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불량감귤 유통 과태료체납액 징수체계‘허점’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04 12:52:55      ·조회수 : 3,027     

<p></p>
<font size="5"><b>불량감귤 유통 과태료체납액 징수체계‘허점’ </b></font>

<font size="4" color="blue">매년 증가불구 체납자 70% 재산조회 안돼 </font>

<font size="3">제민일보 11/3 김경필 기자

불량감귤 유통행위에 따른 과태료 체납액이 매년 불어나고 있지만 제주특별자치도

의 과태료 체납액 징수 체계는 한계를 드러내면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과태료 체납자의 절반 이상이 타인 명의로 재산을 등록해두고 감귤유통 위반행위를

저지르는 등 도의 재산압류 등 강제조치를 교묘히 피해가고 있기 때문이다.

도에 따르면 감귤유통명령 위반에 따른 과태료 체납액은 지난 2003년 7260만원,

2004년 4140만원, 2005년 1억86100만원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과태료 부과액 3억1200만원의 32%인 1억여원이 매년 체납액으로 누적되고

있는 것이다.

도가 체납자를 대상으로 재산압류 등 강제징수 조치를 통해 체납액 줄이기에 나서보

지만 이렇다할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체납자의 상당수가 자신의 명의로 등록

한 재산이 없기 때문이다.

도가 2003년 85건, 2004년 41건 등 과태료를 체납한 126건을 대상으로 체납자에 대

한 재산조회를 벌였지만 70%에 이르는 체납자의 재산기록은 찾을 수 없었다.

이처럼 과태료 체납액 징수 체계에 허점이 드러나면서 이를 악용, 불량감귤을 유통

하는 행위가 끊이지 않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때문에 감귤 하락의 원인이 되는 불량감귤 유통을 전면 차단하기 위한 행정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도 관계자는 “과태료 체납자를 대상으로 재산압류 등의 조치를 취해도 재산이 없으

면 강제징수가 불가능하다”며 “체납액 누적의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19 쌀 개방대상서 제외될듯 기획정보과 2007-03-06 2626
918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8차 협상 전망]쌀개방 제외 감귤류는 ? 기획정보과 2007-03-06 2883
917 감귤원 간벌 설득 분주 기획정보과 2007-03-06 2488
916 감귤 4·5번과 경락가 최고 기획정보과 2007-03-06 2799
915 비현실적 감귤제도 개선 감감 기획정보과 2007-03-05 2540
914 올해산 노지감귤 풍작 예상 기획정보과 2007-03-05 2875
913 감귤꽃눈 분화율 적정수준 넘어 기획정보과 2007-03-05 3353
912 FTA민간지원委 ‘얼빠진 홍보’ 기획정보과 2007-03-05 2645
911 한미 FTA 감귤지위 향방 ‘촉각’ 기획정보과 2007-03-05 2629
910 한라봉재배, 심기일전 새로운 마음으로 기획정보과 2007-03-05 2714
909 노지감귤 조수입 5400억 ‘사상최대’ 기획정보과 2007-03-05 2693
908 ‘감귤로 번 돈 빚부터 갚고 보자’ 기획정보과 2007-03-05 2801
907 농가참여 저조한 감귤원 1/2간벌 기획정보과 2007-02-27 2461
906 한라봉 이미지 회복...생산자 단체 나선다 기획정보과 2007-02-26 3008
905 감귤소득 기대 못미쳐 기획정보과 2007-02-26 2847
904 한라봉`품질인증제 도입 시급하다 기획정보과 2007-02-26 3956
903 농협, 명품 ‘한라봉’ 대대적 홍보 기획정보과 2007-02-26 3283
902 간벌 실적 부진 비상 기획정보과 2007-02-26 2973
901 감귤상자 디자인 개선 주문 기획정보과 2007-02-23 2854
900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건의키로 기획정보과 2007-02-22 246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