기 시기를 놓친 것이 아니냐는 사전 지적에 대해 도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보였던 점에서 결국 뒷북행정의 피해를 농가가 부담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도는 올해산 감귤의 예상 생산량이 최대 59만t에 이를 것이란 관측조사가 발표됨에 따라 적정생산량인 46만t으로 유지하기 위해 대대적인 열매솎기를 이달부터 추진중이다.

도는 이에 따라 4만t을 열매솎기로 시장에서 격리시켜 고품질 감귤을 생산하는 등 적정 생산량 유지에 나설 계획이다.

그런데 감귤 수확기를 앞두고 있지만 열매솎기 실적은 20%대에 머물고 있다.

4만t의 감귤을 열매솎기로 시장에서 격리시키겠다는 것이 도의 목표지만 지난 24일 현재 실적은 9266t에 그치고 있다.

이처럼 감귤 열매솎기 실적이 저조한 것은 열매솎기를 실시하는 시기를 놓쳤기 때문이라는 것이 전문가 및 농가들의 설명이다.

생리낙과 등이 마무리되는 7월부터 수확기 이전까지 열매솎기를 해야 하지만 도가 올해산 감귤에 대해 착색이 진행중인 시기인 9월부터 열매솎기에 나서 사업 추진이 쉽지 않게 된 것이다.

특히 올해산 감귤의 대과 발생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뒤늦게 열매솎기를 추진, 열매솎기가 오히려 대과발생을 부추길 수 있다는 농가들의 우려도 쏟아지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일부 농가들은 도가 관측조사만 기다리다 9월부터 열매솎기 사업을 추진, 이 같은 문제가 발생했다고 지적하고 뒷북행정이 오히려 농가들에게 피해만 입히고 있다고 지적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올해 생산량이 최대 59만t에 이를 것으로 조사돼 열매솎기를 추진하게 됐다”며 “남은 기간까지 농가들의 협조를 유도, 적정 생산량 유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19 쌀 개방대상서 제외될듯 기획정보과 2007-03-06 2650
918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8차 협상 전망]쌀개방 제외 감귤류는 ? 기획정보과 2007-03-06 2910
917 감귤원 간벌 설득 분주 기획정보과 2007-03-06 2517
916 감귤 4·5번과 경락가 최고 기획정보과 2007-03-06 2824
915 비현실적 감귤제도 개선 감감 기획정보과 2007-03-05 2568
914 올해산 노지감귤 풍작 예상 기획정보과 2007-03-05 2897
913 감귤꽃눈 분화율 적정수준 넘어 기획정보과 2007-03-05 3395
912 FTA민간지원委 ‘얼빠진 홍보’ 기획정보과 2007-03-05 2682
911 한미 FTA 감귤지위 향방 ‘촉각’ 기획정보과 2007-03-05 2663
910 한라봉재배, 심기일전 새로운 마음으로 기획정보과 2007-03-05 2737
909 노지감귤 조수입 5400억 ‘사상최대’ 기획정보과 2007-03-05 2716
908 ‘감귤로 번 돈 빚부터 갚고 보자’ 기획정보과 2007-03-05 2831
907 농가참여 저조한 감귤원 1/2간벌 기획정보과 2007-02-27 2478
906 한라봉 이미지 회복...생산자 단체 나선다 기획정보과 2007-02-26 3030
905 감귤소득 기대 못미쳐 기획정보과 2007-02-26 2870
904 한라봉`품질인증제 도입 시급하다 기획정보과 2007-02-26 3993
903 농협, 명품 ‘한라봉’ 대대적 홍보 기획정보과 2007-02-26 3311
902 간벌 실적 부진 비상 기획정보과 2007-02-26 2991
901 감귤상자 디자인 개선 주문 기획정보과 2007-02-23 2876
900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건의키로 기획정보과 2007-02-22 249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