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72종·돼지고기 15종 상표 난립"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24 09:11:43      ·조회수 : 3,913     

한 조합 여러상표 쓰기도… 품질관리에 허점 드러내
제주에서 생산하는 감귤과 돼지고기의 상표가 난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품질관리도 제대로 되지 않는 등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23일 제주도에 따르면 현재 제주시농협·한림농협·서귀포농협·중문농협 등 농협중앙회 제주지역본부를 포함한 20개 농협과 8개 영농법인, 6개 작목반, 제주감귤협동조합, 서귀포시 등 40개 생산자단체 또는 기관, 개인 등이 제각기 다른 상표를 달아 감귤을 출하하고 있다. 더욱이 K영농조합은 5개의 상표를, J영농조합은 4개의 상표를 갖고 있다. 서귀포농협과 중문농협 등 5개 농협과 제주감협 등 6개 생산자단체가 3개의 상표를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한 업체가 다수 상표를 쓰는 사례가 많은 탓에 제주산 감귤 상표는 현재 모두 72개나 된다. 하지만 이 가운데 50개 상표만 특허청에 상표등록이 됐을 뿐이고 나머지 22개 상표는 상표등록이 안 된 상태다.

또 중문농협의 '황제', 제주감협의 '불로초', 농협연합사업단의 '햇살바람' 등 일부 감귤 상표만 당도와 산도 등의 품질기준을 만들어 관리하는 등 대부분 품질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돼지고기 상표도 난립하기는 마찬가지다. 제주축협·서귀포축협·제주흑돼지수출사업단 등 15개 업체가 삼다한라포크, 제주촌, 제주흑다돈, 제주불로포크, 올레도새기, 돈그린포크 등 제각기 다른 상표를 등록해 사용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감귤과 돼지고기의 상표가 너무 많아 뭐가 뭔지 모르겠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며 "상표를 통합해 공동상표를 육성하고, 맛과 색깔, 안전성 등을 차별화해 부가가치를 높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19 쌀 개방대상서 제외될듯 기획정보과 2007-03-06 2560
918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8차 협상 전망]쌀개방 제외 감귤류는 ? 기획정보과 2007-03-06 2808
917 감귤원 간벌 설득 분주 기획정보과 2007-03-06 2429
916 감귤 4·5번과 경락가 최고 기획정보과 2007-03-06 2734
915 비현실적 감귤제도 개선 감감 기획정보과 2007-03-05 2468
914 올해산 노지감귤 풍작 예상 기획정보과 2007-03-05 2819
913 감귤꽃눈 분화율 적정수준 넘어 기획정보과 2007-03-05 3287
912 FTA민간지원委 ‘얼빠진 홍보’ 기획정보과 2007-03-05 2584
911 한미 FTA 감귤지위 향방 ‘촉각’ 기획정보과 2007-03-05 2561
910 한라봉재배, 심기일전 새로운 마음으로 기획정보과 2007-03-05 2652
909 노지감귤 조수입 5400억 ‘사상최대’ 기획정보과 2007-03-05 2627
908 ‘감귤로 번 돈 빚부터 갚고 보자’ 기획정보과 2007-03-05 2738
907 농가참여 저조한 감귤원 1/2간벌 기획정보과 2007-02-27 2408
906 한라봉 이미지 회복...생산자 단체 나선다 기획정보과 2007-02-26 2950
905 감귤소득 기대 못미쳐 기획정보과 2007-02-26 2796
904 한라봉`품질인증제 도입 시급하다 기획정보과 2007-02-26 3896
903 농협, 명품 ‘한라봉’ 대대적 홍보 기획정보과 2007-02-26 3212
902 간벌 실적 부진 비상 기획정보과 2007-02-26 2897
901 감귤상자 디자인 개선 주문 기획정보과 2007-02-23 2797
900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건의키로 기획정보과 2007-02-22 238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