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전환 필요한 감귤 위주의 농업정책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29 11:03:25      ·조회수 : 2,434     

<p></p>
<b><font size="5">전환 필요한 감귤 위주의 농업정책</b></font>

<font size="3">한라일보 11/27

감귤산업 위주의 제주특별자치도 농업정책이 도의회의 '도마'위에 올랐다. 수십년동

안의 관행(慣行)과 구태(舊態)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농업현실에 대한 도의원들

의 질타는 어쩌면 당연한 것이다.

 도농업기술원을 상대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의원들은 우선 감귤원 폐원사업

을 '절반의 성공' 더 나아가 '실패한 정책'이라고 규정했다. 지난 2004년부터 대대적

인 폐원사업으로 3년 연속 '감귤 제값받기'에 성공했다고 자화자찬(自畵自讚) 하지

만, 그 속내를 들여다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

 한 의원은 2천여㏊의 감귤원을 폐원하고 그 폐원지에 다른 밭작물을 심은 사례를

예로 들었다. 마땅한 대체작목 부재로 소득은 커녕, 나머지 밭농사 위주의 농가들에

게 가격 하락 등 '비수(匕首)를 꽂는'부작용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감귤은 관광과 더불어 제주경제의 2대 축(軸)이자 '생명산업(生命産業)'임에 틀림

없다. 조수입만 하더라도 한해 6천여억원(2005년도 기준)으로 도내 전체 농·축산업

조수입(1조6천1백40억원)의 37%를 점하고 있다. 농산물(1조1천4백20억원)에만 국

한하면 그 비중은 더욱 커져 무려 52%에 달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감귤이 차지하는 비중 때문에 지난 수십년간 '성역시(聖域視)' 하여 보호

위주의 정책을 펼침으로써 경쟁력을 상실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음은 주목할만 하

다. 감귤산업이 살 길은 적정생산이 관건(關鍵)이다. 문제는 그동안 타 작물을 홀대

함으로써 폐원 등을 통해 마땅하게 전환할 작목이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별자치도의 농업정책은 이제 전환이 필요하다. 감귤산업의 장기적인 발

전을 위해서도 타 작목의 동반 육성 및 성장은 필수적이다. 상생(相生)의 정책만이

감귤도, 농업 전반도 살아남는 길임을 알아야 한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19 쌀 개방대상서 제외될듯 기획정보과 2007-03-06 2599
918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8차 협상 전망]쌀개방 제외 감귤류는 ? 기획정보과 2007-03-06 2849
917 감귤원 간벌 설득 분주 기획정보과 2007-03-06 2458
916 감귤 4·5번과 경락가 최고 기획정보과 2007-03-06 2763
915 비현실적 감귤제도 개선 감감 기획정보과 2007-03-05 2507
914 올해산 노지감귤 풍작 예상 기획정보과 2007-03-05 2851
913 감귤꽃눈 분화율 적정수준 넘어 기획정보과 2007-03-05 3327
912 FTA민간지원委 ‘얼빠진 홍보’ 기획정보과 2007-03-05 2612
911 한미 FTA 감귤지위 향방 ‘촉각’ 기획정보과 2007-03-05 2599
910 한라봉재배, 심기일전 새로운 마음으로 기획정보과 2007-03-05 2681
909 노지감귤 조수입 5400억 ‘사상최대’ 기획정보과 2007-03-05 2667
908 ‘감귤로 번 돈 빚부터 갚고 보자’ 기획정보과 2007-03-05 2776
907 농가참여 저조한 감귤원 1/2간벌 기획정보과 2007-02-27 2440
906 한라봉 이미지 회복...생산자 단체 나선다 기획정보과 2007-02-26 2983
905 감귤소득 기대 못미쳐 기획정보과 2007-02-26 2824
904 한라봉`품질인증제 도입 시급하다 기획정보과 2007-02-26 3926
903 농협, 명품 ‘한라봉’ 대대적 홍보 기획정보과 2007-02-26 3250
902 간벌 실적 부진 비상 기획정보과 2007-02-26 2933
901 감귤상자 디자인 개선 주문 기획정보과 2007-02-23 2825
900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건의키로 기획정보과 2007-02-22 241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